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6, 2012년, pp.1 - 12
김보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ustainability on housing complexes. This study sampled eight housing projects in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which were completed in June 2007 and June 2008. Then, are retention and maintenance on "constructed greens for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국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란 무엇인가? | 국내에서도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1). 그 중 특히 2002년 1월부터 환경부와 국토해양부가 공동주관으로 실시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GBC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는 자재선정,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절약 및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한 건축물에 대해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2002년 공동주택 인증을 시작으로 업무용 건축물(2003), 주거복합건축물(2003), 학교시설(2005), 판매시설(2006), 숙박시설(2006)의 인증을 순차적으로 시행하였고 총 11개 인증기관이 있다(표 1 참조). | |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의해 인증 받은 건물에 부여되는 인센티브는 무엇인가? | 2002년 공동주택 인증을 시작으로 업무용 건축물(2003), 주거복합건축물(2003), 학교시설(2005), 판매시설(2006), 숙박시설(2006)의 인증을 순차적으로 시행하였고 총 11개 인증기관이 있다(표 1 참조). 인증을 받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환경개선부담금, 취득세, 등록세 경감과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2) 친환경건축물 건설을 유도 및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유인책에 힘입어 인증제도 시행 이후부터 2005년까지 33건에 불과했던 인증실적이 2012년 3분기까지 총 3,010건으로 해마다 급증하였다(그림 1 참조). | |
해외 건축물 환경 성능에 대한 평가기준에는 무엇이 있는가? | 지구환경과 관련한 여러 산업분야 중에서도 건축물 건설은 전세계 에너지 소비 25~40%, 원자재 소비 30%, 온실가스 배출량 30~40%를 차지하는 등 인간의 다른 산업․경제활동과 비교할 때, 환경에 대한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OECD, 2003; UNEP, 2006). 때문에 건축물로 인한 환경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1991년 영국 ‘BREEAM'을 필두로 1993년 캐나다의 ’BEPAC', 1998년 미국의 ‘LEED', 2002년 호주의 ‘Green Star' 등과 같이 세계 각국에서 건축물 환경 성능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시행 중에 있다. |
강기홍(2008)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발전방안. 환경법연구학회지 30(1): 57-80.
강순주(2006) 친환경인증 공동주택의 거주후 평가: S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2(9): 91-99.
고성석, 송혁, 이현철(2007) 사례분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친환경성능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3(9): 201-211.
국토해양부(2009) 친환경 건설기준 및 성능 평가지침.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421호.
국토해양부(2012) 친환경건축물 인증실적(12년 9월). 국토해양부 사전정 보공개 자료.
국토해양부?환경부(2006)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세부시행지침.
국토해양부?환경부(2011)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정?고시 제 2011 -851호?제 2011-181호.
권영철, 최창호(2010)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 사례를 통한 생태환경 평가항목 분석. 대한설비공학회지 22(2): 112-121.
김동희, 조동우, 유기형(2010)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용도별 인증결과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6(1): 323-330.
김신은, 이동훈, 김선국(2010)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 인증 사례를 통한 평가항목 비교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10(2): 31-38.
김자경(2008) 국내 초고층 주거의 친환경적 실내 공간 계획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7(3): 23-33.
김재필(2009) 아파트 조경요소의 주민만족도 분석: 서울시 조경상을 수상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원(1992) 거주후 평가(POE)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3(2): 177-193.
김창성, 정회영, 김강수(2008) 국내 친환경 인증 건축물의 사후관리 및 재인증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4(9): 77-84.
김혜진, 김병선(2007) POE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개선방안 연 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1(2): 50-56.
모지선, 김철, 임태섭, 강윤도, 김병선(2008)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건 축물 인증제도 개선방향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79-184.
박경순, 김철, 권문희(2010) 국내 친환경 공동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개정 건물 성능 평가제도 비교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10(4): 19-28.
박명규(2009)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평가항목 분석 및 중요도 조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병준(2005) 신규 공동주택 단지의 조경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통한 관리개선방안 연구: 경기 안양, 군포, 의왕입주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상동, 최동호, 이상홍, 신기식, 조수, 이승민(2004)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발전 방안 제시. 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7(2): 85-94.
박영기(1990)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후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지 6(1): 41-48.
백혜선, 박영기(2002) 공동주택 단지 내 옥외생활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식조사 및 이용행태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8(2): 87-94.
송승영, 이현화, 이현우(2008)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심사항목별 득점비율 분석을 통한 개선 필요항목 도출.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28(4): 1-9.
신동규, 한경훈(2007) 국내외 친환경공동주택 인증시스템의 평가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3(1): 197-204.
신영숙, 조명은(2006) 친환경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8):135-145.
심태섭(2002) 조경식물 유지관리 공종별 분류체계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공공건물의 수복/잔디 유지관리를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경환(1988) 아파트 주거환경의 POE 연구방법론. 수원대학교 논문집 6: 279-287.
안경환(1993) 공동주택 환경설계를 위한 POE 방법론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9(8): 47-56.
양금석(2009) 친환경학교시설의 인증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지 11(1): 17-24.
오세경, 한민석, 임병찬(2011)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일본?미국?영국의사례를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지14(1): 219-241.
유정연, 조동우, 채창우(2006)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비교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1): 111-120.
윤수진(2009) 친환경건축물 공동주택단지 내 비오톱 조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송현, 황연숙(2006) 친환경 인증아파트의 실외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사례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6(1): 111-120.
이승민, 박상동, 신기식, 최무혁(2005)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이용한 사례건물의 평가결과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10): 299-306.
이시영(1997)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2(3): 125-138.
이원대(2000) 공동주택단지 내 옥외공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 단지 내 녹지시설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찬, 김동석, 김창남, 김병선(2005)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의 실내환경 인자 분석 및 개선안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11): 295-302.
이현우, 최창호, 조민관(2007)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2):41-49.
임승빈(1995) 조경계획 설계론. 보성문화사. pp. 279-281.
정아름, 양은진, 이선영, 박재홍, 전채휘(2008) 교육시설의 친환경설계요소에 관한 거주후 평가(POE)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995-1002.
정종대, 최윤이(2006)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 및 인증사례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8): 27-36.
조화숙(2007) 공동주택단지 조경의 이용 후 평가: 진주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보가(1992) 아파트 내부공간에 대한 거주후 평가: 주공아파트 17평형을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논문집 24: 149-167.
토지주택연구원(2011) 친환경공동주택 인증단지의 입주자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OECD(2003) Environmentally Sustainable Buildings-Challenges and Policies. OECD Publications. Paris. 2003.
UNEP(2006) Sustainable Building & Construction Initiative-Information Note[Online],Published by: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Division of Technology, Industry and Economics, Available at ,[Accessed at: 10 March 2012](UNEP)
Zimring, C. M. and J. E. Reizenstein(1980) Post occupancy evalu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12(4): 429-45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