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갈변저해제로서 황금 추출물의 효소적 갈변 저해 효과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Inhibitors of Food Brown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792 - 799  

박미지 (덕성여자대학교 건강기능신소재학과) ,  장민선 (덕성여자대학교 건강기능신소재학과) ,  정문철 (한국식품연구원)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건강기능신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갈변저해 소재 발굴을 위해 황금을 열수와 EtOH로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에 사과 슬라이스를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황금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사과의 갈변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이에 열수와 EtOH 추출물을 각각 상법에 따라 분획하여 $CHCl_3$, EtOAc, $H_2O$ 분획물로 총 6가지 분획물을 얻었다. 이 분획물에 대한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측정, 금속이온 chelating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와 PPO(polyphenol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체적으로 EtOH 추출의 분획물이 열수 추출의 분획물보다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다. 총 페놀의 경우 EtOAc 분획물에서,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CHCl_3$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FRAP assay 결과 EtOAc 및 $CHCl_3$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 chelating 활성은 특이적으로 $H_2O$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나 다른 분획물들 또한 ascorbic acid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PPO 저해 활성의 경우 $CHCl_3$ 분획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다른 항산화 측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우수한 PPO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황금의 EtOAc 및 $CHCl_3$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PPO 저해 활성으로 인해 갈변저해제로서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natural browning inhibitors. The anti-browning effects of distilled water (SBD) and 80% ethanol extracts (SBE)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n apple slices were investigated by L and ${\Delta}E$ values. Both SBD and SBE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금추출물의 사과 슬라이스에 대한 갈변 저해 효과를 살펴본 후, 이 추출물을 다양한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와 PPO 저해 활성을 조사하여 황금의 천연 갈변억제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 슬라이스를 황금 추출물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표면색을 관찰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감소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PPO 활성에 대하여 황금 추출물 침지가 미치는 영향은? 34로 무처리군에 비해 황금추출물 처리군들의 색변화가 적게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SBD의 갈변저해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Weller 등(22)은 L값의 변화는 PPO의 활성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PPO는 조직이 노화되거나 저장 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용해성이 매우 커지고 활성화된다고 하였다. PPO는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가 촉진되는데, 갈변저해 처리 시 일반적으로 추출물에 침지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므로 과육이 코팅된다. 이로 인해 산소가 차단되어 PPO의 활성을 저해시키게 되며, 황금이 지닌 항산화능으로 인해 PPO의 저해활성 또한 증가된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다양한 용매로 분획한 황금 분획물의 항산화능과 PPO 저해능을 측정하여 천연 항갈변제로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갈변이란 무엇인가? 갈변은 농산물이 조직 손상으로 인해 세포 내에 존재하는 catechin, tyrosine과 같은 polyphenol 화합물이 polyphenol oxidase(PPO)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theaflavin, melanin 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일어나는 현상이다(3,9). 이러한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Vit.
농산물의 갈변 저해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갈변은 농산물이 조직 손상으로 인해 세포 내에 존재하는 catechin, tyrosine과 같은 polyphenol 화합물이 polyphenol oxidase(PPO)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theaflavin, melanin 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일어나는 현상이다(3,9). 이러한 갈변을 저해하기 위해 Vit. C, 환원제, 산미제, 킬레이팅 약품 등의 화학물질들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건강지향적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로 화학물질 처리 대신 천연물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6,10,11). 이에 따라 생약재, 차, 과일 및 채소류 등 천연물의 갈변저해능이 보고되고는 있으나 실제로 농산물에 적용한 경우는 미비한 실정이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YL, Kim HC, Kuk YB, Park SJ, Park YK, Park JH, Seo BI, Seo YB, Song HJ, Lee, YJ, Lee YC, Lee JH, Im KH, Cho SI, Jeong JG, Joo YS, Choi HY. 2004. Herbal medicine. Young Lim Co., Seoul, Korea. p 216-217. 

  2. Shang X, He X, He X, Li M, Zhang R, Fan P, Zhang Q, Jia Z. 2010. The genus Scutellaria an ethno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review. J Ethnopharmacol 128: 279-313. 

  3. Kim SI, Do WS, Kim KS. 1999. Antioxidant effects of SR (Scutellariae Radix) aqua-acupuncture extract solution in vitro.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 16: 497-509. 

  4. Himeji M, Ohtsuki T, Fukazawa H, Tanaka M, Yazaki S, Ui S, Nishio K, Yamamoto H, Tasaka K, Mimura A. 2007. Difference of growth-inhibitory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producing flavonoid wogonin among human cancer cells and normal diploid cell. Cancer Lett 245: 269-274. 

  5. Rageart P, Verbeke W, Devlieghere F, Debevere J. 2004. Consumer perception and choic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packaged fruits. Food Quality Preference 15: 259-270. 

