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xtracts from Hippophae rhamnoides L.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6, 2012년, pp.812 - 817  

고민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물공학과) ,  이혜정 (명지전문대학 뷰티아트과) ,  강명주 (명지전문대학 뷰티아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 추출물의 약리 활성 효과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소거능,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 및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비교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하게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100{\mu}g/mL$$500{\mu}g/mL$에서 52.1%와 73.4%로 나타나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미백 작용에 있어 tyrosinase 활성 억제와 항산화 작용이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시료농도 5, 10, 50, $500{\mu}g/mL$에서 48, 43, 47, 56%를 나타내 미백 효과가 우수한 arbutin보다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보고(Miyazawa & Tamura 2007)에 근거하여 볼 때 본 실험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ascorbic acid과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피부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 작용에 의한 미백 효과를 추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tyrosinase 억제 효과의 실험 결과 역시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시키고 여러 단계의 기작으로 인하여 미백 작용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성분이 풍부한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은 미백 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 작용이 우수한 기능성 천연 원료로써 미백 화장품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fruit extracts. Two in vitro methods were use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y and measurements of the inhibitory eff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 추출물의 약리 활성 효과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소거능,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 및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비교군인 ascorbic acid 와 유사하게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활성산소와 멜라닌 세포의 생리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화장품 분야와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더 나아가 본 연구 자료들이 선행 연구 결과가 많지 않은 열매추출물의 향장 소재와 관련된 분야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나무의 잎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종류는? 비타민 나무의 활용에 있어서는 열매, 잎, 가지, 뿌리 등을 활용하여 구내염, 질염 등의 염증과 화상, 궤양, 치질 등의 치료에 전통생약으로 활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열매 및 종자로부터 추출한 오일류는 여러 피부질환 및 모발 손상 예 용 제품의 첨가물로 이용되어 왔다(Geetha et al 2002, Chau- han et al 2007). 잎에는 quercetin, gallic acid, 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피부질환과 상처, 화상, 염증 치료의 효과와 세포보호 효과, 항노화, 항산화, 항암 등에 효과적인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Kim et al 2009a, Kim et al 2009b, Guan et al 2005).
멜라닌의 생성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또한 피부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과잉의 ROS가 생성될 때 콜라겐, 엘라스틴 그리고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의 진피 내 기질 성분을 분해하는 효소인 matrix metallo- proteinases(MMPs)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멜라닌 생성반응을 촉진시킨다. 멜라닌의 생성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먼저 tyrosinase에 의해 tyrosine이 활성화 되고, dihydroxyphenylalanine(DOPA)과 DOPA quinone 을 거치는 연속적인 산화 반응에 의해 흑갈색 공중합체의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 특히, 피부색소 형성의 주요 원인인 자외선에 의해 발생된 활성산소가 피부 색소 형성을 촉진한 다는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이들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보고가 있다(Tobin & Thody 1994, Eberlein-Konig et al 1998).
비타민 나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는 보리수과(Elaeagn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중국, 유럽, 러시아, 몽골, 히말라야 산맥 주변 국가 등에서 자생하고 있고 최근에는 국내 농가에서도 재배를 하고 있다. 오렌지색 또는 노란색과 유사한 작은 열매를 맺고 내한성이 매우 강한 식물로 한국과 북한에서는 비타민 나무 또는 산자나무로 불리고, 그 외 sea buckthorn, 시베리아 파인애플, 사극, 싸지(sajee)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jpai VK, Yoon JI, Kang SC (2009) Antioxidant and antidermatophytic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Magnolia liliflora Desr. Food Chem Toxicol 47: 2606-2612. 

  2. Bermath J, Foldesi D (1992)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A promising new medicinal and food crop. J Herb Spices Med Plant 1: 27-35. 

  3.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 1199-1200. 

  4. Chauhan AT, Negi PS, Ramteke RS (2007)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seed. Fitoterapia 78: 590-592. 

  5. Eberlein-Konig B, Placzek M, Przybilla B (1998) Protective effect against sunburn of combined systemic ascorbic acid (vitamin C) and d- $\alpha$ -tocopherol(vitamin E). J Am Acad Dermatol 38: 45-48. 

  6. Geetha S, Sai Ram M, V. Singh, Ilavashagan G, Sawhney RC (2002)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an in vitro stud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9: 373-378. 

  7. Guan TT, Cenkowski YS, Hydamaka AA (2005) Effect of drying on the nutraceutical quality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ssp. sinesis) leaves. J Food Sci 70: 514-518. 

  8. Halliwell B, Gutteridge JM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9.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A, Fuller B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10. Jung SW, Lee NK, Kim SJ, Han D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11. Kim IC, Heo SS (2009)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Astragali Radix, Atractylodis Rhizoma Alba and Acanthopanacis Cortex.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6: 110-116. 

  12. Kim JE, Chae KY, Park SN (2009a) Antioxidative and inhibitory activity on tyrosinase of Hippophae rhammoides Leaf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 374: 265-273. 

  13. Kim YN, Kim KM, Park MH, Kim KH, Im SH, Park YH (2009b)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from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J Appl Biol Chem 52: 58-64. 

  14. Lim SY, Leem JY, Lee CS, Jang YJ, Park JW, Yoon S (2007) Antioxidant and cell proliferation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94-700. 

  15. Miyazawa M, Tamura N (2007) Inhibitory compound of tyrosinase activity from the sprout of Polygonum hydropiper L.(Benitade). Biol Pharm Bull 30: 595-597. 

  16. Packer L (1994) New comprehensive biochemistry, In CA. Rice-Evans & RH. Burdon (Eds.).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Elsevier Science, Amsterdam. p 239. 

  17. Park JA, Jeong SH (2012) Melanin Inhibitory Activity and changes in melanin and erythema valu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Kor J Aesthet Cosmetol 10: 291-297. 

  18. Pyo YH, Yoon MY, Son JH, Choe TB (2008) The effect of Celosia cristata L. ethanol extract on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431-438. 

  19. Scharffeetter-Kochanek K (1997) Photoaging of the connective tissue of skin, In H. Sies (Ed.). Its prevention and therapy in antioxidants disease mechanism and therapy. Academic Press, London. pp 639-655. 

  20. Shin JY (2001)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Korean J Food & Nutr 14: 568- 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