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겨울철 황사 모의시 황사배출량 산정식과 입력자료의 평가: 2007년 12월 29일 황사사례 연구
Estimation of Dust Emission Schemes and Input Parameters in Wintertime Asian Dust Simulation: A Case Study of Winter Dust Event on December 29, 2007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8 no.1, 2012년, pp.1 - 11  

강정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상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윤순창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a severe wintertime dust event that occurred on December 29, 2007 in Korea. Three different dust emission schemes, namely, those of Marticorena and Bergametti (1995), Lu and Shao (1999), and Shao (2004) (hereinafter, referred to MB, LS, and S04 schemes, respectivel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관측 자료와 비교하기 위해서 모델 최하층의 입자 크기가 10 μm 이하인 황사 농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고농도 황사사례 (2007년 12월 29일)를 선정하여 세 가지 황사배출량 산정식을 접합한 WRF/Chem 모델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상 및 지표 자료 그리고 모델 해상도 조건하에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황사배출량 모수화 식과 사용된 모델 입력 자료(예, 황사발원지의 지표면 특성)가 황사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겨울철의 경우, 황사 발원지의 적설지역분포뿐만 아니라 낮은 온도로 인해 토양이 어는 조건으로 황사 발생이 억제될 가능성도 있다. 언 토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온도와 수분을 기준으로 삼았다. 토양의 온도는 0℃ 이하이며, 토양 수분 기준값을 바꾸어 가면서 모델을 수행하였다.
  • WRF/Chem은 차세대 기상모델로 각광받는 WRF에 화학 모듈이 추가된 모델이다. 이 모델에 현재 여러 황사농도 예측 모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의 황사배출량 산정식들 (Shao, 2004; Lu and Shao, 1999; Marticorena and Bergametti, 1995)을 접합하여 위에서 언급한 겨울 황사 사례를 모의하였다. 그림 2는 본 연구에 사용된 여러 모수화 식들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 이러한 적설지역분포 차이가 황사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모델의 적설지역분포값을 임의로 2배 늘려 모의해 보았다(그림 9
  •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고농도 황사사례 (2007년 12월 29일)를 선정하여 세 가지 황사배출량 산정식을 접합한 WRF/Chem 모델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상 및 지표 자료 그리고 모델 해상도 조건하에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황사배출량 모수화 식과 사용된 모델 입력 자료(예, 황사발원지의 지표면 특성)가 황사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언 토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온도와 수분을 기준으로 삼았다. 토양의 온도는 0℃ 이하이며, 토양 수분 기준값을 바꾸어 가면서 모델을 수행하였다. 그림 9(b)에는 토양의 수분이 40% 이상일 때 황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모델 수행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황사 주의보가 발령되었던 2007년 12월 29일 겨울 황사 사례를 선정하여, 여러 가지 황사배출량 산정식을 접합한 WRF/Chem 모델을 이용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황사배출량 산정식은 Marticorena and Bergametti (1995), Lu and Shao (1999), Shao (2004) (각각 MB, LS, S04로 표시) 스킴으로, 황사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각자 다른 접근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의 결과는 스킴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 황사배출량 산정식을 접합한 WRF/Chem 모델을 이용하여 2007년 12월 29일 관측된 겨울 황사 사례 모의를 위해, 동아시아 지역을 모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30 km 간격의 가로 150, 세로 100개의 격자에 대해 2007년 12월 25일 00 UTC부터 30일 00 UTC까지 5일간 모의하였다.
  • 황사배출량의 과대 모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모델에서 모의하는 10 m의 바람장과 지상관측자료인 SYNOP 데이터의 바람세기를 비교하였다. 그림 7에 모델의 10 m의 바람장을 컨투어로 나타내고, 그 위에 각 관측소가 나타낸 바람세기를 색깔등급을 동일하게 하여 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12월에 이례적으로 황사주의보(1시간 평균 미세먼지농도 400 μg m-3 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가 발령되었던 2007년 12월 29일을 겨울철 고농도 황사 사례로 정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임계마찰속도 계산에 Shao and Lu (2000)에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토양 수분과 식생 등의 효과를 포함하기 위해 토양 수분 보정 상수(soil moisture correction factor, f(w): Shao and Jung, 2009; Fécan et al., 1999, private communication)와 거칠기 요소(roughness element)에 의한 보정 상수(roughness element correction factor, f(λ): Raupach et al., 1993)를 고려하였다.
  • 한편, 황사배출량 계산에 필요한 마찰속도(friction velocity, u*), 토양 수분, 식생 피복 지수(vegetation cover) 등은 WRF/Chem 모델이 제공하는 값을 그대로 이용하였다.
  • 즉, 바람에 의해 수평으로 구르는 모래 입자가 땅에 부딪힐 때 전달되는 힘이 결속력보다 클 때 황사 입자가 연직으로 배출되게 된다. 황사의 연직 배출량은 수평으로 구르는 모래 입자의 양(수평 모래속, Horizontal sand flux, Q)에 비례하게 되며, 이 계산에는 White (1979)가 제시한 식을 사용하였다. 그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수평 모래속 계산 과정까지는 모두 동일하나, 이후 연직 황사배출량(vertical dust flux, F) 계산은 기존 문헌에 제시된 세 가지 서로 다른 식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RF/Chem이란 무엇인가? WRF/Chem은 차세대 기상모델로 각광받는 WRF에 화학 모듈이 추가된 모델이다. 이 모델에 현재 여러 황사농도 예측 모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의 황사배출량 산정식들 (Shao, 2004; Lu and Shao, 1999; Marticorena and Bergametti, 1995)을 접합하여 위에서 언급한 겨울 황사 사례를 모의하였다.
황사는 겨울철의 경우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겨울철의 경우, 황사 발원지의 적설지역분포뿐만 아니라 낮은 온도로 인해 토양이 어는 조건으로 황사 발생이 억제될 가능성도 있다. 언 토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온도와 수분을 기준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WRF/Chem 모델을 어떻게 활용하여 겨울 황사 사례를 모의하였는가? WRF/Chem은 차세대 기상모델로 각광받는 WRF에 화학 모듈이 추가된 모델이다. 이 모델에 현재 여러 황사농도 예측 모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의 황사배출량 산정식들 (Shao, 2004; Lu and Shao, 1999; Marticorena and Bergametti, 1995)을 접합하여 위에서 언급한 겨울 황사 사례를 모의하였다. 그림 2는 본 연구에 사용된 여러 모수화 식들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un, Y.-S. (1997) Long range transport of yellow san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ust rise conditions in the source regions,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29pp. 

