$\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기적인 패턴 유리 기판을 사용한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Conversion Efficiency Enhancement of a-Si:H Thin-Film Solar Cell Using Periodic Patterned Substrate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1 no.1, 2012년, pp.55 - 61  

손찬희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김경민 (주성엔지니어링 박막태양전지팀) ,  김재호 (주성엔지니어링 박막태양전지팀) ,  홍진 (주성엔지니어링 박막태양전지팀) ,  권기청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인 3차원 패턴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주기적인 패턴은 일반적인 전도성 투명 산화막(TCO: Trasparent Conductive Oxide) 표면의 불규칙 패턴과 비교하여 더 효율적인 광포획을 가능하게 한다. 태양전지 제작 전 광특성 전산모사를 통하여 주기적인 패턴 유리 기판의 광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제작은 PECVD를 이용하여 구면 패턴이 형성된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인공 태양광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태양전지의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태양전지 전산모사 결과와 실험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주기적인 패턴 유리 기판을 이용한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fabricated a-Si:H thin-film solar cell using the two-dimensional (2D) periodic patterned glass substrate. The use of a 3D periodic texture rather than a randomly texture at surface of TCO can result in higher short circuit current densities ($J_{sc}$). In order to analyze the optical 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이 결과를 30º 이하의 패턴각을 갖는 구면 패턴에 적용해 보면 각 단위박막의 광흡수를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 이 결과를 30º 이하의 패턴각을 갖는 구면 패턴에 적용해 보면 각 단위박막의 광흡수를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a-Si:H 박막 태양전지 광추적 전산모사를 진행할 때 TCO/활성층/후면반사막의 3층 광학 박막 구조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포획 효과를 얻기 위한 주기적인 패턴 형성의 두 가지 측면은? 광포획 효과를 얻기 위한 주기적인 패턴 형성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박막의 두께와 근접하거나 작은 크기의 주기적인 패턴을 형성하여 기존의 불규칙 패턴을 대체 하는 것이다. 기존의 불규칙 패턴은 주로 단파장 영역에서 높은 산란도를 보이며, 장파장 영역으로 갈수록 산란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특성은 주기적인 미세패턴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미세패턴 공정은 공정상의 높은 난이도로 원가 부담을 더욱 가중시킨다. 다른 한가지는 박막의 두께보다 현저히 큰 주기적인 패턴과 기존의 불규칙 패턴이 서로 보완하여 광포획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이때 주기적인 패턴은 주로 장파장 영역에서 광경로 증가에 기여하며, TCO의 불규칙 패턴의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광포획 기술은 무엇인가? 따라서, 광포획 기술에 의한 효율적인 광이용율 증가가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광포획 기술은 활성층을 지나는 빛의 이동경로를 극대화하여 태양전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태양전지의 단락전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양산시 과다한 초기 투자비용이 요구되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성능 향상과 저비용 생산 두가지를 만족하기 위해서 광포획 기술은 더욱 중요하다.
광포획 기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광포획 기술은 활성층을 지나는 빛의 이동경로를 극대화하여 태양전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태양전지의 단락전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양산시 과다한 초기 투자비용이 요구되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성능 향상과 저비용 생산 두가지를 만족하기 위해서 광포획 기술은 더욱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N. Senoussaoui, T. Repmann, T. Brammer, and H. Stiebig, H. Wagner, Rev. Energ. Ren. 3, 49 (2000). 

  2. Christian Haase and Helmut Stiebig, Appl. Phys. Let. 91, 061116 (2007). 

  3. V. Terrazzoni-Daudrix, J. Guillet, X. Niquille, L. Feitknecht, F. Freitas, P. Winkler, A. Shah, R. Morf, O. Parriaux, and D. Fischer, Proc. 3rd World Conf.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Osaka (2003). 

  4. H. Stiebig, N. Senoussaoui, C. Zahren, C. Hasse, and J. Muller, Prog. Photo, Res. App. 14, 13 (2006). 

  5. S. B. Rim, S. Zhao, S. R. Scully, M. D. Mcgehee, and P. Peumans, Appl. Phys. Let. 91, 243501 (2007). 

  6. A. J. M. van Erven, R. H. Franken, J. de Ruijter, P. Peeters, W. Vugts, O. Isabella, M. Zeman, C. Hasse, U. Rau, and H. Borg, 23rd EUPVSEC (2008). 

  7. F. Leblanc, J. Perrin, and J. Schimitt, J. Appl. Phys. 75, 1074 (1994). 

  8. G. Dennler, K. Forberich, M. C. Scharber, C. J. Brabec, I. Tomis, K. Hingerl, and T. Fromherz, J. Appl. Phys. 102, 054516 (2007). 

  9. Steven S. Hegedus and Ruhi Kaplan, Prog. Photo, Res. Appl. 10, 257 (2002). 

  10. U. Rau, T. Meyer, M. Goldbach, R. Brendel, and J. H. Werner, 25th PVSC (1996). 

  11. J. Y. Choi, H. S. Cho, Y. J. Kim, Y. E. Lee, and H. J. Kim. J. Korean Vaccum. Soc. 4, 85 (1995). 

  12. D. Y. Kim, H. M. Kang, and H. J. Kim. J. Korean. Vaccum. Soc. 19, 17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