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 및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andard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4, 2015년, pp.379 - 400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중요성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수요자 중심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실적인 운영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 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운영기준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 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운영기준을 분석한 결과 법적 기준과 관련 기관의 운영기준 모두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개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과제는 우선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최소기준과 세부기준을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최소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의 조속한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기준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통계 및 평가지표와 연계되어야 하며, 평가업무 연계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준 적용의 당사자인 장애인도서관 및 장애인이용자의 의견 수렴이 1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alistic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hould be made in the circumstanc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investigation of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on d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선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최소 기준과 세부기준을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최소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의 조속한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기준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통계 및 평가지표와 연계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평가업무 연계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준 적용의 당사자인 장애인도서관 및 장애인이용자의 의견 수렴이 1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 하였다.
  • 그러나 장애인을 포함한 정보취약계층은 공공도서관을 통한 정보 접근에 있어 비장애인 중심의 편의시설 설치와 관리 기준 부재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김보일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현실의 부조화에 주목하여 점차 확충되는 전국의 공공도서관 인프라에서 장애인이용자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인하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실질적인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을 설계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 주목할만한 점은 도서관장애인서비스의 실제적인 구성요인뿐만 아니라 도입 및 역사, 서비스의 토대와 같은 서비스 제공에 대한 당위성 및 철학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장애인이용자 요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충족시킬 것을 제언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협력 및 네트워킹, 장서개발, 서비스와 장서에 대한 접근, 대체자료의 제작, 운영및 마케팅, 품질 보증 방안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장애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로서 무엇을 고려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의미 있는 토대를 제시해주고 있다(<표 7> 참조).
  • 본 연구는 전국의 공공도서관에서 장애인이용자에게 정보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적용할수 있는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실질적인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을 설계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운영기준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우선 국내의 장애인서비스 운영기준과 관련한 법적 기준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장애인도서관만을 위한 기준으로서, 기준의 내용 또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았으며, 한국도서관기준(2013) 및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2009) 등 실제적 또는 개념적으로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기준 및 지침의 발간 노력이 있어왔으나, 도서관에서 실제적으로 반영할 만한 근거로 서는 미흡한 상황이다.
  • 세계도서관협회연맹(IFLA)에서 2005년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목에서 가이드라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듯이, 국립장애인도서관의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과 유사한 성격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량적인 장서시설인력장비 기준이라기보다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토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미국의 ASCLA(Association of Specialized and Cooperative Library Agencies)에서 미국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LC)의 하부조직인 시각 및 신체장애인을 위한 국가도서관 서비스(National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Physically Handicapped, NLS)에 소속된 네트워크 장애인도서관(지역관)을 위해 작성된 기준으로서 2011년에 개정되었다. 이 기준의 목적은 장애인도서관서비스와 활동, 직접 적인 이용자서비스, 장서개발 및 관리, 아웃리치 서비스, 대체자료 제작 등의 항목에 대한 적절한 표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인력과 공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미국의 중앙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협력체계를 고려할때 국내의 국립장애인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지역 공공도서관의 운영기준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참고 기준이 될 수 있다.

