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영상 콘텐츠 활용과 인식
Use and Perception of the Video Contents as Teaching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2, 2012년, pp.173 - 181  

최경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육현장에서 영상물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갈수록 그 중요성을 얻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영상물 활용교육의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또 어떠한 방식의 영상물 콘텐츠 활용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영상 콘텐츠 활용교육과 논리적 능력향상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했다. 대학생들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영상 콘텐츠는 강의내용의 이해를 위한 매력적인 교수법의 하나로 인식되었으며 비록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언론 현장의 생생한 현상들과 실제 사례들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준다고 인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콘텐츠 활용은 학생들의 논리적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ducation method using visual materials such as video contents is getting more attention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researched how undergraduate students perceive the objective of education method utilizing video contents, what types of education using video contents they put a great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 장에서는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대학생들이 접하는 텔레비전 활용 교육이 어떠한 목적을 갖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의 텔레비전 활용 교육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다음 장에서는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대학생들이 접하는 텔레비전 활용 교육이 어떠한 목적을 갖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의 텔레비전 활용 교육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대학생들은 텔레비전 활용교육을 자신의 논술능력 향상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텔레비전 영상물과 같은 미디어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실제 학생들에게 어떠한 목적의식을 갖고 강의에 임하게 하는지 또 어떠한 방식의 TV 영상물 활용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 탐구하는 데에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TV 영상물 활용 교육이 결국 학생들의 논리력과 논리적 주장의 개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FGI를 통하여 심층 인터뷰한 결과를 질적방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인터뷰 대상자 21명은 통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그 표본 집단의 규모가 매우 작다.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현장에서 영상물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점차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더해가는 현실에서 실제로 수업을 통해 인식하는 대학생들의 견해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더욱 폭넓은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체계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 이는 언론 현업 출신 교수님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영상물 활용 수업을 통해 접하는 언론현장의 생생한 현상들과 그에 대한 분석은 우리에게 강의실 밖의 실제 사례들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간접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준다.”
  •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MIE)이 그동안 신문 활용 교육(NIE)에 주로 집중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TIE: Television In Education)은 지금까지 그 교육현장에서의 활용도에 비하여 학술적으로 깊이 있게 연구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텔레비전 영상물과 같은 미디어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실제 학생들에게 어떠한 목적의식을 갖고 강의에 임하게 하는지 또 어떠한 방식의 TV 영상물 활용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 탐구하는 데에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TV 영상물 활용 교육이 결국 학생들의 논리력과 논리적 주장의 개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미디어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에 의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대학 교육의 현장에서 실제 강의를 듣는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영상 콘텐츠 활용교육의 목적과 방식 그리고 이러한 미디어 활용 교육이 자신의 논리적 능력향상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고 인식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FGI는 인터뷰 대상자와의 심층적 소통을 통해 진술된 내용을 분석하여 유의미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 초중고교는 물론 대학의 교육 현장에서도 텔레비전은 이미 오래전부터 매우 흥미롭고 매력적인 교육 보조 수단으로 자리잡아오고 있다. 품격 높은 교양 및 역사 다큐멘터리라든가 시사 프로그램 또는 드라마나 뉴스 등을 강의 교육과정에 연계시켜 시청하게 하고 이에 대한 소감을 논리정연하게 재구성하는 것이다.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기태, 미디어 교육의 이해와 활용,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2. 김양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3. 안정임, 전경란, 미디어 교육의 이해, 한나래, 1999. 

  4. 최창섭, 미디어 교육론, 나남, 1985. 

  5. 설진아,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에피스테메, 2008. 

  6. 강진숙,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사례연구. 독일의 연방 프로젝트 "학교를 네트워크로(Schulenans Netz)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9권, 3 호, pp.52-79, 2005. 

  7. 문혜성, 미디어 교육학,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8. 이정춘, 미디어 교육론: 미디어 시대에 살다, 집문당, 2004. 

  9. 김영순, 미디어 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a. 

  10. 김영순, 미디어 교육과 교수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b. 

  11. 이성균, 윤영두,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468-476. 

  12.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기선정, 김아미 역, 미디어 교육: 리터러시, 학습 그리고 현대문화, 제이앤북스, 2004. 

  13. 김양은, 안정임, 미디어 교육의 개념 및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위원회 1차 컨퍼런스 자료집, 2004. 

  14. 강진숙, "미디어 능력 제고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과제와 문제점 인식 사례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91-113, 2007. 

  15. 김기태, "한국 미디어 교육의 성격 분석 및 논의 ",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7권, pp.139-167, 2007. 

  16. D. Baacke, "Medienkompetenz als Netzwerk. Reichweite und Fokussierung eines Begriffs, der Konjunktur hat," medien praktisch, 20.Jg., Heft 7/8, pp.4-10, 1996. 

  17. 강진숙, "미디어 능력의 개념과 촉진 사례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52-77, 2005. 

  18. 배천웅, 한국청소년의 TV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5. 

  19. 최창섭, 미디어 교육론, 나남, 1985. 

  20. 최선열, "비판적 텔레비전 시청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신문학보, 제24호, pp.311-362, 1989. 

  21.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제28권, pp.77-110, 2005. 

  22. http://office.kbs.co.kr/tie 

  23. 안성훈, 박혜영, 고대곤,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6호, pp.293-300. 

  24. 이정춘, 김은규, 강진숙, "중고등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이용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미디어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7권, pp.43-7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