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두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dduk Added with Soybean Flou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688 - 695  

강호진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이현유 (한국식품연구원)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두분말을 떡볶이 떡에 첨가하여 수분, 색도, 조리특성, 기계적 조직감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대두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은 모든 저장기간에서 대두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두분말 15% 첨가군인 SF15는 저장 0, 1, 2일째에 각각 46.30, 46.30, 45.00%로 전 처리군 중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대두분말을 첨가한 처리군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군보다 L값은 낮았고 첨가한 처리군들간에는 대두분말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고 a, b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1일째까지는 색을 유지하였다가 저장 2일째에는 유의적으로 변화하였다. 조리특성 결과, 대두분말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흡수율은 감소하였고 고형물 용출량은 증가하였다. 기계적 조직감 특성결과, 떡볶이 떡의 경도, 씹힘성, 응집성은 대두분말을 첨가한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나 대두분말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탄력성은 전처리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부착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두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관능적 특성 결과 맛, 향, 색, 경도, 탄력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저장기간 0, 1, 2 일째 모두에서 대두분말 5% 첨가한 떡볶이 떡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떡볶이 떡에 식이섬유와 단백질 급원인 대두분말을 첨가하였을 시 떡의 수분을 유지시켜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5% 첨가군이 맛과 향,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여 제조 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기능성과 품질이 우수한 떡볶이 떡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soybean flour (0, 5, 10, and 15%)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moisture, color, water absorption, solid content,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of Topokkidduk stored for two days was studied. The moisture content of Topokk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soybean flou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탄수화물이 주원료인 떡볶이 떡에 단백질과, 지방 및 섬유소원인 대두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과 품질이 우수한 신개념의 떡볶이 떡을 제조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떡볶이 떡의 원재료인 가공용쌀 소비촉진을 도모하고 떡볶이 떡 제조 표준화 확립에 기여코자 한다.
  • 탄수화물이 주재료인 떡볶이용 가래떡에 단백질과 섬유소가 풍부한 대두를 첨가하여 함께 섭취하게 되면 영양적인 측면 뿐 아니라 조직감과 노화지연과 같은 품질개선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탄수화물이 주원료인 떡볶이 떡에 단백질과, 지방 및 섬유소원인 대두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과 품질이 우수한 신개념의 떡볶이 떡을 제조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떡볶이 떡의 원재료인 가공용쌀 소비촉진을 도모하고 떡볶이 떡 제조 표준화 확립에 기여코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장 기간에 따른 대두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 경향은 어떠했는가? 대두분말을 떡볶이 떡에 첨가하여 수분, 색도, 조리특성, 기계적 조직감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대두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은 모든 저장기간에서 대두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두분말 15% 첨가군인 SF15는 저장 0, 1, 2일째에 각각 46.
대두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 생리적으로 우수한 식품인가? 시장에 공급되는 대두의 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2000년대 전반기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완만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소비자들이 대두와 대두 가공제품을 건강식품으로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18). 대두에는 galactomannan 형태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혈청을 낮추어주는 peptide, globulins, isoflavones, saponin 등의 콩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19). 대두는 glycinin과 albumin등의 단백질뿐 아니라 oligosaccharide, isoflavone, saponin과 같은 기능성 성분 또한 많이 함유하고 있어 영양생리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다(20). 최근 대두가 곡류, 크래커, 비스킷, 영양식이나 빵 제조에 이용되어 단백질 향상이라는 영양개선의 목적을 위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21,22).
대두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떡의 고형물 용출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09%로 나타나 대두분말 첨가량이 높은 떡의 고형물 용출량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감소하거나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고형물 용출이 증가한 것은 대두분말과 떡 내부에 있는 전분, 단백질, 유리지방 등의 수용성 성분들이 물속으로 용출되어져 나오면서 일어난 현상으로 수용성 성분이 많을수록 고형물 용출량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Food policy. Food J, 174, 43 

  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Food news. Food J, 175, 118 

  3. Kim OS, Shin MJ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according to age in capita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11-16 

  4. Kim SS, Chung HY (2007) Texture properties of a Korean rice cake (karaedduk) with addition of carbohydrate material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 1205-1210 

  5. Son HS, Park SO, Hwang HJ, Lim ST (1997) Effect of oligosaccharide syrup addition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13-1221 

  6. Kim SS, Chung HY (2007) Effects of carbohydrate materials on retarding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 1320-1325 

  7. Park JW, Park HJ, Song JC (2003) Suppression effect of maltitol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Korean J Soc Food Sci Nutr, 32, 175-180 

  8. Shin AC, Song JC (2004) Supression functions of retrogradation in Korean rice cake (garaeduk) by various surfactan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3, 1218-1223 

  9. Song JC, Park HJ (2003) Functions of various hydrocolloids as anticaking agents in Korean rice cak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2, 1253-1261 

  10. Lee JK, Jeong JH, Lim J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added with ginse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26-434 

  11. Kim MY, Jeong YK, Son CW, Jhon ES,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spirulina added Korean rice cake (garaedu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8-16 

  12. Lee J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green rice garaedduk. PhD thesis, University of Sejong, Seoul, Korea 

  13. Choi E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ice bran. PhD thesis, University of Sejong, Seoul, Korea 

  14. Ahn JW (2009) Properties of rice cakes for Topokki with curry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67-473 

  15. Choi EH, Lee J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oasted rice bran.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 277-286 

  16. Shin DS, Park HY, Han GJ, Kim M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tteok with different ratios of non-glutinous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853-859 

  17. Kang HJ, Kum JS, Jung JH, Lim ST (2011) Effect of number of extrusions on Topokkidduk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12-1616 

  18. KREI. (2010) Agriculture observation. Soybean, January, p 2 

  19. Kim SO, Park MK, Oh JS, Lee HO (2003) The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soybean and their products, oils and fats consumption and serum lipids of hyperlipidemic adult meales. Korean Soybean Digest, 20, 53-62 

  20. Kim JY, Han JH, Kim JK, Moon KD (2000) Quality attributes of whole soybean flour tofu affected by coagulant and their concent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02-409 

  21. Schryber T (2002) Increasing health benefits using soygerm. Cereal Foods World, 47, 185-188 

  22. Yoo YJ, Chang HG, Choi YS (2005) Effect of soy flour on the bread making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01-310 

  2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4. Kim H, Moon TW (1999) Quality attributes of bread with soymilk residue dietary fiber. Food Sci Biotechnol, 8, 245-250 

  25. Doxastakis G, Zafiriadis I, Irakli M, Marlani H, Tananaki C (2002) Lupin, soya and triticale addition to wheat flour doughs and their effect on rheological properties. Food Chem, 77, 219-227 

  26. Vittadini E, Vodovotz Y (2003)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and soy-conteaining breads during storage as studied by thermal analyses. J Food Sci, 68, 2022-2027 

  27. Nilufer D, Serventi L, Boyacioglu D, Vodovotz Y (2012) Effect of soy milk powder addiation on staling of soy bread. Food Chem, 131, 1132-1139 

  28. Chae KY,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different amounts of Job's tears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70-776 

  29. Yoon GS (2001) Effect of partical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black or brown rice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and retrogradation of Julpyu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 103-111 

  30. Nelson A (2001) Baked goods and extruded applications. In A. L. Nelson (Ed), High-fibre ingredients. St, Paul, Minnesota, Eagan Press, p 45-62 

  31. Jung JY, Kim WJ, Chung H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erminated soybea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60-1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