  6. Sapers GM, Miller RL. 1992. Enzymatic browning control in potato with ascorbic acid-2-phosphates. J Food Sci 57:1132-1135. 

  7. Braaksma A, Schaap DJ, Schipper CMA. 1999. Time of harvest determines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comm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Postharvest Biol Technol 16: 195-198. 

  8. Sapers GM, Miller RL, Miller FC, Cooke PH, Chio SW. 1994. Enzymatic browning control in minimally processed mushrooms. J Food Sci 59: 1042-1047. 

  9. Martinez MV, Whitaker JR. 1995. The biochemistry and control of enzymatic browning. Trends Food Sci Technol 6: 195-200. 

  10. Fallik E. 2004. Prestorage hot water treatments (immersion, rinsing and brushing). Postharvest Biol Technol 32: 125-134. 

  11. Lee GC, Ahn SC. 1997. Inhibition effect of several cereal extracts on enzymatic browning. Korean J Soc Food Sci 13: 390-395. 

  12. Jung SW, Lee NK,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ol 27: 891-896. 

  13. Kim JK, Cha WS, Park JH, Oh SL, Cho YJ, Chun SS, Choi C. 1997.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73-177. 

  14. Chang MS, Park M, Jeong MC, Kim D, Kim GH. 2011. Antioxidative and antibrowning effects of Taraxacum platycarpum and Chrysanthemum indicum extracts as natural antibrowning agents. Korean J Food Preserv 18: 584-589. 

  15. Richard-Forget FC, Goupy PM, Nicolas JJ. 1992. Cysteine as an inhibitor of enzymatic browning. 2. Kinetic studies. J Agric Food Chem 40: 2108-2113. 

  16. Lin JY, Tang CY. 2007.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selected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their stimulatory effects on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Food Chem 101: 140-147. 

  17. Ramos A, Visozo A, Piloto J, Garcia A, Rodriguez CA, Rivero R. 2003. Screening of antimutagenicity via antioxidant activity in Cuban medicinal plants. J Ethnopharmacol 87: 241-246. 

  18. Woo KS, Seo MC, Kang JR, Ko JY, Song SB, Lee JS, Oh BG, Park GD, Lee YH, Nam MH, Jeong HS.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95-1699 . 

  19.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0. Dinis TC, Maderia VM, Almeida LM. 1994. Action of phenolic derivatives (acetaminophen, salicylate, and 5-aminosalicylate) as inhibitors of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as peroxyl radical scavengers. Arch Biochem Biophys 315:161-169. 

  21. Dennis D, Miller JW. 1998. Enzymatic browning. In Kinetics of Tyrosinase. Chapman & Hall, Inc., New York, NY, USA. p 44-49. 

  22. Weller A, Sims CA, Matthews RF, Bates RP, Brecht JK. 1997. Browning susceptibility and changes in composition during storage of carambola slices. J Food Sci 62: 256-260. 

  23.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activities of Sasa borealis leaf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86-592. 

  24.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5. Hyun MR, Lee YS, Park YH.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of Chrysanthemum zawadskii flowers. Kor J Hort Sci Technol 29: 68-73. 

  26. Cai Y, Luo Q, Sun M, Corke H.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27. Chung HJ, Jeon IS. 2011.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Korean J Food Preserv 18: 739-745. 

  28.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8-333. 

  29. Park CS, Kim DH.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Zizyphus jujub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r J Herbology 23: 41-51. 

  30. Kim YH, Paek JY, Kwon HJ, Lee JW, Yoon KH, Han MD. 2009.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Korean J Food & Nutr 22: 367-376. 

  31. Ooi KL, Muhammad TS, Tan ML, Sulaiman SF. 2011. Cytotoxic, apoptotic and anti- ${\alpha}$ -glucosidase activities of 3,4-di-O-caffeoyl quinic acid, an antioxidant isolated from the polyphenolic-rich extract of Elephantopus mollis Kunth. J Ethnopharmacol 135: 685-695. 

  32. Ebrahimzadeh MA, Pourmorad F, Bekhradnia AR. 2008. Iron chelating activity,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some medicinal plants from Iran. Afr J Biotechnol 7: 3188-3192. 

  33. Wong JY, Chye FY.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cted tropical wild edible mushrooms. J Food Compos Anal 22: 269-277. 

  34. Peter MAT, David AB. 2008. Biochemical bases of appearance and texture changes in fresh-sut fruit and vegetables. Postharvest Bio Tec 48: 1-4 

  35. Komori K, Yatagai K, Tatsuma T. 2004. Activity regulation of tyrosinase by using photoisomerizable inhibitors. J Biotechnol 108: 11-16. 

  36. Seo SY. 2001.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oriental herbs. Korean J Plant Res 14: 32-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