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러기가족의 분거 경험에 관한 사회교환이론적 고찰
Separation Experiences of Wild Geese Families from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2, 2012년, pp.11 - 23  

김기화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qualitativ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eparation experiences of wild geese families from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mothers who lived apart from their partners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their offspring.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교환이론은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는에 유용합니까? 사회교환이론은 1970년대 이후 가족연구에 주요한 이론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배우자 선택과정, 부부권력, 의 사소통, 결혼의 안정성, 성역할, 성행동, 가족폭력 등의 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Mun et al., 2010).
Lewis와 Spaniel(1982)는 사회교환이론이 다른 가족이론에 비해 무엇이 장점이라고 서술하였습니까? 사회교환이론이 다른 가족이론에 비해 가족관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에 대해 Lewis와 Spaniel(1982)는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첫째, 교환이론의 명제들이 검증가능하고 구체적이기 때문에 성립에 생산적이다. 둘째,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가족관계를 질서있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교환이론은 거시적으로 문화 간의 차이를 미시적으로는 가족관계를 보는데 적용할 수 있다(quoted in Shin & Cho, 2004). 사회교환이론은 1970년대 이후 가족연구에 주요한 이론으로 부상하였다.
사회교환이론에서 비용은 무엇으로 정의됩니까? 사회교환이론에서 비용(cost)은 특정 상황을 선택함으로 잃게 되는 시간, 돈, 노력, 지위, 관계 등으로 정의된다(Kim, 1990). 기러기가족은 조기유학을 선택하게 됨으로 적지 않은 비용을 치루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E. (2004). Korean Families on the Forefront of Globalization. Economy and Society, 64, 148-171. 

  2. Cho, E-S. (2010). Family Relationship Change of Korean Transnational Family throughout their Separation and Reunion as Serial Immigration.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15(3), 91-115. 

  3. Choi, Y-S. (2006). The phenomenon of Geese-Families: Marital Separation between Geese-fathers and Geese-mothers. Korea Family Studies Association, 18(2), 37-65. 

  4. Choi, Y-S. (2008). On the Socio-Psychological Mechanisms of 'Geese-Family'.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13(3), 67-97. 

  5. Chosun. com (2006, March 31). National 25%, "If the opportunity, I will go Education Immigration". http://news.chosun.com 에서 인출함. 

  6.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H-S. Cho, S-W. Jung, J-S. Kim, & J-S. Kwon,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7. Kang, Y-J. (2009). Transnational Life of Korean' Wild Geese Family': Coping Strategies and Family Paths Across Tim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0(2), 205-221. 

  8. Kim, J-H., Song, M-K., & Lee, H-H. (2010). A Study of wild-geese father' experences of decisionmaking and maintenance in separated famil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4), 107-133. 

  9. Kim, M-C. (1990). Choice, Exchange Perspective in Family Research.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8(3), 147-160. 

  10. Kim, S-S. (2006). The 'Kirogi Father' Change of Lives and Adaptation Problem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141-158. 

  11. Kim, Y-H., & Chang, O-J. (2004). Issue of Families that Run Separate Household for a Long Time.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9(2), 1-23. 

  12. Kim, Y-H., & Kim, T-H. (2009). A Study of the Families in Long-term Separation: Marital Relationship of 'Wild Geese Families'.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14(3), 297-326.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Immigration status for international students early studying abroad. 

  14.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public of Korea. Some Right Reserved. (2006). Survey and countermeasures about Early Studying Abroad. 

  15. Mun, H-J., Kim, J-L., Yang, S-Y., Lee, E-J., Cheon., HY., & Hwang, O-K. (2010). Social Work with Families. Seoul: Changjisa. 

  16. Oh, U-H. (2008). Early studying abroad, departure towards a utopia - an early study of the complex function and dysfunction. Seoul:kyoyookbook. 

  17. Padgett, D. K. (2001).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T-G. Yu, Trans.). Gyeonggido: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18. Seidman, I. (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H-J. Bark, & S-Y. Lee,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6) 

  19. Shin, H-Y., & Cho, B-E. (2004). Rewards, Costs and Relationship Quality perceived by caregiving adult children(a comparison between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9(1), 153-174. 

  20. Yu, G-S., Choi, Y-S., & Seong, M-A. (1999). Family Studies Theory. Seoul: Muneumsa. 

  21. Yu, H-J., & Kim, SSR-A. (2005). Children's education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 Early studying abroad of wild geese family. Korea Family Culture. The 21st century, Korea, and alternative family issues. Seoul: Gyeongmun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