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령자의 연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ADL, IADL)과 관련요인
Age-Related Physical Function(ADL, IADL) and its Related Factors of Elderly Peopl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002 - 2011  

송영수 (국민건강보험공단) ,  배남규 (국민건강보험공단)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들을 연령대별로 70대군, 80대군, 90대군 및 100세 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ADL과 IADL수준을 비교해 보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09~2012년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수검 및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았던 70세 이상 고령자 1,756명(남성 872명, 여성 884명)이었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대별 ADL과 IADL기능장애군의 분포는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ADL에 대한 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농촌지역보다 도시지역에서, 정상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서, 뇌졸중 과거력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IADL에 대한 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정상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자들의 ADL과 IADL 수준이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에서 ADL과 IADL 수준이 저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ysical function (ADL, IADL)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The study subjects were 1,756 (male 872, female 884) people aged over 70 who received medical check-ups and long-term care services betw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노인 장기요양 인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고령자들을 연령대별로 70대군, 80대군, 90대군 및 100세 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신체적 건강수준(ADL, IADL)을 비교해 보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건강이 사회전체의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사대상 고령자의 연령을 「70~79세군」, 「80~89세군」, 「90~99세군」, 「100세 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신체적 건강수준으로 ADL과 IADL수준을 비교해 보고 그의 관련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후 65세 이상의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2000년에 전체 인구의 7.2%를 넘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진입하였으며, 2013년 현재는 12.2%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로 나간다면 2018년에는 14.5%에 달해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평균수명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여 2012년 현재,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81.
2012년 남녀 평균수명은? 5%에 달해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평균수명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여 2012년 현재,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81.4세로 남성은 77.9세, 여성은 84.6세를 기록하고 있다[1]. 이와 같이 인구의 고령화 경향이 뚜렷해짐에 따라 노인기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신체적 기능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는? 노인의 신체기능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y of Daily Living: ADL)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4]. ADL은 착의능력, 목욕능력, 화장실 사용능력, 이동능력, 식사능력 및 배뇨 조절능력으로 구성되어지나, 이 ADL의 척도는 약간의 낮은 수준의 기능을 다룬다고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ited 2013 October 31]. Available form: URL:http:/www.kosis.kr. 

  2. Cho YH. Physical and social disability among the aging. J Korean Acad Nurs, 18(1);70-79. 1988. 

  3. Park JH. Assessment of functional status in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4(3):636-641. 1995. 

  4. Stein RK, Gortmaker SL, Perrin EC, Perrin MJ, Pless IB, Walker DK Wertzman: Severity of illness: concept and measurements. Lancet 12:1506, 198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87)92633-X 

  5.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 Am Med Assoc 185:914-919, 1963. DOI: http://dx.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6. Duke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the OARS methodology. A manual. 2nd ed. Durham, North Carolina, 1978. 

  7. Park JY. Assessment of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8. Shin SC, Kim CH, Lee JS, Lee HY, Yoo KJ. A sociopsychiatric stud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1(6):1063-1071. 1992. 

  9. Lee YH, Choi KS.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functioning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32(3):325-332, 1999. 

  10. Yim ES, Lee KJ. Effect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J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1):38-49, 2003. 

  11. Park KH, Lee YH.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with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persons.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40(2):137-144, 2007.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07.40.2.137 

  12. Shin ES, Kwon IS, Cho Y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 in the community elderl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1):4995-5004,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1.4995 

  13. Shin E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hysical function(ADL, IADL) among the rural elderl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01-2012,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01 

  14. Bae NK, Song YS, Shin ES, Cho YC.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using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5976-5985,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5976 

  15. Yang KR, Lee SJ. Study on degree of daily living activities among women with osteoarthritis. J Rheumatol Health 5:57-71, 1998. 

  16. Lee Y, Choi K.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function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 Prev Med 32:325-332, 1999. 

  17. Ho HK, Matsubayashi K, Wada T, Kimura M, Kita T, Saijoh K. Factors associated with ADL dependence: a comparative study of residential care home and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Japan. Geriatr Gerontol Int 2:80-86,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444-1586.2002.00026.x 

  18. Lim NG, Lee MS, Na BJ, Kim KY, Hong JY, Kim DK, et al. Related factors of physical function in a rural aged people. J Korean Geriatr Soc 8:69-81, 2004. 

  19. Chung JY, Kim JS, Choi HJ, Lee KY, Park TJ. Factors associated with ADL and IADL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J Korean Acad Fam Med 30:598-609, 2009. DOI: http://dx.doi.org/10.4082/kjfm.2009.30.8.598 

  20. Park SH. A Study on ADL and IADL at the actual living conditions of the old-aged by comparis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9(1):199-223, 2003. 

  21. Launer LJ, Harris T, Rumpel C, Madans J.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and risk of mobility dis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the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of NHANES I. JAMA 271:1093-1098, 1994. DOI: http://dx.doi.org/10.1001/jama.271.14.1093 

  22. Coakley E, Kawachi I, Manson J, Speizer F, Willet W, Colditz G. Lower levels of physical functioning are associated with heigher body weight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2:958-965, 1998. DOI: http://dx.doi.org/10.1038/sj.ijo.0800698 

  23. Cho SH, Kwon BK, Lee SN, Choi JY, Shin YK, Jee SH.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functional status in the Korean elderly: an analysis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J Korean Acad Fam Med 23:1440-1452, 2002. 

  24. Wang L, van Belle G, Kukull WB, Larson EB. Predictors of functional change: a longitudinal study of nondemented people aged 65 and older. J Am Geriatr Soc 50:1525-1534,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532-5415.2002.50408.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