  2. Chun, Y.-S., J. Kim, K.-O. Boo, and N.-O. Kim (2000) The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yellow sand phenomenon observed in Korea in wintertim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6(5), 487-4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Fecan, F., B. Marticorena, and G. Bergametti (1999) Parametrization of the increase of the aeolian erosion threshold wind friction velocity due to soil moisture for arid and semi-arid areas, Annales Geophysicae, 17(1), 149-157. 

  4. In, H.-J. and S.-U. Park (2002) A simulation of long-range transport of yellow sand observed in April 1998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6, 4173-4187. 

  5. Kim, B.-G. and S.-U. Park (2001) Transport and evolution of a winter-time Yellow sand observed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5(18), 3191-3201. 

  6. Kim, S.-W., S.-C. Yoon, and J. Kim (2008) Columnar Asian dust particle properties observed by sun/sky radiometers from 2000 to 2006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42, 492-504. 

  7. Kim, S.-W., S.-C. Yoon, J. Kim, J.-Y. Kang, and N. Sugimoto (2010) Asian dust event observed in Seoul, Korea, during 29-31 May 2008: Analysis of transport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dust particles from lidar and surface measurement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8, 1707-1718. 

  8. Lee, E.-H. and S.-U. Park (2005) A numerical simulation of an Asian dust (Hwangsa) event observed in Korea on March 10-12, 2004 using the modified ADAM model, Advances in Geosciences, 5, 67-76. 

  9. Lu, H. and Y. Shao (1999) A new model for dust emission by saltation bombard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4(D14), 16827-16842. 

  10. Marticorena, B. and G. Bergametti (1995) Modeling the atmospheric dust cycle: 1. Design of a soil-derived dust emission schem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0(16), 16415-16430. 

  11. Park, S.-U. and H.-J. In (2003) Parameterization of dust emission for the simulation of the yellow sand (Asian dust) event observed in March 2002 in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D19), 4618, doi: 10.1029/2003JD003484. 

  12. Raupach, M., D. Gillette, and J. Leys (1993) The effect of roughness elements on wind erosion threshold,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8(D2), 3023-3029. 

  13. Shao, Y. (2004) Simplification of a dust emission scheme and comparison with da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D10), D10202. 

  14. Shao, Y. and H. Lu (2000) A simple expression for wind erosion threshold friction velocit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5(D17), 22437-22443. 

  15. Uno, I., H. Amano, S. Emori, K. Kinoshita, I. Matsui, and N. Sugimoto (2001) Trans-Pacific yellow sand transport observed in April 1998: A numerical simul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D16), 18331. 

  16. Uno, I., Z. Wang, M. Chiba, Y.S. Chun, S.L. Gong, Y. Hara, E. Jung, S.-S. Lee, M. Liu, M. Mikami, S. Music, S. Nickovic, S. Satake, Y. Shao, Z. Song, N. Sugimoto, T. Tanaka, and D.L. Westphal (2006) Dust model intercomparison (DMIP) study over Asia: Overview,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D12213. Doi: 10.1029/2005JD006575. 

  17. White, B. (1979) Soil transport by winds on Ma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4(B9), 4643-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