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모형화 기법이 GPS 기준점 측량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athematical Modeling Schemes into Accuracy Representation of GPS Control Survey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5, 2012년, pp.445 - 458  

이흥규 (창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완수 (창원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PS 기준점 측량은 관측과 데이터 처리를 통해 측지계에 대한 물리적인 표지의 위치를 목표 정확도 범위 이내로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며, 이러한 이유로 측량 정확도를 실제와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망조정을 통해 산정되는 기준점 성과의 정확도는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추정좌표의 분산-공분산 행렬에 의해 정량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는 GPS 망조정에 사용되는 함수모형과 통계모형이 기준점 위치 추정과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정확도 표현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기선해석 다중세션 망조정 이론과 절차와 방법을 실제 관측데이터 처리를 통한 수치적 분석을 병행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절대정확도와 상대정확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표현하기 위해서는 잔존하는 관측오차의 모형화가 가능한 경험적 통계모형을 사용하는 다점가중제약조정이 GPS 기준점 성과산정을 위한 수학적 모형으로 보다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GPS control surveying is ultimately to determine coordinate sets of control points within targeted accuracy through a series of observations and network adjustments. To this end, it is of equivalent importance for the accuracy of these coordinates to be realistically represent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GPS 기준점 측량 성과의 정확도 표현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망조정에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이 추정 좌표의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100km 이내의 GPS 중·단기선에 주로 사용하는 단일기선 다중세션 망조정의 대표적인 함수모형과 통계모형, 조정 절차와 방법 그리고 정확도 표현 방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후“(구)GPS에 의한 기준점측량 작업규정”에 의해 구분된 3등 기준점망 및 시험 관측망에 대해 수학적 모형을 4가지 경우로 조합하여 망조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GPS 기준점 측량 정확도 표현 표준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망조정에 사용되는 함수모형과 통계모형이 좌표추정과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GPS 망조정 이론과 절차와 방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3등 기준망 및 시험망 관측데이터 처리와 조정을 통해 수치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내용과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 3등 망조정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GPS 시험망 관측을 그림3과 같이 실시하고, LGO 기선해석을 통해 얻어진 기선벡터와 분산-공분산 행렬을 사용하여 CASE D의 수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조정을 실시하였다. 추정좌표 분산공분산 행렬에 의해 평가한 절대정확도의 타당성 여부를 인근에 위치한 위성기준점(CHWN)과의 방사형 기선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판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PS 기준점 측량이란 무엇인가? 측량 기준점은 물리적 표지와 고시된 측지학적 좌표인 성과(published coordinates)를 기본으로하며, GPS 기준점 측량은 수신기와 안테나를 측량표지에 설치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전자파신호의 수치적 처리를 통해 미지점의 좌표를 측지계에 대해 정확히 산정하는 절차와 방법이다. GPS 측량은 각과 거리를 관측하는 전통적 방식에 비해 높은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도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수평기준점 측량을 대체하고 있다.
기준점 성과 산정 방법으로 다중기선해석을 과학기술용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채택 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중기선해석은 모든 관측점 데이터를 하나로 수학적 모형화 하여 미지점들의 좌표를 동시에 추정하는 방식이다. 위성기준점(GPS 상시관측소)과 같이 다양한 시점에 대해 관측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에 대해 기선해석으로 얻어진 정규방정식(normal equation)에 대해 연속적 최소제곱법(sequential least squares)을 적용하기 때문에 수 밀리미터 수준의 정확도로 기준점 좌표의 계산이 가능하여 과학기술용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채택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단일기선해석은 동시에 관측이 이루어진 두 관측점의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모형화 하여 지구중심 3차원 직교좌표계에 대한 좌표차이인 기선벡터를 추정한다.
GPS 기준점 측량을 실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GPS 기준점 측량은 관측과 데이터 처리를 통해 측지계에 대한 물리적인 표지의 위치를 목표 정확도 범위 이내로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며, 이러한 이유로 측량 정확도를 실제와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망조정을 통해 산정되는 기준점 성과의 정확도는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추정좌표의 분산-공분산 행렬에 의해 정량적으로 표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경성, 이흥규 (2009), 관측데이터 처리의 품질제어를 통한 GPS 측위의 신뢰성 향상,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9권, 제1D호, pp. 319-327. 

