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 햄 및 소시지류 제조공장에서 식중독 세균에 대한 오염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ic Contamination of Cooked Hams and Sausages in Korean Processing Faciliti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2 no.1, 2012년, pp.103 - 111  

박현정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  고은경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  위성환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  윤하정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역학조사과) ,  허은정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  김영조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  이희수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  문진산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축산물기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일부 햄과 소시지류 제조공장에서 식중독 세균에 대한 제어방안으로서 1차 가열살균 이후 제품포장 단계에서 2차 가열살균을 추가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2월부터 11월까지 국내 10개 육가공제조회사에서 햄류 53개 품목과 소시지류 37개 품목의 동일 롯트에서 1차 가열 시료와 2차 가열까지 실시한 시료를 각각 6개씩 채취하여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 따라 Salmonella spp., S. aureus, L. monocytogenes 및 C. perfringens 식중독 세균 오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햄과 소시지류 총 1,080건에 대한 검사 결과 S. aureus는 2개 제조회사에서 생산한 햄 4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중 3건은 1차 가열제품에서 나머지 1건은 2차 가열살균까지 처리한 제품에서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는 5개 제조회사에서 햄류 4건, 소시지류 8건을 포함하여 총 12건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7건은 1차 가열 처리한 제품에서, 나머지 5건은 2차 가열까지 처리한 제품에서 각각 검출되었다. C. perfringens는 3개 제조회사의 햄류 1건과 소시지류 2건에서 검출되었으며, 1차 가열만 한 제품에서 1건, 2차 가열까지 한 제품에서 2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이에 반하여 Salmonella spp.는 한 건도 검출되지 않았다. 1차 가열살균 제품과 1차와 2차 가열살균 과정을 모두 처리했을 때를 비교하면 3가지 식중독 세균의 검출률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또한, 제조 회사의 햄과 소시지류에서 분리한 L. monocytogenes 균주를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FGE를 실시한 바, 동일 가공장에서 분리된 균주들간 80%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햄 및 소시지류 제조회사에서 식중독 세균의 제어를 위해서는 원료 및 제조단계에서부터 가공 과정에서의 교차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위생관리와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체계적인 식중독 세균에 대한 위생관리를 완성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foodborne pathogenic contamination from 1,080 samples of cooked hams and sausages at 10 Korean processing facilities in 2010.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ix primary and additional sterilization products in same lot. To detect Salmonella spp., Staphylo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onocytogenes균이 가공장으로 오염되어 비슷한 pulsotype의 균들이 검출되는 것을 지적하며, 이러한 세균의 관리를 위해서는 원료 단계에서의 관리와 더불어 제조과정에서의 철저한 소독과 세척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동일한 육가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에서 상동성이 높은 L. monocytogenes의 검출결과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 해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서도 일부 소시지와 같은 제품에 있어서는 포장단계의 오염을 막기 위해 이 과정을 진공으로 처리된 구획에서 실시하거나, 포장단계에서 표면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염두에 두고, 포장이 끝난 이후 85±3℃의 온탕에서 표면 가열로 2차 살균을 실시하고 있다(Jung,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물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미생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축산식품의 소비형태가 다변화되면서 육가공품 제조업체에서는 새로운 제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식중독 세균에 대한 안전성은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축산물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미생물에는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Clostridium botulinum, Campylobacter spp.,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O157, Yersinia enterocolitica등이 있다(Borch and Arinder, 2002).
식중독 세균 중, L. monocytogenes의 특징은? 이러한 식중독 세균 중 L. monocytogene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냉장온도에서도 증식이 가능하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생명에 위협을 일으킬 수 있는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Farber and Peterkin, 1991; Gandhiand Chikindas, 2007; Ryser and Marth, 2007; Pesavento etal., 2010), 치즈, 우유 등의 유제품과 햄, 소시지 등과 같은 육제품, 두부, 훈제연어, 기타 즉석섭취 편의식품 (readyto-eat food) 등에 오염되어 식중독 사건을 발생하여 대량회수된 보고가 있다(Carminati et al., 2004; Conly andJohnston, 2008; Farber and Peterkin, 1991; Sofos et al.
우리나라와 유럽국가는, 미생물 종류별국가간 관리기준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이 국가별 햄과 소시지류 제품에 있어서 이러한식중독균 오염률의 차이는 제품별, 그리고 미생물 종류별국가간 관리기준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즉, 국내의 경우에는 즉석제조(Ready-to-eat; 이하 RTE) 제품을포함한 육제품에서 Salmonella spp., S. aureus,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및C. perfringens 등 6종 식중독균은 음성으로 규정되어 있다(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Agency Notification, 2011). 이와 비교하여 유럽에서는 즉석섭취제품에 대하여 Salmonella는 n=5, c=0, m=0 CFU/25 g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L. monocytogenes에 대한 기준은, 육제품의 특성과 유통온도 등을 감안하여 L. monocytogenes가 성장할 수 있는 즉석섭취식품은 가공장에서 n=5,c=0, m=0 CFU/25 g, 판매장에서 n=5, c=0, m=100 CFU/g이고, L. monocytogenes가 성장할 수 없는 즉석섭취식품은n=5, c=0, m=100 CFU/g로서 2군법으로 정량화시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Commission Regulation, 2005).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i는 3군법으로서 n=5, c=1, m=100 CFU/g, M=1000 CFU/g,Salmonella(n=5, c=0, m=0 CFU/25 g), 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gresti, A. (2007)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NJ. pp. 6-10. 

