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칼슘보충제의 이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lcium Supplement Manufactured using Starfish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727 - 734  

박희연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정임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남기호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장미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업의 해적생물인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칼슘보충제를 개발하기위해 불가사리 소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조건과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불가사리 소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조건은 온도 $55^{\circ}C$에서 12시간동안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겉보기밀도는 아무르불가사리 $1.1{\pm}0.0g/cm^3$, 별 불가사리 $1.2{\pm}0.0g/cm^3$이었으며 median size는 아무르불가사리 $10.738{\mu}m$, 별불가사리 $11.799{\mu}m$이었다.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첨가농도에 따른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분산성은 0.0%에서 6시간, 0.1%에서 3일, 0.2%에서 20일, 0.4%에서 30일까지 양호하였으며 염산에 대한 화학반응속도는 별불가사리 0.053 mL/sec, 아무르불가사리 0.057 mL/sec, 탄산칼슘 0.063 mL/sec이었다.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원소 조성은 칼슘이 아무르불가사리 98.95%, 별불가사리 98.52%이었으며 XRD상 분석결과, 탄산칼슘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불가사리 골판은 칼슘보충제의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developing calcium supplement from the harmful marine organism starfish, the physiochemical property of the powdered starfish skeletal plate and the hydrolysis condition of the starfish digestive enzyme were studied. The optimal hydrolysis condition of the starfish digestive enzymes wa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가사리의 체내에 존재하는 소화효소를 이용하여 체벽을 가수분해한 후 골판을 수득하여 칼슘보충제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골판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불가사리 골판의 수득량 변화 실험의 결과는? 1과 같다. 적정 가수분해 온도를 규명하기 위해 온도 35, 45, 55, 65 및 75℃의 진탕항온수조에서 16시간 동안 각각 가수분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골판 수득량은 별불가사리가 각각 143.0, 239.5, 275.8, 246.8 및 156.4 g이었고, 아무르불가사리는 각각 108.3, 165.2, 182.5, 158.6 및 110.9g으로 모두 5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Kishimura와 Hayashi (20)는 별불가사리의 유문맹랑으로부터 trypsin을 분리하였으며 이 효소의 최적반응온도는 55℃라고 보고하였다.
칼슘이란? 칼슘은 인체 내에서 골격과 치아의 형성, 혈액의 응고, 근육의 수축 이완, 신경전달 작용, 세포막의 투과성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필수 불가결한 원소 중의 하나이다(1). 그러나 현대인이 지속적으로 먹고 있는 식품에 첨가된 인산염, 설탕, 알코올, 니코틴, 카페인 등은 칼슘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고, 탄산음료의 과다한 섭취는 칼슘의 체외 배출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칼슘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성분은? 칼슘은 인체 내에서 골격과 치아의 형성, 혈액의 응고, 근육의 수축 이완, 신경전달 작용, 세포막의 투과성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필수 불가결한 원소 중의 하나이다(1). 그러나 현대인이 지속적으로 먹고 있는 식품에 첨가된 인산염, 설탕, 알코올, 니코틴, 카페인 등은 칼슘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고, 탄산음료의 과다한 섭취는 칼슘의 체외 배출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또한 칼슘의 흡수는 장내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내이용률은 최대 60%를 넘지 못하며 보통 성인의 칼슘흡수율은 25~30%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현대인의 대다수는 체내 칼슘이 부족한 상태에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erson JJ, Gammer SC (1995) Calcium and phosphorus in health and disease.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p 1-5 

  2. Kazuhiro U (1998) Intestinal calcium absorption. Food and Development, 33, 9-11 

  3. Tomio I (1987) On intake of calcium. New Food Industry, 29, 4-7 

  4. Louie DS (1996) Calcium and phosphorus in health and disease: Intestinal bioavailability and absorption of calcium.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USA, p 45 

  5. Lee YS, Moon JI, Jang SJ (2005) Bioavailability of starfish calcium as a novel calcium sour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6, 135-148 

  6. Lee YS, Moon Ji, Jang SJ, Park MN, Park HY (2007) Effects of supplemental agents enhancing calcium absorption on bioavailability of starfish calciu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32-839 

  7. Kim JS, Choi JD, Kim DS (1998) Preparation of calcium-based powder from fish bone and its characteristics. J Agri Chem Biotechnology, 41, 147-152 

  8. Kim JS, Cho ML, Heu MS (2000) Preparation of calcium powder from cooking skipjack tuna bone and its characteristics. J Korean Fish Soc, 33, 158-163 

  9. Cho ML, Weu MS, Kim JS (2001) Calcination condition for recovery of calcium from cuttle bone and characteristics of calcined cuttle bone powder. J Korean Fish Soc, 34, 600-604 

  10. Chang SO (2003) A study on the calcium bioavailability of eggshell powder in the growing rats. Korean J Nutr, 36, 684-690 

  11. Kim YS (1969) Selective feeding on the several bivalve mollusks by starfish, Asterias amurensis Lutken. Bull Fac Fish, 19, 244-249 

  12. Park MS, Kim BY (1985) Feeding Behaviour of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LUTKEN). Bull Fish Res Dev Agency, 34, 171-174 

  13. Park SW, Kim TH, Oh HK (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xtermination gear for starfish Asterias amurensis and its efficiency. Bull Korean Soc Fish Tech, 33, 166-172 

  14. Park HY (2003)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with starfish.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 18-22 

  15. Burkenroad MD (1945) General discussion of problems involved in starfish utilization. Bull Bingham Oceanogr Coll, B83-5689, 44-58 

  16. Park HY, Kim JH, Yoon HD, Park JH (2003) Process for preparing calcium supplement from starfish. Korean Patent No 0408086 

  17. Kishimura H, Hayashi K (1989) Proteolytic activity of starfishes. Nippon Suisan Gakkaishi, 55, 843-846 

  18. Lewis MJ (1987) Physical properties of foods and food processing system. 1st Ed, VCH, New York, USA, p 53-58 

  19.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0. Kishimura H, Hayashi K (2002)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ypsin from pyloric ceca of the starfish Asterias pectinifera. Comp Biochem Physiol Part B, 132, 485-490 

  21. Kishimura H, Hayashi K (1989)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rypsin-like enzyme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rensis. Nippon Suisan Gakkaishi, 55, 1415-1420 

  22. Kishimura H, Hayashi K (1991)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carboxypeptidase A-like enzyme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rensis. Nippon Suisan Gakkaishi, 57, 1939-1944 

  23. Paik SYR, Ryu JN, Ko SH (2012)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lcium carbonate nano-and micro-powders. Food Eng Prog, 16, 134-138 

  24. Ji SK (2004) Calcium carbonate emulsion for enriching calcium mineral of milk. Korean Patent No 0421467 

  25. You KJ (2003) Carbonate suspension composition for food additives and the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orean Patent No 0372269 

  26. Han HK, Kwon CS, Jeon JS, Choi IJ (2010) Phase change of calcium carbonate crystals by adding additiv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 4069-4074 

  27. Kim MH, Chung SY, Sho YS, Kim MC, Kim CM (2001) Establishments of lead standards through monitoring heavy metals in calcium, chitosan and propolis health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25-5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