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2년간(2009-2010)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역학조사 보고서 분석
An Analysis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Regarding to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from 2009 to 2010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4, 2012년, pp.366 - 374  

이종경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박인희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단) ,  조준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  이순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  황인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2010년 우리나라 통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최다 발생 식중독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31건, 1994명 환자, 병원성 대장균이 28건, 1926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세균성 식중독인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2009년, 2010년 작성된 병원성대장균 역학조사 보고서에 수록된 68건의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정보를 수집, 리뷰, 분석하여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급식(64.8%) 및 외식(25.5%)에서 발생률이 약 90%에 해당하였다. 우리나라 발생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원인균의 대부분은 EPEC가 44.7%과 ETEC가 34.2%를 차지하여 이들이 전체의 78.9% 가량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EAEC와 EHEC는 각각 10.5와 9.2%에 해당하였다. 전체 68건 사례 중에서 이들이 단일균으로 규명된 것이 모두 59건, 두 가지 타입이 혼재된 건이 8건, 그리고 최종 균의 타입이 동정되지 못한 건수가 1건 있어 오염경로 추적의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섭취인구에 따라 다양한 질병 발생률을 보여 평균적으로 $33.6{\pm}30.5%$의 발생률을 나타냈고 주 증상은 설사, 복통, 구토, 발열이 대부분이었다. 식품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된 사례는 두건으로 햄버거를 섭취한 경우 냉동햄버거 패티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된 사례와 급식에서 오징어야채무침에서 검출된 건수가 있어서 식품에서 검출률이 낮았지만 쇠고기와 수산물 혹은 야채류에서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에서 병원성 대장균 검출이 어렵게 되는 원인으로 분석된 것은 식중독 발생에서 신고까지 지연 (7일 이상 소요된 건수가 14.6-18.5%), 원인 식품 수거 어려움 (음식점에서 식중독 때 섭취 식품 수거율 17.6%)과 같이 제도적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이들 주요 애로 사항이외에도 역학 조사반의 어려움으로는 발생기관과 환자의 비협조 및 환자들 샘플채취 미흡, 대조군 확보의 어려움, 유전자 분석의 보완과 같은 부분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서구국가와 같이 EHEC과 같은 부분이 아니라 급식 및 외식시설에서 EPEC, ETEC가 주요 원인균인 만큼 향후 대응도 원인균 유입경로 추적 및 분석기술 개발, 역학조사의 제도적 보완과 범 정부부처간의 시스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athogenic E. coli is one of the main foodborne pathogens resulting in many patients in Kore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of pathogenic E. coli outbreak in 2009 (41 reports) and in 2010 (27 repor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식품 환경이 미생물을 검출하는 데 어려운 부분이므로 한 가지 방법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 대장균 역학조사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최근 2010년 우리나라 통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최다 발생 식중독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31건, 1994명 환자, 병원성 대장균이 28건, 1926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세균성 식중독인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2009년, 2010년 작성된 병원성대장균 역학조사 보고서에 수록된 68건의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정보를 수집, 리뷰, 분석하여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한, 현재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경우 역학조사 결과, 환자에서의 규명비율은 높은 반면에 식품에서 원인 규명이 상당히 낮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역학조사보고서를 수집, 리뷰, 현황 분석 연구를 실시하여 최근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위해요인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시스템을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KFDA: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 accessed Oct. 19, 2011 (2011). 

  2. 윤장원: 국내 시가독소원성 대장균 감염증 관련 연구에 관한 제언, SAFE FOOD 4(1), 33-36 (2009). 

  3. KFDA: 장출혈성대장균 예방요령: Available from http:// kfda.go.kr/fm/index.do?nMenuCode115&modeview& boardSeq46003 accessed Oct. 19, 2011 (2011). 

  4. 고주원, 홍종해: 도체표면의 분변 오염과 verotoxin 생성 Escherichia coli O157:H7 분리에 관한 연구. J. Fd Hyg. Safety 12(1), 78-82 (1997). 

  5. 곽효선, 차진, 강길진, 김훈, 박선희, 김창민: 국내 유통식품에서 분리된 verotoxin생성 Escherichia coli의 특성. J. Fd Hyg. Safety 15(3), 241-247 (2000). 

  6. 함희진: 시판 해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월별, 산지별 분포. J. Fd Hyg. Safety 23(1), 15-18 (2008). 

  7. Lee GY, Jang HJ, Hwang IG, Rhee MS: Prevalence and classific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resh beef, poultry, and pork in Korea. Int. J. Food Microbiol., 134(3), 196-200 (2009). 

  8. 유영아, 김무상, 김경식, 박선희, 정성국: 서울시내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및 내성 유전자. J. Fd Hyg. Safety 25(3), 220-225 (2010). 

  9.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 보고서: Available from http:// www.cdc.go.kr/ accessed Sep. 20, 2011 (2011). 

  10. 경기화성시일개음식점병원성대장균유행 2009.1.26. 

  11. 강원양양군G고등학교병원성대장균유행 2009.3.17 

  12. 광주광산구발생장소가확인되지않은장출혈성대장균(EHEC) 유행 2009.4.12 

  13. 경기 수원시 권선구 OO초등학교 병원성 대장균 유행 2009. 4.15 

  14. 경기 남양주시 가정집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4.19. 

  15. 대구 수성구 D중학교 장독소대장균(ETEC)유행 2009.4.13 

  16. 경남 양산시 일개 초등학교 장흡착성대장균(EAEC) 유행 2009.4.19. 

  17. 대구 북구 OO고등학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 

  18. 서울 도봉구 일개 음식점 병원성대장균 유행 2009.4.15. 

