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묻힌 GFRP 보강근의 부착거동에 대한 섬유영향 평가
Influence Evaluation of Fiber on the Bond Behavior of GFRP Bars Embedded in Fiber Reinforced Concrete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4 no.1, 2012년, pp.79 - 86  

강지은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병일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박지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정윤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에 보강된 섬유의 종류 및 함유량이 FRP 보강근 부착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체는 3종류의 보강근과 구조용 강섬유, 절곡형 PP섬유와 친수성 PVA섬유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직접부착 강도시험을 실시하여 부착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섬유의 종류 및 함유량에 따라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보강근 사이의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섬유의 가교효과로 인해 할렬균열을 제어함으로써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연성 또한 증가하였다. 부착강도 및 연성증가 효과는 강섬유 > PVA섬유 > PP섬유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ough steel reinforcing bars are the most widely used tensile reinforcement, corrosion problems are encountered due to the exposure to aggressive environments. As an alternative material to steel, the fiber reinforced polymers have been used as reinforcement in concrete structures. However, bond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FRP 보강근은 현재 여러 종류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어서 모든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평가하기에는 실험적으로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나선형과 모래분사형의 두 종류의 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검증하였다. GFRP의 보강근으로는 캐나다 A사의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sand coating GFRP bars)과 미국 H사의 나선형 GFRP 보강근(herically raping GFRP bars)을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와 FRP 보강근의 부착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에서는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매립된 GFRP 보강근의 종류, 섬유의 종류, 섬유의 혼입량이 부착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놓인 철근과 G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뽑힘부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섬유의 종류와 혼입량에 따른 G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체는 Fig.
  • 따라서 FRP 보강근을 실제 건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부착강도의 평가 및 부착강도의 보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를 보강하였을 때 달라지는 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섬유를 보강하였을 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증가하고, 내구성이 개선된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증명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와 FRP 보강근의 부착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에서는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매립된 GFRP 보강근의 종류, 섬유의 종류, 섬유의 혼입량이 부착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P 보강근은 철근의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는가? 콘크리트의 보강재로써 많이 쓰이는 철근은 염해에 의한 부식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FRP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이 개발되었으며, 근년 휨, 전단, 부착, 재료 물성 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FRP 보강근을 실제 건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3,4) 즉, 리브나 마디를 갖고 있는 이형철근은 지압력이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내지만, 표면이 매끄럽거나, 모래 등이 부착된 FRP 보강근은 이형철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부착강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FRP 보강근을 실제 건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부착강도의 평가 및 부착강도의 보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를 보강하였을 때 달라지는 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FRP 보강근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FRP 보강근(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이 개발되었으며, 근년 휨, 전단, 부착, 재료 물성 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FRP 보강근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철근보다 좋으며 인장강도도 높고 경량이다.1,2)그러나 FRP 보강근은 철근과는 다른 표면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철근과 상이한 부착거동을 나타냄이 지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celli, F. and Nanni, A., "Durability of FRP Rods for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8, 2004, pp. 491-503. 

  2. Saafi, M., "Effect of Fire on FRP Reinforced Concrete Members," Composite Structures, Vol. 58, 2002, pp. 11-20. 

  3. Davalos, J. F., Chen, Y., and Ray, I., "Effect of FRP Bar Degradation on Interface Bond with High Strength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0, No. 8, 2008, pp. 722-730. 

  4. Baena, M., Torres, L., Turon, A., and Barris, C., "Experimental Study of Bond Behaviour between Concrete and FRP Bars Using a Pull-Out Test,"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Vol. 40, No. 8, 2009, pp. 784-797. 

  5. Taylor, M., Lydon, F. D., and Barr, B. I. G., "Toughness Measurements on Steel Fibre-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9, No. 4, 1997, pp. 329-340. 

  6. Neven, K. O., Watson, K. A., and LaFave, J. M., "Effect of Increased Tensile Strength and Tougness on Reinforcing-Bar Bond Behavior,"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16, No. 2, 1994, pp. 129-141. 

  7. Issa, M. S., Metwally, I. M., and Elzeny, S. M., "Influence of FIbers on Flexural Behavior and Ductility of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FRP Rebars," Engineering Structure, Vol. 33, 2011, pp. 1754-1763. 

  8. 박찬기, 원종필, 차상선, "보강섬유의 표면처리에 따른 섬유보강 고강도콘크리트와 CFRP 보강근의 부착특성," 콘크리트학회논문집, 21권, 3호, 2009, pp. 275-282. 

  9. ACI 440.1R-03,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CI Commottee 440, 2003, 42 pp. 

  10. 정연걸, 이정윤, 이종구, "반복하중을 받는 GFRP 보강근의 부착거동,"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8호, 2008, pp. 93-101. 

  11. Bentur, A. and Mindess, S., "Concrete Beams Reinforecd with Conventional Steel Bars and Steel Fibers: Properties in Static Loading," The Inernational Journal of Cement Composites and Lightweight Concrete, Vol. 5, No. 3, 1983, pp. 199-202. 

  12. 양근혁, 오승진,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섬유체적비와 길이의 영향," 한국건축시공학회, 8권, 1호, 2008, pp. 43-4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