  2. 이영진, 정광호, 이흥규, 권찬오, 송준호, 조준래, 남기법, 차상헌 (2007), GPS 망조정에 의한 3등 측지기준점의 세계 측지계 성과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25권, 제5호, pp. 437-449. 

  3. 이영진, 이흥규, 정광호, 이준혁 (2007). GPS 망조정에 의한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25권, 제5호, pp. 451-463. 

  4. 정광호, 이흥규 (2011), GPS 측지망 조정을 통한 국가기준점 성과의 산정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9권, 제4호, pp. 367-380. 

  5. 국토지리정보원 (2006), 국가기준점 망조정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p. 450. 

  6. 국토지리정보원 (2009), 삼각점측량 작업규정(제정),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p. 8. 

  7. 국토지리정보원 (2011), 공공측량 작업(개정),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p. 154. 

  8. Agustan, Featherstone, W.E. (2004), Reprocessing the Western Australian Statefix GPS network using commercial software, 3rd FIG Regional Conference, Jakarta, Indonesia, 3-7 October. 

  9. FGCC(Federal Geodetic Committee) (1984), Standards and specification for geodetic control networks, National Geodetic Survey, Maryland, USA, p. 29. 

  10. FGCC(Federal Geodetic Committee) (1988), Geometric geodetic accurac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using GPS relative positioning, National Geodetic Survey, Maryland, USA, p. 48. 

  11. FGCS(Federal Geodetic Control Subcommittee) (1998a), Positioning accuracy standards Part 1: Reporting methodology, U.S. Geological Survey, Virginia, USA, p. 12. 

  12. FGCS(Federal Geodetic Control Subcommittee) (1998b), Positioning accuracy standards Part 2: Standard for geodetic networks, U.S. Geological Survey, Virginia, USA, p. 9. 

  13. FGCS(Federal Geodetic Control Subcommittee) (1998c), Positioning accuracy standards Part 3: National standard for spatial data accuracy, U.S. Geological Survey, Virginia, USA, p. 28. 

  14. GSD(Geodetic Survey Division) (1978), Specific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control surveys and survey markers, Canada Centre for Remote Sensing, Ottawa, Ontario, Canada, p. 60. 

  15. GSD(Geodetic Survey Division) (1996), Accuracy standards for positioning, Geometics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p. 28. 

  16. Greenwalt, C.R., Schultz, M.E. (1968), Principles and error theory and cartographic applications, ACIC Technical Report No. 96, St. Louis, Mo., Aeronautical Chart and Information Center, U.S. Air Force, p. 89. 

  17. Harvey, B.R. (1994), Practical least squares and statistics for surveyors, School of Geomatic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p. 319. 

  18. ICSM(Inter-Governmental Committee on Surveying and Mapping) (2004), Standards and practices for control surveys, Canberra, Australia, p. 90. 

  19. Leenhouts, P.P. (1985), On the computation of bi-normal radial error, Journal of Navigation, Vol. 32, No. 1, pp. 16-28. 

  20. Leick, A. (2004), GPS satellite surveying,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p. 435. 

  21. LINZ (Land Information New Zealand) (2009a), Standard for tiers, class, and orders of LINZ data, Office of the Surveyor-General, New Zealand, p. 9. 

  22. LINZ (Land Information New Zealand) (2009b), Standard for the geospatial accuracy framework, Office of the Surveyor-General, New Zealand, p. 8. 

  23. Paul, R.W., Charles, D.G. (2006), Adjustment and computation: Spatial data analysis,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p. 611. 

  24. Rizos, C. (1996), Principle and practice of GPS surveying, School of Surveying & Spatial Information Systems,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p. 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