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암조건에서 발아시킨 은하콩의 발아특성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Changes in Isoflavones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Eunhakong (Glycine max) by Germinated under Dark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2, 2013년, pp.318 - 322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선정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웅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암조건에서 은하콩의 발아시 발아 특성과 색도 변화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발아수율은 발아 시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수율도 높아져서 발아 60시간째에는 $299.7{\pm}15.0%$를 나타내었다. 건조 중량은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아 60시간째에는 $65.8{\pm}8.2%$를 나타내었다. 뿌리길이는 발아 초기에서 보다는 발아 후기에 급격한 증가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콩은 발아 60시간 후에는 발아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값은 발아 12시간째에 비교적 높은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발아 60시간째에 $63.4{\pm}0.7$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값은 $-2.6{\pm}0.3$으로 나타났으며, 발아 초기에 a값은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수침한 콩의 b값은 발아 12시간째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은하콩의 총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발아 12시간째에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48시간까지는 발아시키지 않은 콩에 비해서는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함량별로는 m-genistin > daidzin > m-daizin > genistein의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anges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color as well as the content of isoflavones of Eunhakong germinated under dark conditions. The wet weight of Enhakong was increased as germination progressed. It reached $299.7{\pm}15.0%$ at 60 h after th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콩의 발아에 따른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아콩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각종 장류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하콩의 발아에 따른 발아 특성 및 isoflavone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의 영양학적 효능은? 콩은 단백질과 지방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필수아미노산과 필수지방산 함량이 높아 육류의 섭취량이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에서는 중요한 단백질과 지방질의 급원으로써 간장, 된장, 청국장 등 전통발효식품의 주원료로 활용되어왔다(Kim등 2004b).
콩은 발아과정 중 특징은? 콩은 발아과정 중 호흡과 대사작용에 의한 영양성분 및 기능성 물질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히 단백질 함량의 감소에 따른 비단백태 질소성분의 증가가 일어나(Yang & Kim 1980), 지방질(Lee & Chung 1982)과 올리고당의 함량(Kim 등 1973)은 발아의 진행과 함께 감소한다.
콩의 아이소플라본의 생리활성효능은? 콩의 아이소플라본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여성 호르몬인 estrogen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폐경기 여성의 골격 손실을 억제하여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을 예방(Park 등 2012)할 뿐만 아니라,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발생하는 증후군의 완화 효과가 있으며,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및 대장암의 예방 효과를 보이는 등 생리적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etchell 등 1984; Fotsis 등1995; Barnes S 1998; Setchell & Cassidy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nes S. 1998. Evolution of the health benefits of soy isoflavones. Proc Soc Exp Biol Med 217:386-392 

  2. Choi UK, Bajpai VK. 2010. Comparative stud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a Korean soy bean fermentation starter, made by soybeans germin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Food Chem Toxicol 48:356-362 

  3. Choi UK, Chung YS, Kim MH, Lee NH, Hwang YH. 2007a.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 of raw soybean (Glycine max : Hwangkumkong). Food Sci Biotechnol 16:386-391 

  4. Choi UK, Jeong YS, Kwon OJ, Park JD, Kim YC. 2011. Comparative stud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oy sauce made with soybeans germin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Int J Mol Sci 12:8105-8118 

  5.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Hwang YH. 2007b.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04-308 

  6.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Kwon OJ, Kim YC, Hwang YH. 2007c.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by the degree of germination of raw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6:734-739 

  7. Fotsis T, Pepper M, Adlercreutz H, Hase H, Montesano R, Schweigerer L. 1995. Genistein, a dietary ingested isoflavonoi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in vitro angiogenesis. J Nutr 125:790-797 

  8. Kim DH, Choi HS, Kim WJ. 1990. Comparison study of germination and cooking rate of several soybean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94-98 

  9. Kim EJ, Lee KI, Park KY. 2002. Effects of germanium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s. J Korean Soc Nutr 31:615-620 

  10. Kim EM, Lee KG, Chee KM. 2004. Comparison in isoflavone contents between soybean and soybean sprouts of various soybean cultivars. J Korean Nutr Soc 37:45-51 

  11.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94-298 

  12. Kim MH, Kang WW, Lee NH, Kwon DJ, Kwon OJ, Chung YS, Hwang YH, Choi UK.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76-680 

  13. Kim SD, Kim ID, Park MZ, Lee YG. 2000. Effect of ozone water on pesticide-residual contents of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77-283 

  14. Kim WJ, Smit CJB, Nakayama TOM. 1973. The removal of oligosaccharides from soybeans. Lebensm Wiss U Technol 6:201-204 

  15. Kim YH, Hwang YH, Lee HS, 2003. Analysis of isoflavones for 66 varieties of sprout beans and bean sprou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68-575 

  16. Kurzer MS, Xu X, 1997. Dietary phytoestrogens. Annual Review of Nutrition 17:358-387 

  17. Kwon SH, Lee YI, Kim JR. 1981. Evaluation of important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edible soybean sprout cultivars. Korean J Breed 13:202-206 

  18. Lee HY, Kim JS, Kim YS, Kim WJ. 2005. Isoflavone and quality improvement of soymilk by using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43-448 

  19. Lee SH, Chung DH. 1982. Studi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 on growth and nutrient compositions in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5:75-82 

  20. Oh BY, Park BH, Ham KS. 2003. Changes of saponin during the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039-1044 

  21. Park ES, Choi SK, Zhang XH, Choi UK, Seo JS. 2013. Effect of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on lipid contents and fecal excretion of neutral steroids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Food Sci Biotechnol 22:15-21 

  22. Park KH, Piao XM, Jang EK, Yoo YE, Hwang TY, Kim SL, Jong JH, Shin HM, Kim HS. 2012.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Korean soybean cultivars released from 1913 to 2006. Kor J Breed Sci 44:149-159 

  23. Setchell KD, Borriello SP, Hulme P, Kirk DN, Axelson M. 1984. Nonsteroidal estrogens of dietary origin: possible roles in hormone-dependent disease. Am J Clin Nutr 40:569-578 

  24. Setchell KD, Cassidy A. 1999. Dietary isoflavone: Biological effects and relevance to human health. J Nutr 129:758-767 

  25. Wang G, Kuan S, Fransis O, Ware G, Carman AS. 1990. A simplifi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estrogens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38:185-190 

  26. Yang CB, Kim ZU. 1980.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in soybean sprout. J Korean Agric Chem Soc 23:7-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