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 정립 및 발전 방안 - 발전과정 및 기능 분석을 통하여 -
Subject Based Classification: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as a Classificatory System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2년, pp.5 - 24  

백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제어기반 분류의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기능과 유형을 명확히 함으로써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분류체계로써의 정착 및 발전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37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표된 주제어기반 분류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주제어기반 분류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그 명칭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류로써의 주요 기능 수행력을 기존의 문헌분류와 비교하고, 분류와 주제명표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지식조직체계로써의 기능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주제어기반 분류는 구체적인 기능 정의, 유형, 사용되는 정보환경, 지식조직체계간의 관계성 등을 면밀히 고려함으로써 그 분류론적 개념과 기능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고, 향후 분류체계로써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analys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condition of the subject based classification(SBC), 2) to clarify the function and to categorize the specific kind of SBC, for its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this purpose, almost 30 cases, for the 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로서의 기능 수행력 및 지식조직체계로서 가지는 기능과 특성을 명확히 함으로써 주제어기반 분류의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로 주제어기반 분류를 사용하는 도서관의 사례 분석을 통해 주제어기반 분류의 유형별 기능을 세분화하였다.
  • 첫째, 주제어기반 분류와 개념적으로 맥을 같이 하는 다양한 논의와 사례의 분석을 통해 DDC에 대안적인 분류가 제안되고 적용되어 온 이유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류를 지칭하는 명칭을 분석하여 주제어기반 분류가 발전되어온 과정상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적으로 이용자의 관점을 중시하여 분류 체계를 작성하거나 장서를 분류하고 배열하고자 한 논의들을 각종 단행본, 논문, 기사, 웹 등을 통해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주제어기반 분류의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질적인 적용에 있어서 분류와 지식조직체계의 한 유형으로서 주제어기반 분류의 기능을 밝힘으로써 향후 분류 체계로서의 정착 가능성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주제어기반 분류의 시작과 그 전개과정을 필요성에 대한 논의, 명칭의 변화, 구체적인 유형 및 기능 구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주제어기반 분류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종합⋅분석하고, 기존의 지식조직체계와의 기능적 비교 분석을 통해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주제어기반 분류의 주된 분류법으로서의 정착 가능성 및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셋째,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주제어기반 분류가 향후 분류체계로서 정착 및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관점의 논의사항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분석의 결과, 주제어기반 분류는 단순히 분류라는 관점이 아니라, 지식조직 체계라는 보다 큰 관점에서 다른 서지제어 도구와의 관계성 속에서 그 역할과 기능, 특징을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구체적으로 분류와 주제명표목이라는 두 가지 지식조직체계의 관점에서 주제어 기반의 분류를 분석하고, 상호 비교를 통해 주제어기반 분류가 갖는 분류체계로서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발전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주제를 기반으로 작성되는 지식조직체계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식조직체계의 유형 중 주제 접근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기능을 해온 분류와 주제명표목을 대상으로 주제어기반 분류와 비교 분석하고, 그 과정을 통해 지식조직체계로서의 주제어기반 분류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 Sapiie(1995)는 1980~1995년의 기간 동안 파악된 이용자 관심에 기반을 둔 분류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 ‘이용자 관심 분류'란 책의 주제보다는 이용자의 특수한 관심을 반영하고자 의도한, 보다 단순하고 폭넓은 분류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의 가장 주된 목적은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증진으로, 독자를 중심에 놓음으로써 이용자의 자율적인 도서관 활용을 장려하고 장서에 대한 접근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분류법 변경의 주된 요인으로는 브라우징에 대한 이용자의 높은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는 것과 DDC는 이용자가 이해할 수 없는, 오히려 장애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들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wey Decimal Classification에 대해 어떤 비판이 제기되는가? 0의 개념이 보편화되고 정보의 생산과 조직에 이용자의 참여가 일반화되면서 일반 이용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보다 쉽고 유연한 정보조직 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는 다양한 방식과 가치를 추구하는 오늘날의 정보 환경에서는 지나치게 경직되고 어려운 분류 방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2000년대 중반부터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DDC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 기능을 축소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범주를 설정하여 주제명 형식의 항목명으로 분류를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주제어기반 분류가 등장하였다. 이 분류법은 DDC 중심의 오랜 분류 관행에 정면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미국 전역에 걸쳐 화제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Dewey Decimal Classification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미국 공공도서관에선 어떤 조치를 시행했는가? 0의 개념이 보편화되고 정보의 생산과 조직에 이용자의 참여가 일반화되면서 일반 이용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보다 쉽고 유연한 정보조직 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는 다양한 방식과 가치를 추구하는 오늘날의 정보 환경에서는 지나치게 경직되고 어려운 분류 방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2000년대 중반부터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DDC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 기능을 축소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범주를 설정하여 주제명 형식의 항목명으로 분류를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주제어기반 분류가 등장하였다. 이 분류법은 DDC 중심의 오랜 분류 관행에 정면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미국 전역에 걸쳐 화제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미국 공공도서관의 주제어기반 분류가 미국 전역에 걸쳐 화제와 논란을 불러온 이유는 무엇인가? DDC(Dewey Decimal Classification)는 다양한 방식과 가치를 추구하는 오늘날의 정보 환경에서는 지나치게 경직되고 어려운 분류 방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2000년대 중반부터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DDC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 기능을 축소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범주를 설정하여 주제명 형식의 항목명으로 분류를 대신하거나 보완하는 주제어기반 분류가 등장하였다. 이 분류법은 DDC 중심의 오랜 분류 관행에 정면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미국 전역에 걸쳐 화제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주제어기반 분류의 적용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이의 적용에 따라 도서관 운영 및 이용에 있어서 크고 작은 효과와 성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명옥. 1986. 자료분류법. 서울: 구미무역. 

