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hysical Function(ADL, IADL) Among the Rural Elderl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 2012년, pp.201 - 210  

신은숙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들의 ADL, IADL 및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농촌지역 노인 412명(남자 191명, 여자 221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ADL의 분포는 정상범위노인군 94.7%, 기능장애노인군 5.3%이었으며, IADL의 분포는 정상범위노인군 87.4%, 기능장애노인군 12.6%이었다. 우울수준의 분포는 정상군 59.0%, 우울군 41.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우울군의 분포는 ADL이 정상범위노인군에서 38.2%, 기능장애노인군에서 90.9%로 기능장애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IADL이 정상범위노인군에서 35.8%, 기능장애노인군에서 76.9%로 기능장애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변수를 통제한 다변량 모델에서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대한 위험비는 ADL에서 정상범위노인군보다 기능장애노인군에서 23.21배(95% CI=4.38~123.05) 높았고, IADL에서 정상범위노인군보다 기능장애노인군에서 7.76배(95% CI=2.99~20.0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농촌지역 노인들의 ADL과 IADL이 기능장애노인군인 경우 정상군에 비해 우울상태로 되는 위험비가 높아졌다. 따라서 향후 노인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개인의 ADL 및 IADL과 같은 신체적 기능을 더욱 건강하게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o reveal its relationships between ADL and IADL among rural elderlies.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10, to 412 elderlies in rural areas. As a results, the distribu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증상 정도를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특히 신체적 기능을 나타내는 ADL 및 IADL이 독립적으로 우울증상정도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ADL, IADL과 우울증상 정도를 알아보고, ADL, IADL과 우울증상정도와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들의 우울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및 건강상태 등 여러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ADL과 IADL이 독립적으로 우울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밝혀낸 것이다. 따라서 향후 노인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개인의 ADL 및 IADL과 같은 신체적 기능을 더욱 건강하게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로 나타나는 두드러진 신체적 변화는 무엇이 있는가? 인간은 누구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적인 현상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노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노화로 나타나는 두드러진 신체적 변화의 하나로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y of Daily Living; ADL)이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을 들 수 있으며, 정신기능변화의 하나로는 우울경향의 증가를 들 수 있다[2].
ADL과 IADL가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을 알아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같은 신체적 기능 상태를 평가하는 데는 특정 질병의 진단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신체적 기능상태의 장애 유무 및 그 정도를 측정함이 바람직하다[4]. 따라서 평가되어야 할 신체 기능들 중에서 ADL이나 IADL에 장애가 있으면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ADL과 IADL을 평가하는 것은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을 알아보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ADL 및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한 로지스틱회귀분석의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 노인의 ADL 및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우울수준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던 학력,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거주상태, 월수입, 생활비조달, 주관적인 수면의 질에 대한 평가, 음주여부, 규칙적인 운동여부, 규칙적인 식사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의 부자유 유무, 눈, 귀 및 치아의 부자유 유무, 요실금 유무, 건망증 증상 유무의 변수를 통제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위험비는 ADL에서 정상범위노인군보다 기능장애노인군에서 23.21배(95% CI=4.38~123.05) 높았고, IADL에서 정상범위노인군보다 기능장애노인군에서 7.76배(95% CI=2.99~20.0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Lee[28]의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ADL 및 IADL을 지적하고 있으며, Yang[21]도 ADL 및 IADL이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ited 2009 October 31]. Available form: URL:http:/www.kosis.kr. 

  2. Choe YA. A Survey on the Depression, Self-esteem and Health Behavior of the Aged. J Welfare for the Aged, 21: 27-47. 2003. 

  3. Cho YH. Physical and social Disability among the Aging. J Korean Acad Nurs, 18(1);70-79. 1988. 

  4. Park JH. Assessment of Functional Status in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4(3):636-641. 1995. 

  5. Kendler K, Karkowski LM, Prescott C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the onset of major depression. Am J Psych, 156:837-842. 1999. 

  6. Hur JS, Yoo SH.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Person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3:7-35. 2002. 

  7. Won JM, Kang YG, Bae CY, Lee HT, Lee SK, Lee YJ.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19(1):77-85. 1998. 

  8. Kim JS, Sohn TY, Kum R, Hong KD. Depression and It's relating factors among the elderly using health center and Kyungno-Dang in a designated area.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3):141-153. 1999. 

  9. Kim BH, Nam CH.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ed with Depressive Scale among the Korean Elderly Who Lives with Spous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2): 173-192. 1999. 

  10. Ko HN, Lee SS, Han HJ.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J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4):645-655. 2001. 

  11. Choi HK. Depression in Low Income Grandmothers Rsing Grandchildren and Its Related Factors.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3):207-222. 2002. 

  12. Lee SS, Je MS, Choi WH.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Koje Cit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1):97-104. 2005. 

  13. Chung Cheong Nam Do. Statistical Year Book, 2010. 

  14.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Am J Med Assoc, 185:914-919. 1963. 

  15.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Am J Med Assoc, 185:914-919. 1963. 

  16. Won CW, Yang KY, Rho YG, Kim SY, Lee EJ, Yoon JL, Cho KH, Shin HC, Cho BR, Oh JR, Yoon DK, Lee HS, Lee YS.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J Korean Geriatr Soc, 12(3):221-230. 2002. 

  17. Weissman MM, Locke BZ.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 (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102: 430-431. 1975. 

  18.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urement, 1:385-401. 1977. 

  19.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Ⅲ-R major depression. J of the Korean Neuropsychiatr Assoc,32(3):381-399. 1993. 

  20. Dewey ME, Camara C, Copelend JRM: Cross-cultural comparison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people. Acta Psychiatr Scand, 87;369-373. 1993. 

  21. Yang YM.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5. 

  22. Kang HS, Kim KJ.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Aged.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6(4):451-459. 2000. 

  23. Herr KA, Mobily PR. Chronic pain and depression. J Psych Nur, 30(9):7-12. 1992. 

  24. Donaldson LJ, Jagger C: Survival and functional capacity : three year follow up of an elderly population in hospitals and hom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37;176-179. 1983. 

  25. Gurlanik JM, Simonsick EM: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Americans. J. Gerontol, 48;3-10. 1993. 

  26. Park JY. Assessment of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27. Shin SC, Kim CH, Lee JS, Lee HY, Yoo KJ. A Sociopsychiatric Stud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in a Korean Rural Commun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1(6) 1063-1071. 1992. 

  28. Lee JC, Park JA, Bae NK, Cho YC.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J Agr Med Commun Health 33(2):204-22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