  19. 서울 서대문구 일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병원성대장균 (EAEC) 감염증 유행 2009.4.24. 

  20. 울산 남구 G고 병원성대장균(EAEC) 감염증 유행 2009.4.20. 

  21. 울산 중구 일개 고등학교 병원성대장균(EAEC) 유행 2009. 

  22. 대구 수성구 일개 고등학교 장독소대장균(ETEC) 유행 2009.5.12. 

  23. 경남통영시일개음식점병원성대장균, 노로바이러스유행 2009.5.21 

  24. 충남연기군 일개 고등학교 장관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5.21. 

  25. 충북 음성군 일개 연수원에서 발생한 장독소대장균(ETEC) 유행 2009.5.18 

  26. 부산기장군일개공장에서발생한장병원성대장균(EPEC)유행 2009.5.26 

  27. 충남보령시일개고등학교장병원성대장(EPEC)유행 2009.6.4. 

  28. 경기 고양시 덕양구 가정집에서 발생한 장출혈성대장균 (EHEC) 유행 2009.5.24 

  29. 서울시 용산구 일개 음식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6.5 

  30. 서울 구로구 일개 고등학교 장병원성대장균(EPEC) 감염증 유행 2009.6.11 

  31. 전남 장성군 일가족에서 발생한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EPEC) 유행 2009.6.27. 

  32. 경기 구리시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장출혈성대장균감 염증(EHEC) 유행 2009.6.29 

  33. 경기 용인시 기흥구 OO고등학교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EPEC) 유행 2009.6.25 

  34. 서울 강서구 일개고등학교 장독소형대장균(ETEC)유행 2009.7.8. 

  35. 전남 영광군 일개 중학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7.6 

  36. 경기 안양구 동안구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장독소형 대장균(ETEC) 유행 2009.7.16 

  37. 경기 평택시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병원성대장균 유행 2009.7.28. 

  38. 경기 고양시 덕양구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병원성대장균유행 2009.8.4 

  39. 경기수원시팔달구발생장소가확인되지않은병원성대장균유행 2009.8.15 

  40. 강원 정선군 발생장소가 확인되지 않은 장병원성대장균 (EPEC) 유행 2009.8.14 

  41. 충남 천안시 한 고등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ETEC)감염증 집단발생 2009.8.19 

  42. 경기 군포시 한 고등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집단발생 2009.8.26. 

  43. 경기 수원시 권선구 일개 정육점 장독소성대장균(ETEC) 유행 2009.8.29 

  44. 서울 송파구 한 유치원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09.9.3. 

  45. 광주 광산구 일개 중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유행 2009.9.5 

  46. 전남 구례군 일개 고등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유행 2009.9.7. 

  47. 서울 강서구 일개 음식점 장병원성대장균(EPEC) 유행 2009.9.10. 

  48. 서울 강서구 일개 고등학교 병원성대장균 유행 2009.9.4 

  49. 전라남도 해남군 한 중고등학교 장독소성대장균(ETEC) 감염증 집단발생 2009.11.30. 

  50. 전남 나주시 한 공장의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09.12.9 

  51. 용인시 기흥구의 발생장소를 알수 없는 노로바이러스, ETEC 감염증 집단발생 2010.2.26. 

  52. 안산시 단원구 한 고등학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 발생 2010.4.14 

  53. 충남 태안군 한 학교의 수학여행후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5.25. 

  54. 경기도 시흥시 한 고등학교의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 발생 2010.6.3 

  55. 대전유성구한음식점의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6.27. 

  56. 부산시 진구 한 학원의 장흡착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6.22 

  57. 서울시 노원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 발생 2010.7.5 

  58. 충남 당진군 소재 한 학교 기숙사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7.2 

  59. 충북 단양군 체험학습장 방문 후 한 중학교의 장병원성대 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7.2 

  60. 장소불명의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7.8. 

  61. 장소불명의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6.25 

  62. 장소불명의 장출혈성감염증 집단발생 2010.7.11. 

  63. 장소불명의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7.14 

  64. 광주 동구 소재 한 음식점의 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7.29 

  65. 대구달서구소재한학교의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8.1. 

  66. 충남논산시소재한회사의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8.12 

  67. 전남 영암군 소재 한 학교의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 발생 2010.8.20 

  68. 전북 익산시 소재 한 음식점의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8.23. 

  69. 장소불명의 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8.15 

  70. 광주 북구 한 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8.29 

  71. 서울 동작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9.1. 

  72. 서울 도봉구 소재 한 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과 바실루스 세레우스 감염증 집단발생 2010.9.9 

  73. 대전 서구 소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9.13. 

  74. 울산 남구 소재 한 학교의 장독소성대장균감염증 집단발생 2010.10.1 

  75. 대전 유성구 소재 한 음식점의 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 집단 발생 2010.11.4 

  76. 장소불명이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집단발생 2010.7.4 

  77. 경기도시흥시소재한학교의장병원성대장균감염증집단발생 2010.9.8 

  78. 식품위생법 제 88조: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fm/index.do?nMenuCode108&modeview&boardSeq3158 accessed Oct. 20, 2011 (2011). 

  79. 윤기선: 식중독균미생물의위해평가를위한종합계획및예측 모델링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고서 (2010). 

  80. 식품의약품안전청: 병원성대장균 Risk profile: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 Accessed Oct. 19, 2011 (2011). 

  81. FDA BAM methods.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 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bacteriologicalanalyticalmanualbam/ ucm070080.htm accessed Oct. 17, 2011 (2011). 

  8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2010). Available from http:/ /fse.foodnara.go.kr/residue/mobile/index.jsp Accessed Oct. 19, 201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