  2.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Notification (2011) Standards for Processing and Ingredients Specifications of Livestock Products. pp. 203-213. 

  3. Atanassova, V., Meindl, A., and Ring, C. (2001)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s in raw pork and uncooked smoked ham-a comparison of classical culturing detection and RFLP-PCR. Int. J. Food Microbiol. 68, 105-113. 

  4. Beumer, R. R., de Giffel, M. C., Boer, E. and de Rombouts, F. M. (1996)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sliced cooked meat products. Food Microbiol. 13, 333-340. 

  5. Borch, E. and Arinder, P. (2002) Bacteriological safety issues in red meat and ready-to-eat meat products, as well as control measures. Meat Sci. 62, 381-390. 

  6. Carminati, D., Perrone, A., Giraffa, G., Neviani, E., and Mucchetti, G. (2004) Characteriz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strains isolated from Gorgonzola cheese rinds. Food Microbiol. 21, 801-807 

  7. Commission Regulation (2005) No 2073/2005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 stuffs,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22.12. Available from: http://ec.europa.eu/food/food/biosafety/salmonella/microbio_en.htm Accessed Feb. 9, 2012. 

  8. Conly, J. M. and Johnston, B. L. (2008) Listeria: A persistent food-borne pathogen. Can. J. Infect. Dis. Med. 19, 327-328. 

  9. de Cesare, A., Mioni, R., and Manfreda, G. (2007) Preval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 and fermented Italian sausages and ribotyping of contaminating strains. Int. J. Food Microbiol. 120, 124-130. 

  10. Farber, J. M., Peterkin, P. I. (1991) Listeria monocytogenes, a food-borne pathogen. Microbiol. Rev. 55, 476-511. 

  11.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2003)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ready-to-eat meat and poultry products; final rule, Federal Register 68, 34208-34254. 

  12.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2001) STANDARD 1.6.1 Microbiological limits for food. 

  13. Gandhi, M. and Chikindas, M. L. (2007) Listeria: A foodborne pathogen that knows how to survive. Int. J. Food Microbiol. 113, 1-15. 

  14. Gormley, F. J., Little C. L., Grant, K. A., de Pinna, E., and McLauchlin, J. (2010)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readyto- eat specialty meats from markets and specialty food shops: A UK wide study with a focus on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Food Microbiol. 27, 243-249. 

  15. Graves, L. M. and Swaminathan, B. (2001) Pulse Net standardized protocol for subtyping Listeria monocytogenes by macrorestriction and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65, 55-62. 

  16. Hunter, P. R. and Gaston, M. A. (1988) Numerical index of the discriminatory ability of typing systems: an application of simpson's index of diversity. J. Clin. Microbiol. 26, 2465-2466. 

  17. Japan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for Food, Food Additives,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topics/bukyoku/iyaku/syoku-anzen/jigyousya/ shokuhin_kikaku. Accessed Feb. 9, 2012. 

  18. Jordan, E., Egan, J., Dullea, C., Ward, J., McGillicuddy, K., Murray, G., and Murphy, A. (2006) Salmonella surveillance in raw and cooked meat and meat products in the Republic of Ireland from 2002 to 2004. Int. J. Food Microbiol. 112, 66-70. 

  19. Jung, S. H. (2011) Manufacturing technology of ham and sausage. Korea Meat Industries Association. pp.147-197. 

  20. Kathariou, S. (2002) Listeria monocytogenes virulence and pathogenicity, a food safety perspective. J. Food Prot. 65, 1811-1829. 

  21. Nichols, G. and de Louvois, J. (1995)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sausages sold in the UK. PHLS Microbiol. Digest 12, 236-242. 

  22. Noack, D. J. and Joeckel, J. (1993) Listeria monocytogenes, occurrence and significance in meat and meat products and experience with recommendations for its detection and assessment. Fleischwirtschaft 73, 581-584. 

  23. Pesavento, G. B., Ducci, D., Nieri, N., Comodo, A., and Nostro, L. (2010) Prevalenc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Listeria spp. Isolated from raw meat and retail foods. Food Control 21, 708-713. 

  24. Rivoal, K., Queguiner, S., Boscher, E., and Bougeard. S. (2010)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raw and pasteurized liquid whole eggs and characterization by PFGE. Int. J. Food Microbiol. 138, 56-62. 

  25. Ryser, E. T. and Marth, E. H. (2007) Listeria, listeriosis and food safety (3rd ed), CRC Press, Boca Raton, USA. 

  26. Sofos, J. N., Skandamis, P., Stopforth J. D., and Bacon, T. (2003) Current issues related to meatborne pathogenic bacteria. Proceedings of the 56th Reciprocal Meat Conference. pp. 33-37. 

  27. Thevenot, D., Delignette-Muller M. L., Christieans, S., Leroy, S., Kodjo, A., and Vernozy-Rozand, C. (2006) Serological and molecular ecology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collected from 13 French pork meat salting-curing plants and their products. Int. J. Food Microbiol. 112, 153-161. 

  28. Tompkin, R. B. (2002)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the food-processing environment. J. Food Prot. 65, 709-725. 

  29. Uyttendaele, M., Troy, P. De., and Debevere, J. (1999) Incid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different types of meat products on the Belgian retail market. Int. J. Food Microbiol. 53, 75-80. 

  30. Yoo, H. S. (1997) Molecular typing and epidemiological survey of prevalence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s by multiplex PCR. J. Clin. Microbiol. 35, 228-23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