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배자 추출물의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us javanic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751 - 756  

배종섭 (경북대학교 약학과, 약학연구소) ,  이현식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하영 (경북대학교 약학과, 약학연구소) ,  유병혁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완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용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재약리학과) ,  김태훈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재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 오배자를 80%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ACh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에서 $IC_{50}$값이 $10.4{\pm}0.3mg/mL$으로 대조군인 (+)-catechin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오배자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이 $IC_{50}$값이 7.8 mg/mL 이하였고, n-BuOH층이 $IC_{50}=8.5{\pm}0.9mg/mL$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활성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우수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ACh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층의 $IC_{50}$은 각각 31.3 mg/mL 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tacrine에 비해 다소 낮으나 분획물일 때의 활성임을 감안할 때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천연물유래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ACh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배자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capacity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aqueous methanolic extract of Rhus javanica were investigated in vitro. The antioxidant properties was measured by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DPPH and $ABTS^+$ radicals. The AChE inhibitory efficacy of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배자에는 항산화, 항혈전, 항바이러스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 등이 보고 되어져 있으며(14-17), 이들 활성과 관련된 화합물은 gallotanin류및 triterpenoid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로부터 천연활성소재 개발을 목표로 하여 약 300여종의 천연소재로부터 생리활성을 지표로 한 체계화된 효능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 오배 자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우수한 AChE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b)Used as a positive contro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와 관련된 acetylcholinesterase 저해제 개발을 위하여 스크리닝 된 다양한 천연소재 중 효과를 보인 것들은? 뇌세포의 퇴화의 주된 원인인 노화는 혈액중 활성 산소나 노화물질이 많아지면서 더욱 가속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현재까지 치매치료와 관련된 AChE 저해제개발을 위하여 다수의 천연소재가 스크리닝되었고, quercetin, (-)-epigallocatechin gallate, transresveratrol, curcumin, berberine, (-)-oleocanthal, rosmarinic acid 등의 다양한 골격의 화합물과 다수의 alkaloid, flavonoid 등 이 AChE에 대해 뛰어난 저해 효능을 나타냄이 보고되었으며 약물로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이다 (12,13).
치매란? 노화와 관련된 질환 중, 치매는 뇌세포의 퇴화로 말미암아 기억력, 인지 능력 감퇴, 학습력 저하 등의 증세를 나타내게 되는 질환이다. 뇌세포의 퇴화의 주된 원인인 노화는 혈액중 활성 산소나 노화물질이 많아지면서 더욱 가속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1).
오배자란 무엇인가? 오배자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붉나무에진딧물(Melaphis chinensis)이 기생하여 생긴 벌레집으로서, 예로부터 수렴지사제, 회상출혈 치료에 이용되어져왔으며 오배자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탄닌은 염료 및 잉크 등의 제조에 사용되어져 왔다(14). 오배자에는 항산화, 항혈전, 항바이러스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 등이 보고 되어져 있으며(14-17), 이들 활성과 관련된 화합물은 gallotanin류및 triterpenoid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rnetti L, Senin U, Mecocci P (1997) Cognitive enhancement theraphy for Alzhemer's disease. The way forward. Drugs, 53, 752-768 

  2. Brinton RD, Yamazaki RS (1998) Advances and challenge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mer's disease. Pharmaceut Res, 15, 386-398 

  3. Kim WG, Cho KM, Lee CK, Yoo ID (2002) Terreulactone A, a novel meroterpenoid with anti-acetylcho- linesterase activity from Aspergillus terreus. Tetrahedron Lett, 43, 3197-3198 

  4. Schneider LS (1996) New therapeutic approaches to Alzheimer's disease. Psychiatry, 57, 30-36 

  5. Ahmad S. 1995.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fenses in biology. Chapman & Hall, New York. 

  6. Halliwell B (1991) Drug antioxidant effects. Drugs, 42, 569-605 

  7. Shim JS, Kim SD, Kim TS, Kim KN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83 

  8.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ytylated hydoxytoluane. J Oil Chem Soc 52, 59-62 

  9.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s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10. Mattson MP (2004) Pathway towards and away from Alzheimer's disease. Nature, 430, 631-639 

  11. Benson A (2005) Alzheimer's disease: A gangled issue. Drug Discovery Today, 10, 749-751 

  12. Orhan I, Kartal M, Tosun F, Sener B (2007) Screening of various phenolic acids and flavonoid derivatives for their anticholinesterase potential. Z Naturforsh C, 62, 829-832 

  13. Orhan I, Naz Q, Kartal M, Tosun F, Sener B, Choudhary MI (2007) In vitro anticholinesterase activity of various alkaloids. Z Naturforsh C, 62, 684-688 

  14. Cha BC, Lee SB, Rhim TJ, Lee KH (2000) Constituent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rom Galla Rhois (Rhus javanica Linne). Kor J Pharmacogn, 31, 185-189 

  15. Song GY, Park BJ, Kim SH (2002) Antithrombotic effect of Galla Rhois. Kor J Pharmacogn, 33, 120-123 

  16. Kurokawa M, Basnet P, Ohsugi M, Hozumi T, Kadota S, Namba T, Kawana T, Shiraki K. (1999) Anti-herpes simplex virus activity of moronic acid purified from Rhus javanica in vitro and in vivo. J Pharmacol Exp Ther, 289, 72-78 

  17. Chen LG, Chang WL, Lee CJ, Lee LT, Shin CM, Wang CC (2009) Melanogenesis inhibition by gallotannins from Chinese galls in B16 mouse melanoma cells. Biol Pharm Bull, 32, 1447-1452 

  18. Gao X, Bjor, L, Trajkovski V, Uggla M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hip 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test system. J Sci Food Agri, 80, 2021-2027 

  19. Ellman GL, Countney KD, Andress V, Featherstone RM (1961)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 

  20.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nt activity applying and improved ABTS radical ac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2. Torel J, Gillard J,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23. Wang SY, Chang HN, Lin KT, Lo CP, Yang NS, Shyur LF (2003) Antioxidant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J Agric Food Chem, 26, 1506-1512 

  24. Kim JS, Kim YS, Kim SK, Heor J, Lee BH, Choi BW, Ryu G, Park EK, Zee OP, Ryu SY (2002) Inhibitory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the acetylcholienesterase (AChE) in vitro. Kor J Pharmacgn, 33, 211-218 

  25. Peng WH, Hsieh MT, Wu CR (1997) Effect of long term administration of berberine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in rats. Jpn J Pharmacol, 74, 261-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