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숙기간 중 검정콩의 아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Changes of Isoflavone Contents During Maturation under Different Planting Dates in Black Soybea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4, 2012년, pp.424 - 429  

이은섭 (경기도농업기술원) ,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생태형이 다른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3품종을 사용하였다. 파종은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3시기에 재식밀도 $60{\times}15cm$로 하였다. 재배관리는 경기도 콩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하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 분석은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수확기까지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UPLC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시험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2.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daidzein, glycitein 순이었는데, glycitein은 개화기 후 45~55일경 이후에는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등숙기간중 기온변화에 안정적이었다. 3. 아이소플라본 중 genistein 함량이 daidzein 함량보다 높아진 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50~55일, 청자콩은 개화기 후 40~55일, 흑청콩은 개화기 후 60~65일이었다. 4. 등숙기간중 개화기 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평균기온과 아이소플라본 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품검정콩에서 genistein은 y=-15.28x+407.9 ($R^2=0.505^*$), 청자콩에서 diadzein은 y=-6.188x-164.5($R^2=0.454^*$)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genistein은 y=-11.59x+297.6($R^2=0.545^{**}$)으로 고도의 유의한 상과관계를 보였다. 5.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검정콩 생산이 적합한 지역은 등숙기간중 립비대기($R_5$)~생리적 성숙기($R_7$)의 평균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북부지역과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내륙지역과 고지대일 것으로 고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planting time on the synthesis of isoflavone in black soybean, Three varieti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lpumgeomjeongkong, Cheongjakong and Heugcheongkong which had different ecotypes, repectively. Seeds were sown at different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등 3품종을,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등 3시기에 파종하여 립비대기(개화기후 30일, R5)부터 수확기까지 5일 간격으로 종실을 채취하여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고, 같은 시기의 평균기온과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 시험은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시험연구포장에서 2007년도에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요인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성숙기가 서로 다른 일품검정콩(황자엽, 중생종), 청자콩(녹자엽, 중생종), 흑청콩(녹자엽, 만생종)이었고 파종은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3시기에 재식밀도는 60 × 15 cm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생태형이 다른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3품종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어떤 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가? 2.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daidzein, glycitein 순이었는데, glycitein은 개화기 후 45~55일경 이후에는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등숙기간중 기온변화에 안정적이었다.
검정콩의 생리활성 물질은? 콩은 지금도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 중 하나이다. 특히, 검정콩에는 아이소플라본과 안토시아닌, 사포닌, 루테인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Barnes (1995)는 아시아국가에서 유방암과 전립선암 발병률이 낮은 원인은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의 생리활성 때문이라고 하였고, 1999년 12월에 미국 FDA는 “콩 단백질을 1일 25 g를 섭취하면 심혈관계 질환을 줄일 수 있다”는 내용의 Health claim을 발표한 이후 동서양을 막론하고 콩 소비가 크게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웰빙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콩 아이소플라본 중 genistein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콩 아이소플라본의 생리활성은 glucoside 형태보다는 aglycone의 형태인 genistein, daidzein, glycitein에서 강하다고 한다. 특히, genistein은 유방암 세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인 17β-estradiol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고 유방암 세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도 감소시키며(Wang et al., 1996), 암세포에 관여하는 tryosine-specific protein 작용을 저해하여 발암억제 효과가 있고(Akiyama, et al., 1987), 폐경기전 여성에서는 유방암 및 난소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Messinia & Messinia, 2003)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kagi, I., M. S. Nishihara, Y. Ueda, A. Akitoshi, Yokoyama, Y. Asano, and Y. Saeki. 2007. Isoflavone content of soybean cultovars for warm districts grown in Miyazaki prefecture. Jpn J. Crop Sci. 76(3) : 454-458. 

  2. Akiyama, T., S. Ishida, H. Nakagawa, S. I. Ogawara, N. Watanabe, M. Itoh, M. Shibuya, and Y. Fukami. 1987. Genistein, a specific inhibitor of tyrosine-specific protein kinases. J. Biol. Chem. 262 : 5592-5595. 

  3. Barnes. S. 1995. Evalution of the biochemical targets of genistein in tumor cells. J. Nutr., 125(3Suppl) : 784-789. 

  4. Berger, M., C. A. Rasolohery, R. Cazalis, and J. Dayde. 2008. Isoflavone accumulation kinetics in soybean seed cotyledons and hypocotyls : distinct pathways and genetic controls. Crop Sci 48 : 700-708. 

  5. Eldridge. A. C. and W. F. Kwolek. 1983. Soybean Isoflavones : Effect of environment and variety on composition. J. Agric. Food Chem. 31 : 394-396. 

  6. Kim, S. R., H. D. Hong, and S. S. Kim. 1999. Some properties and Contents of Isoflavone in Soybean and Soybean Foods. Korea Soybean Digest 16(2) : 35-46. 

  7. Kim, S. H., W. S. Jung, J. K. Ahn, J. A. Kim, and I. M. Chung. 2005.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soflavone content and biological growth of soybean(Glycine max L.) at elevated temperature, CO2 level and application. J. Sci. of Food and Agri. 85(15) : 2557-2566. 

  8. Kitamura. K., K. Ijita, A. Kikuchi, S. Kodou, and K. okubo. 1991. Low isoflavone content in some early maturing Cultivars, so-called "summertype soybeans"(Glycine max (L) Merrill). Japan J. Breeding 41 : 651-654. 

  9. Lozovaya, V. V., A. V. Lygina, A. V. Ulanov, R. L. Nelson, and J. M. Widholm. 2005. Effect of temperature and moisture status during seed development on soybean seed isoflavone concentration and compostion. Crop Science. 45 : 1934-1940. 

  10. Mercedes, C. C., A. D. P. Beleia, K. Kitamura, and M. C. N. Oliveira. 1999. Effects of genetics and environment on isoflavone content of soybean from different regions of Brazil. Pesq agropec bras., brasila. 34(10) : 1787-1795. 

  11. Messinia, M. and V. Messinia. 2003. Provisional recommended soy protein and isoflavone intakes for healthy adults. Rationale Nutr Today 38 : 1000-1009. 

  12. Morris, P. F., M. E. Savard, and E. W. B., Ward. 1991. Identification and accumulation of isoflavonoides and Phytophtora megasoerma f. sp. glycinea. Physiol. Molecular Plant pathol. 39(3) : 229-244. 

  13. Sakai, T., A. Kikuchi, H. Shimada, Y. Takada, Y. Kono, and S. Shimada. 2005. Evaluation of isoflavone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soybean seed and its relation with seeding time. Jpn. J. Crop Sci. 74(2) : 156-164. 

  14. Swanson, M., M. Stoll, W. Schapaugh, and L. Takemoto. 2004. Isoflavone content of Kansas soybean. American J. of Undergrauate Research 2(4) : 27-32. 

  15. Tsukamoto, C., S. Shimada, K. Ijita, K. Kudou, M. Kokubun, K. Okubo, and K. Kitamura. 1995. Factors affecting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 Changes in isoflavone, saponin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at differrent temperatures during seed development. J. Agric. Food Chem.. 43(5) 1184-1192. 

  16. Wang, T. T. Y., N. Sathyamoorthy, and J. M. Phang. 1996. Molecular effects of genistein on estrogen receptor mediated pathways. Carcinogenesis. 17(2) : 271-27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