가설 설정

  • 법령상의 기준은 장기적으로 적용할수 있음을 고려해야 하며, 실무적인 기준은 단기적인 개정이 용이하다는 점도 한 이유이다. 둘째, 기준 정의 이전에 장애인이용자 요구조사를 선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준 적용의 당사자인 장애인도서관 및 장애인이용자의 의견수렴이 1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시설, 장서, 인력, 서비스 등에 대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법 시행령의 주요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로서는 도서관 관련 장애인 서비스의 기준을 법적으로 정의한 것은 이 시행령이 유일하기 때문에 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에 대한 운영기준을 논의할 때 참고가 되는 법적 기준이기도 한다. 이 시행령의 주요 한계는 시각장애인의 이용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도서관에 한정한다는 점에 있으며, 또한 청각장애인, 지체․뇌병변 장애인과 같은 다양한 장애 유형을 고려하지 못한 점은 추후 개정 작업에서 우선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국립장애인도서관의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현황은 어떠한가? 이와 같이 정보격차해소를 임무로 하는 도서관이 장애인에게 활용 가능한 지식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동안 미비했던 도서관장애인서비스가 점차 관심을 받고 있다. 국립장애인도서관의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2013)에 따르면, 국립장애인도서관 장애인정보누리터 서비스 이용건수가 2009년 2,003건에서 2010년 3,633건, 2011년 5,177건, 2012년 6,261건으로 미약하게나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 제시한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기준의 주요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이 기준은 공공도서관 및 대학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를 고려하여 운영기준을 설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실제 내용을 분석해보면 운영기준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구성요소만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 기준의 주요 구성요소는 ‘도서관 내․외부의 물리적 접근, 장서구축, 서비스와 프로그램, 보조공학기기, 접근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인력자원의 개발 및 활용,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등 모두 7가지이다. 7가지 주요요소 범주 하위에 세부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어떤 방향으로 기준을 충족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Kang, Sook-Hee.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7-123.) 

  2.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9.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National Library Supporting Center for the Disabled of Korea. 2009.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oul: National Library Supporting Center for the Disabled of Korea.) 

  3. 국립중앙도서관. 2010. 한국도서관기준 개정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10. A Study on Library Standards of Korea.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4. 국립중앙도서관. 2012.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National Library Disability Services Surve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5. 국립중앙도서관. 2013.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13. 2013 National Library Disability Services Surve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6. 김보일. 2006.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기준 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Bo-Il. 2006. A Study on the Guidelines Application of the Public Library Facilities for Users with Disabilities. M.A. thesis, Daegu University.) 

  7.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87-108.(Kim, Young-Ki and Lee, Yeon-Ok. 2008. "Constituents Analysis o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87-108.) 

  8. 도서관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5549호 (2014. 8. 12, 일부개정 2014. 8. 12).(Enforcement Decree of the Library Act. Presidential Decree No. 25549 (August 12, 2014, Partially Amended August 12, 2014).) 

  9.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Library Master Plan (2014-2018).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10. 박종배. 2013.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71-92.(Park, Jong-Bae. 2013.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Level of Service on Academic Library Us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71-92.) 

  11. 배경재. 2014. 장애인도서관의 설립과 운영. 제51회 전국도서관대회 한국시각장애인도서관협의회 세미나 발표자료집, 2014년 10월 3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Bae, Kyung-Jae. 2014.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ibrary for the Disabled." In Proceedings of the 51th KLA General Conference, the Korean Braille Library Association Seminar, October 30, 2014, Gwangju: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12. 배경재. 2015. 보편적 권리로서의 도서관. 오늘의 도서관, 235: 34-36.(Bae, Kyung-Jae. 2015. "Library as Universal Rights." Today's library, 235: 34-36.) 

  13. 송경진, 이정은, 손지영. 2013. 사례와 면접을 통해 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197-219.(Song, Kyeong-Jin, Lee, Jueng-Eun and Son, Ji-Young. 2013.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o Review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1): 197-219.) 

  14.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3-75.(Yoon, Hee-Yoon. 2012. "Strategie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ulnerable Class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3-75.) 

  15. 장덕현. 2012.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93-210.(Chang, Durk-Hyun. 2012.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 Agenda for the Core Information- Poor in Busan Metro A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193-210.) 

  16. 장보성. 2015. 청각장애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정보요구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1): 297-316.(Jang, Bo-Seong. 2015. "An Analysis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Needs of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1): 297-316.) 

  17.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Hangukdoseogwangiju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8.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05. Libraries for the Blind in the Information Age Guidelines for Development. Den Haag, Netherlands: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19. The Association of Specialized and Cooperative Library Agencies. 2011. NLS Technical Circulars Revised Standards and Guidelines of Service. Washington: National Library Service. [online] [cited 2015. 8.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