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발생과 기후요소의 영향
Influence of Climate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ood Poisoning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3, 2020년, pp.353 - 358  

김종규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보건학부 공중보건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n outbreak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ood poisoning in Korea was first reported in 1998. They have continued to occure since th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long-term trend in pathogenic E. coli food poisoning occurrences in Korea and examine the relation with clima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발생의 장기간 추이와 이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난 십 수년간(2002~2017) 식중독 발생 및 기상 데이터에 관한 공식 통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첫째, 우선적으로 식중독 역학조사에서 원인식품 자료를 확보하는 방안을 관련 행정 당국이 가능한 빨리 마련하기를 바란다.
  • 예를 들면 2012년유럽 질병예방통제센터에서 발표한 보고에 의하면식품매개병원체의 전파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는 수 종의 식품 및 물매개성 병원체의 생존 가능성을 기온, 수온 및 강수량과 같은 기후변수와 관련하여 나타난 실제 현상으로부터 관찰하였다. 이 결과에서 일부 세균들은 계절적 변동성이 강해 전 세계 기온 및 수온 상승에 따라 최고 감염률이 증가하거나 변화할 수 있으며, 또 일부 세균의 감염률이 기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집단식중독 공식 자료를 근거로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장기간의 발생추이를 살펴보고 기후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의한 건강위험성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집단식중독 공식 자료를 근거로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장기간의 발생추이를 살펴보고 기후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로부터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의한 건강위험성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온도와강수량 패턴, 극한의 날씨 사건, 해양의 온난화 및산성화를 포함한 기후 변수들이 특히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9) 이는 또 먹이사슬의 전체에 걸쳐 중요하고 복잡하며 상호 관련된 영향을 더욱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떠한 기상 변수가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의 발생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가? 001). 또 3가지 기상 변수(최 저 및 최고 기온 및 강수량)가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발생건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 다 (p<0.001).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부류는 무엇인가? 둘째, 원인식품 정보(비록 불분명이라 할지라도 유추되는 것)를 식중독 통계에삽입 및 공개한다면 관련 종사자 및 연구자들에게좋은 정보가 되어 식중독 발생을 낮출 수 있는 하나의 동기 유발이 될 것으로 본다. 셋째,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에는 몇 가지 부류(EAEC, EHEC, EPEC,ETEC)가 있다. 현재 이것들이 분류되지 않은 채로다만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으로 일괄적 처리되어 통계가 작성되고 있으며, 각각의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사례에 대한 소수의 산발적 보문들만이 있다.
우리나라 사계절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운 날씨를 보이고, 봄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MA. Weather nuri. https://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south.jsp [assessed April 20, 2019]. 

  2. Lee YW, Kim JG. A review study of food poisoning in Korea.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989; 4: 199-255. 

  3. Lee YW, Kim JG. A study on the trend of food poisoning outbreaks, reported ca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ood Hygiene. 1987; 2: 215-237. 

  4. Kim JG. Food Hygiene and Sanitation.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 2018. 

  5. Heo YJ. Current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food poisoning in Korea. Monthly Industrial Hygiene 1999; 136: 4-14. 

  6. Marketwatch, JP. Climate change could be poisoning your food. New York Post February 1, 2018. https://nypost.com/2018/02/01/climate-change-couldbe-poisoning-your-food/ [assessed April 20, 2020]. 

  7. Andrews J. Climate Change May Impact Outbreaks April 2, 2012. https://www.foodsafetynews.com/2012/04/european-study-climate-change-mayimpact-foodborne-illness-outbreaks/#.WnHZ566nHmH [assessed April 20, 2020]. 

  8.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ttps://www.ecdc.europa.eu/en/publicationsdata?f%5B0%5Doutput_types%3A1244&ID848 [assessed April 20, 2020]. 

  9. Smith BA, Fazil A. How will climate change impact microbial foodborne disease in Canada? CCDR. 2019; 45(4): 108-113. 

  10. Ko HJ. Analysis and evaluation of food poisoning safety management. Seoul: National Food Safety Information Service & MFDS Report. 2017. 

  11. Anonymous. 2 August 2019. Beware of pathogenic E. coli food poisoning in summer. [KFDA press release]. 

  12. Statistics Korea (SK). The number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cases, 2006-2015. Daejeon: SK.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1 [assessed April 20, 2019].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f Korea (MFDS): Food Poisoning Outbreak Statistics 2002-2017. Osong: MFDS.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Development of operating system for food poisoning monitoring (K-CaliciNet) & gene analysis module. 2010. Daejeon: KCDC.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Climate of Korea. https://web.kma.go.kr/eng/biz/climate_01.jsp [assessed April 20, 2019]. 

  16. Kim JG, Kim JS.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ood safety: a mini-review.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6; 42(6): 465-477. 

  17. Yang J, Ha J. Estimation of future death burden of high temperatures from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3; 39(1): 19-31. 

  18. Jeong GH. International trends in food safety management due to climate change and forecast of food poisoning in Korea, Climate Change and Health Forum. 2009; 6: 81. 

  19. Semenov AV, van Bruggen AHC, van Overbeek L, Termorshuizen AJ, Semenov AM. Influence of temperature fluctuations on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 cow manure. FEMS Microbiology Ecology. 2007;60(3): 419-428. 

  20. Semenov AV, van Overbeek L, van Bruggen AHC. Percolation and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c serovar typhimurium in soil amended with contaminated dairy manure or slurry.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09; 75(10): 3206-3215. 

  21. Farber JM.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fresh produce and E. coli. The Conversation. January 23, 2018. https://theconversation.com/everything-you-need-to-know-about-fresh-produce-and-ecoli-90230 [assessed April 20, 2020].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icrobial Risk Profile. Pathogenic E. coli. Osong: MFDS. 2015;163-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