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Statistical Indicator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1, 2012년, pp.141 - 162  

조현양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보일 (경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한국점자도서관) ,  차성종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과)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도서관 관련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수집을 위하여 장애인도서관의 현장 상황을 반영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조사 분석하고, 현행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를 관련 법률, 도서관기준,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 국제도서관통계지표, 그리고 해외 주요국가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와 비교 분석하여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안)의 검증을 위해 장애인도서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총 7개 영역 26개 항목으로 구성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가 설정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는 장애인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의 작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new "Statistical Indicators of Libraries for the Disabled (SILD)" to collect objective and reliable data from such libraries. The previous researche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compare current national statistical indicators. The draft of a new S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도서관 관련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수집을 위하여 장애인도서관의 현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를 제안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도서관 통계 조사 시 사용된 항목의 작성 용이성과 적합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행 지표에 대한 최근 3년 동안의 통계 조사에 응답한 장애인도서관의 응답률을 중심으로 영역별 분석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 관련 법, 국제기구, 장애인도서관 서비스 평가지표, 그리고 국내외 유관기관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계지표와의 비교 분석을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도서관 관련 실태를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한 새로운 통계지표를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새롭게 제안될 통계지표는 현행 국내ㆍ외 도서관 통계지표에 기반을 둔 것으로 사서들의 통계자료 및 평가 자료작성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업무개선이나 미래 서비스 개발을 위해 즉시에 활용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세부적으로 항목이 제시된 것 같아서 인상적임. 특히, 이동도서관 항목도 추가된 부분이 점자도서관 업무와 관련됨(사서 1)
  • 장애인도서관의 서비스 범위는 전국 및 해외까지 가능하고 이용자의 장애 특성상 이동이 불편하여 직접 방문 이용자는 적음. 또한, 장애인도서관 전부가 민간으로 운영되다 보니 시설이 열악하여 방문 이용자가 적은 상황에서 열람 공간을 많이 확보하기 어렵고 대체자료를 제작해야하는 특성이 있어 열람 공간 보다는 제작 시설에 대하여 상세히 조사할 필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6년 「도서관법」 개정을 통해 장애인에 대해 무엇이 바뀌었는가? 여기에 도서관계에서도 장애인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2006년 「도서관법」 개정 시 제8장 ‘지식정보격차의 해소’의 신설을 통해 장애인을 포함한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였으며, 장애인을 대상으로 도서관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설립 및 운영을 명시하였다. 또한 2011년 12월 29일에는 지식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강화하고 국립장애인도서관 설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도서관법」이 개정되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도서관 현황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또한 2011년 12월 29일에는 지식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강화하고 국립장애인도서관 설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도서관법」이 개정되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도서관 현황을 살펴보면 1969년 우리나라 최초의 점자도서관인 한국점자도서관의 개관을 시작으로 2010년 12월 현재(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11) 점자도서관 42개관, 청각장애인도서관 5개관 총 47개관이며, 장애인 도서관서비스를 특화한 공공도서관은 50개관에 이르고 있다. 그 외에도 장애인코너를 운영하는 공공도서관이 127개관이 있다.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에서 평가지표와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어떻게 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가? 이 연구에서 제안한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의 특징은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에서는 제시되었으나 현행 장애인도서관 통계지표에서 빠진 내용을 보완하여 평가지표와의 연계를 강화한 것이다. 즉, 평가지표와 통계지표의 공통 항목을 추출하여 추가함으로써 평가와 통계를 위한 자료작성을 각각 별도로 하지 않고 통계 조사 항목에서 작성된 통계치를 평가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표를 조정하였다. 이러한 평가지표와 통계조사 항목의 일치는 두 지표를 작성하는 현장도서관이나 이 지표를 활용하는 도서관 관련 기관에 대해 현장도서관의 평가 및 통계 작성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곽철완, 노영희. 2009.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83-196.(Kwak, Chul Wan, & Noh, Young Hee. 2009.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83-196.) 

  2.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10.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2010.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 Standards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oul: 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3.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11. 2011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통계?현황자료.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2011. Statistic & Inventory Data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2011. Seoul: 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4.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5-26.(Kim, Sung Jun.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5-26.) 

  5.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기획위원회. 2009. 2009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결과 보고서. 서울: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9. The Final Report on Evaluation of Library Operation in Korea.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6. 도서관법. [online]. [cited 2012.1.10]. .(Library Act. [online]. [cited 2012.1.10]. .) 

  7. 안인자. 2004. 한국도서관 통계 및 지표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2): 5-25.(Ahn, In Ja. 2004. "A pilot study for library statistics and indicato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2): 5-25.) 

  8. 안인자. 2011. 작은도서관 통계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75-393.(Ahn, In Ja. 2011. "A study on improvement of statistical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75-393.) 

  9.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한국도서관협회. 2009. 2008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9. Korean Library Year Book 2008. Seoul: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11. 한국도서관협회. 2010. 한국도서관기준 개정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A Study on the Revision of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12. 全國視覺障害者情報提供施設協會. 2007. 全國視覺障害者情報提供施設?態調査報告. [online]. [cited 2012.1.10]. .(Association of Information Facility Association for Visually Impaired in Japan. 2007. "The report on the state of information service facilities for visually impaired in Japan." [online]. [cited 2012.1.10]. .) 

  13. 全國?覺障害者情報提供施設協議會. 2007. 全國?覺障害者情報提供施設の實態調査結果. [online]. [cited 2012.1.10]. .(Association of Information Facility Association for Hearing Impaired in Japan. 2007. "The report on the state of information service facilities for hearing impaired in Japan." [online]. [cited 2012.1.10]. .) 

  14. Ellis, Simons, et al. 2009. "Global library statistics." IFLA Journal, 35(2): 123-130. 

  15. Fuegi, David, & Jennings, Martin. 2004. International Library Statistics: Trends and Commentary Based on the Libecon Data: Library Services Statistics in Europe and Beyond. [online]. [cited 2011.12.18]. . 

  16. Disability Information and Resource Centre(DIRC). Annual Report 2010. [online]. [cited 2012.1.10]. . 

  17. OECD. Glossary of Statistical Terms. [online]. [cited 2011.12.15].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