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년초 추출물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억제와 Staphylococcus aureus 증식에 미치는 영향
Dual Effectivenes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for Enzymatic Browning Inhibit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on Fresh-cut Appl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4, 2012년, pp.401 - 405  

서영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갈변 및 미생물 억제제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신선절단 사과에 백년초추출물을 처리하여 색도변화, peroxidase 활성, 황색포도상구균 생육을 조사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의 L값은 백련초 추출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폭이 적어 갈변억제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백련초 추출물 처리구는 2일째부터 갈변억제효과를 보였다. Peroxidase 활성도 백년초 추출물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변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에서 백년초 추출물 25 mg/mL 이상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 생육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온도별로는 $21^{\circ}C$ 저장시 억제효과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100 mg/mL 처리구에서 4일째부터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한계 이하로 관찰되어 생육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백년초 추출물 처리는 신선절단 사과의 저장 중에 갈변억제 및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육억제에 효과적인 천연물이며, 향후 신선절단식품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식품첨가제로서 개발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ual effectivenes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for browning inhibit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on fresh-cut apples was investigated. Prepared apple slices were treated with 25, 50, 100, 200 mg/mL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packag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for 10 days at 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선절단 사과에 백년초 추출물을 처리한 후 저장기간동안 갈변억제와 황색포도상구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천연 갈변억제제 및 항균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Within the same column,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for the same speci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 3)ND means < 1 log CFU/g (below detection limi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년초는 무엇을 기원으로 하는가? 백년초는 선인장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Opuntia ficus indica를 기원으로 한다8). 백년초의 효능으로는 변비치료, 이뇨효과, 장운동의 활성화, 염증 완화, 항 궤양 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및 고혈압 예방, 당뇨병 예방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9-10).
신선절단 제품에 shelf life 연장을 위한 적절한 기술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과일 및 채소류를 가장 최소한의 가공만을 행하여 신선한 품질 그대로를 제공할 수 있는 신선절단 관련 제품의 수요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1). 세척, 박피, 절단 등의 단순한 처리를 통해 생산된 신선절단(fresh-cut) 제품은 조직파괴에 따른 갈변, 연화, 생리적 장애 및 미생물오염 등의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어 신선절단 가공품의 shelf life 연장을 위한 적절한 기술이 요구된다2-3). 사과의 신선절단 제품은 다른 과채류에 비해 최근 샐러드 바, 학교 및 회사의 단체급식 등에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4).
백년초의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백년초는 선인장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Opuntia ficus indica를 기원으로 한다8). 백년초의 효능으로는 변비치료, 이뇨효과, 장운동의 활성화, 염증 완화, 항 궤양 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및 고혈압 예방, 당뇨병 예방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9-10).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거제도, 신안군 등 남해안 지방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 제주도를 중심으로 백년초의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lende, A.F., Tomas, B. and Gil, MI.: Minimal processing for healthy traditional foods. Trends Food Sci. Tech., 17, 513-519 (2006). 

  2. Watata, A.E., Abe, K. and Yanauchi, 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artial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Food Technol., 44, 116-122 (1990). 

  3. Brecht, J.K.: Physiology of lightly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HortScience, 30, 18-22 (1995). 

  4. Saftner, R.A., Abbott, J., Bhagwat, A.A. and Vinyard, B.: Quality measurement of intact and fresh-cut slices of Fuji, Granny Smith, Pink Lady and GoldRush apples. J. Food Sci., 70, 317-324 (2005). 

  5. Rupasinghe, H.P.V., Murr, D.P., DeEll, J.R. and Odumeru, J.: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1-MCP) and NatureSealTM on the quality of fresh-cut apples. J. Food Quality, 28, 289-307 (2005). 

  6. Soliva-Fortuny, R.C. and Martin-Belloso, O.: New advances in extending the shelf-life of fresh-cut fruits. Trends Food Sci. Technol., 14, 341-353 (2003). 

  7. Seo, Y.H., Jang, J.H. and Moon, K.D.: Occurrence and characterization of enterotoxigenic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sprouts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9, 313-319 (2010). 

  8. Lee, C.B.: Korean flor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pp. 559-565 (1985). 

  9. Chung, H.J.: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 160-166 (2000). 

  10. Park, E.H. and Chun, M.J.: Wound healing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Fitoterapia, 72, 165-167 (2001). 

  11. Seo, Y.H., Han, C.H., Lee, J.M., Choi, S.M. and Moon, K.D.: Effect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app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09-1013 (2012). 

  12. Cho, I.K., Seo, K.S. and Kim, Y.D.: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nt effec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xtracts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Korean J. Food Preserv., 16, 953-958 (2009). 

  13. Galati, E.M., Tripodo, M.M., Trovato, A., Miceli, N. and Monforte, M.T.: Biological effect of Opuntia ficus indica(L.) Mill. waste matter Note I: diuretic activity. J. Ethnopharmacol, 79, 17-21 (2002). 

  14. Gurrieri, S., Miceli, L., Lanza, C.M., Toomaselli, F., Bonomo, R.P. and Rizzarelli, E.: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icilian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and perspectives for the storage of its juice. J. Agric. Food Chem., 48, 5424-5431 (2000). 

  15. Aquino-Bolans, E.H. and Mercado-Silva, E.: Effects of polyphenol oxidase and peroxidase activity, phenolics and lignin content on the browning of cut jicama. Postharvest Biol. Tech., 33, 275-283 (2004). 

  16. Zocca, A. and Ryugo, K.: Changes in polyphenoloxidase activity and substrate levels in maturing Golden Delicious apple and other cultivars. HortScience, 10, 586-587 (1975). 

  17. Weller, A., Sims, C.A., Matthews, R.F., Bates, R.P. and Brecht J.K.: Browning susceptibility and changes in composition during storage of carambola silces. J. Food Sci., 62, 256-260 (1997). 

  18. Gomez-Lopez, V.M., Devlieghere, F., Ragaert, P. and Debevere, J.: Shelf-life extension of minimally processed carrots by gaseous chlorine dioxide. Int. J. Food Microbiol., 116, 221-227 (2007). 

  19. Wu, V.C., Qiu, X., Bushway, A. and Harper, L.: Antibacterial effects of American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concentrate on foodborne pathogens. Food Sci. Tech., 41, 1834-1841 (2008). 

  20. Jung, E.J., Hong, S.J., Choi, J.E., Jeong, S.S., Oh, H.N., Lee, H.J. and Choi, C.H.: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extract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4, 28-3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