  2. 김태수. 2000. 분류의 이해. 서울: 문헌정보처리연구회. 

  3. 노지현. 2010. 장르 분류의 사례를 통해 본 도서관 분류의 의미: 북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151-169. 

  4. 백지원. 2010. 주제어 기반 분류에 관한 연구: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179-201. 

  5. 백지원. 2011.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 기반 분류를 위한 주제명 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조직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8(1): 171-193. 

  6. 심 경. 2008. 차세대 도서관 목록. 도서관문화, 49(9): 22-28. 

  7. 오경은, 김기영. 2008. 도서탐색용이성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의 분류방식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5(4): 25-42. 

  8. 윤희윤. 2011. 정보자료분류론. 대구: 태일사. 

  9. Baker, Sharon L. and Karen L. Wallace. 2002. The responsive public library how to develop and market a winning collection. 2nd ed. Englewood, Colo.: Libraries Unlimited. 

  10. BISG. 2010. BISG Subject Headings List. Major Subjects - 2010 Editions. [online]. [cited 2011.4.20]. . 

  11. Casey, Michael and Michael Stephens. 2009. "It's fine to drop Dewey." Library Journal, 134(12): 19. 

  12. Conarton, Stephanie and Patricia Ewing. 2010. "Dewey or don't we: making library collections more accessible." 3-5, March. COSUGI 2010 Annual Conference. 

  13. Courtright, H. R. 2010. "The national impact of the Dewey-less library." Public Libraries, July/August 2010: 15-17. 

  14. Dunkin, Paul Shaner. 1942. Classification and the scholar.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3(3): 333-341. [online]. [cited 2012.3.5]. . 

  15. Fialkoff, F. 2009. It's not about Dewey. Library Journal, 134(18): 8. 

  16. Hosseini-Ara, Moe. 2012a. CIL2012 Day 2 Session 1: "C3: Customer-Centered Classification." [online]. [cited 2012.9.20]. . 

  17. Hosseini-Ara, Moe. 2012b. "Re: about C3 classification scheme." 전자우편. 2012.10.17. 

  18. Hulme, E. Wundham. 1911. Library Association Record, vols. 12-14. Phillips, W. Howard. 1961. A primer of book classification. London: Association of Assistant Librarians에서 재인용. 

  19. Hyman, Richard J. 1980. Shelf classification research: past, present, future? Occasional paper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Graduate School of Library Science ; no.146. [online]. [cited 2011.5.22]. . 

  20. Kelley, Grace O. 1937. The classification of books: an inquiry into its usefulness to the reader. New York: Wilson. 

  21. Langridge, Derek Wilton. 1992. Classification: its kinds, elements, system and applications. London: Bowker-Saur. 

  22. Losee, Robert M. 1995. "How to study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ir appropriateness for individual institu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9(3/4): 45-58. 

  23. Ludwig, Sarah. 2010. "Dewey-lite." Public Libraries, July/August: 17-20. 

  24. Maltby, Arthur. 1978. Sayers' manual of classification for librarians. London: The Trinity Press. 

  25. NISO. 2005. ANSI/NISO Z39.19 -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Format, and Management of Monolingual Controlled Vocabularies. (R2010). 

  26. Oder, Norman. 2010. PLA 2010 Conference: Cracking the Code: Beyond Dewey. [online]. [cited 2011.11.20]. . 

  27. Orvig, Mary. 1955. "The reader interest arrangement, an American shelving system with a future." Libri, 5(3): 223-232. 

  28. Phillips, W. Howard. 1961. A primer of book classification. London: Association of Assistant Librarians. 

  29. Richardson, Ernest Cushing. 1930. Classific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3rd ed. New York: H.W. Wilson. Phillips, W. Howard. 1961. A primer of book classification. London: Association of Assistant Librarians에서 재인용. 

  30. Rutzen, Ruth. 1959. A classification for the reader. In F. T. Eaton and D. E. Strout (eds). 1959. The role of classification in the modern American library: papers presented at an institute conducted by the University of Illinois Graduate School of Library Science, November 1-4, 1959. Urbana, Il: Graduate School of Library Science: 53-61.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online]. [cited 2012.1.24]. . 

  31. Sapiie, Jacquelyn. 1995. "Reader-interest classifica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9(3): 143-155. 

  32. Savage, Ernest A. 1949. Manual of book classification and display for public libraries. London: G. Allen & Unwin. 

  33. Schneider, Karen G. 2007. "Raising Arizona." [online]. [cited 2012.8.20]. . 

  34. Siess, Judith A. 2003. The visible librarian: asserting your value with marketing and advocacy.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5. Tuttlea, Jonathan. 2012. "The aphasia of modern subject acces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0(4): 263-275. 

  36. Webb, T. D. 1985. "Phoenix public library: reorganization based on a hierarchy of user types." In Reorganization in the public library. 52-66. Phoenix: ORYX Press. 

  37. Woodward, Jeannette. 2005. Creating the customer-driven library: building on the bookstore model.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