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lossodynia patients and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on glossodynia and to gather data in order to carry out future study. Methods : We surveyed 40 glossodynia patients visiting the Department of Kore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심박변이도 검사는 설통 환자의 자율신경계 이상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측정시 외부 환경에 의해 자율신경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검사 대상자에게 센서를 붙인 후 약 15분 간 앙와위로 안정을 취하여 환경에 적응하게 한 후 5분 동안 시행하였다.
  • 가 있었으나 설통에 대한 한의학적인 접근 및 보고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설통 환자의 제반 특성, 한방 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고 향후 임상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설통을 주호소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중풍뇌질환센터 한방내과 외래를 내원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검사 결과 및 치료 경과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통 발생 원인 5%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중년이나 폐경기 여성에게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발생 원인은 크게 보철물, 감염, 알러지 등에 의한 국소적 인자, 내분비 이상, 영양 결핍과 같은 전신적 인자,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인자로 나눠 볼 수 있으나 원인 미상인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BMS는 원인 미상인 일차적 BMS와 국소적, 전신적 인자로 유발되는 이차적 BMS로 구분할 수 있으며2 일차적 BMS의 경우, 이차적 BMS에 비해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었다3.
설통이란? 설통은 임상 상, 검사 상의 원인 없이 혀가 화끈거리거나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는 상태이다. 서양의학에서는 통증 부위를 혀에 국한하지 않고 혀를 포함한 구강 점막으로 하여 임상 상, 검사 상의 원인 없이 화끈거리거나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는 상태를 burning mouth syndrome(BMS)이라 정의하고 있다.
설통 환자의 설질은? 설통 환자의 설질은 홍색이나 진한 홍색을 띠는 경우가 전체 40례 중 20례로 50%를 차지하였으며, 설체는 裂文舌이 13례로 가장 많았고, 鏡面舌이 8례로 뒤를 이었다. 박 등은 중풍표준화 변증 방법 연구에서12 火熱변증의 유효한 지표로 舌紅을, 陰虛변증의 유효한 지표로 舌紅, 鏡面舌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opez-Jornet P, Camacho-Alonso F, Andujar- Mateos P, Sanchez-Siles M, Gomez-Garcia F. Burning mouth syndrome: Updat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0;15(4):e562-8. 

  2. Scala A, Checchi L, Montevecchi M, Marini I, Giamberardino MA. Update on burning mouth syndrome: overview and patient management. Crit Rev Oral Biol Med 2003;14:275-91. 

  3. Danhauer SC, Miller CS, Rhodus NL, Carlson CR. Impact of criteria-based diagno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on treatment outcome. J Orofac Pain 2002;16:305-11. 

  4. Patton LL, Siegel MA, Benoliel R, De Laat A. Manage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anagement recommendat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1):S39.e1-13. 

  5. Kazuhisa B, Yasunori O, Shinsuke H, Ken-Ichiro M, Tadahiko I. Effectiveness of kampo medicine (sai-boku-to)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glossodyni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8;86:682-6. 

  6. Yasuyo H, Noriko M, Takashi K, Kumi H, Masahiko S, Kayoko K, et al. Kampo medicine, based on traditional medicine theory, in treating uncured glossodynia:efficacy in five clinical cases. Am J Chin Med 2008;36(5):835-47. 

  7. 테라사와 카츠토시. 서양의학자의 한방진료학. 서울: 집문당; 1998, p. 138-9, 144. 

  8. 허만회, 고병희, 송일병. 체간 측정법에 의한 체질 판별. 사상체질의학회지 2002;14(1):51-66. 

  9. Yoshida H, Tsuji K, Sakata T, Nakagawa A, Morita S. Clinical study of tongue pain: Serum zinc, vitamin B12, folic acid, and copper concentrations, and systemic disease. Br J Oral Maxillofac Surg 2010;48(6):469-72. 

  10. 신윤진, 김윤범, 남혜정, 김규석, 차재훈. 설진의 진단적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3):118-26. 

  11. Maltsman-Tseikhin A, Moricca P, Niv D. Burning mouth syndrome:will better understanding yield better management? Pain Pract 2007;7:151-62. 

  12. 박세욱, 강병갑, 장인수, 홍석, 한창호, 권정남, 등. 다기관 임상연구를 통해 도출된 중풍변증 표준안의 진단프로그램 개발에관한연구-1. 대한한의학회지 2007;28(3):126-37. 

  13.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편저. 개정증보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2006, p. 201-2, 290-1. 

  14. Tanaka M, Kitago H, Ogawa S, Tokunaga E, Ikeda M, Tomita H. Incidence and treatment of dysgeusia in patients with glossodynia. Acta Otolaryngol Suppl 2002;546:142-5. 

  15. 민성순, 이은형, 김종득, 이상희, 권오순, 권정남, 등. 심전도상 이상 소견환자의 심박변이도(HRV) 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4) :798-809. 

  16. Pomeranz B, Macaulay RJ, Caudill MA, Kutz I, Adam D, Gordon D, et al. Assessment of automonic function in humans by heart rate spectral analysis. Am J Physiol 1985;248:151-3. 

  17. 양동훈, 박영배. 맥파와 심박변이도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의학진단학회지. 2006;10(2):104-20. 

  18.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병원 진단 생기능의학실. 생기능검사 임상 활용 지침서. 서울: 트윈기획; 2012, p. 29. 

  19. 선종기, 김진성, 한가진, 오승환, 손지희, 강경, 등.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음허증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4):473-86. 

  20. Abetz LM , Savage NW. Burning mouth syndrome and psychological disorders. Aust Dent J 2009;54:84-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