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징어 먹즙 첨가에 따른 오징어 젓갈의 휘발성 염기질소 및 갈변도의 변화
The Changes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Browing in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9 no.4, 2012년, pp.631 - 637  

오성천 (대원대학교 제약식품계열)

초록

오징어 먹즙을 오징어 젓갈에 2% 및 4% 농도로 첨가하고 $10^{\circ}C$에서 8주일간, $20^{\circ}C$에서 32일간 숙성시키면서 휘발성염기질소와 갈변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하지 않은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휘발성염기질소는 염 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다. 갈변도는 숙성초반 증가하였다가 중반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오징어 먹즙 첨가한 오징어 젓갈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숙성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작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quid ink was added to the salt fermented squid by 2% or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circ}C$ for 8 weeks and at $20^{\circ}C$ for 32days. The effects of the squid ink on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browning activities of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7-8]와 용균효과[9]가 있는 오징어 먹즙을 이용한 오징어 젓갈의 저장성과 품질향상과 전통발효식품의 소비를 확대에 기여할 목적으로 5%, 7%, 9%의 식염 및 오징어 먹즙 2%, 4%를 첨가한 저염 젓갈을 시험 제조하여 실온인 20℃ 및 저온인 10℃에서 숙성시켰을 때 휘발성 염기질소와 갈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젓갈류란? 젓갈류는 어패류에 15-20%의 고식염을 가하고 염장하여 자기소화효소 또는 미생물의 효소 작용에 의해 분해된 육질에 의해 독특한 감칠맛과 특유의 향미를 가진 우리 전통 수산발효식품이다[1-2]. 젓갈은 염장으로 인한 짠맛과 재료 고유의 맛, 그리고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protease와 재료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성분들로 인하여 특유의 풍미가 있다[3].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후 숙성한 오징어 젓갈의 휘발성염기질소와 갈변도의 변화는? 오징어 먹즙을 오징어 젓갈에 2% 및 4% 농도로 첨가하고 $10^{\circ}C$에서 8주일간, $20^{\circ}C$에서 32일간 숙성시키면서 휘발성염기질소와 갈변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하지 않은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휘발성염기질소는 염 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다. 갈변도는 숙성초반 증가하였다가 중반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오징어 먹즙 첨가한 오징어 젓갈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숙성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작았다.
젓갈의 풍미의 원인은? 젓갈류는 어패류에 15-20%의 고식염을 가하고 염장하여 자기소화효소 또는 미생물의 효소 작용에 의해 분해된 육질에 의해 독특한 감칠맛과 특유의 향미를 가진 우리 전통 수산발효식품이다[1-2]. 젓갈은 염장으로 인한 짠맛과 재료 고유의 맛, 그리고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protease와 재료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성분들로 인하여 특유의 풍미가 있다[3]. 젓갈을 포함한 일반 가공식품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미생물들은 저장성에 관여 하는 것은 물론 풍미, 색조에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R. Cho, U. Y. Park, D. S. Chang, Studies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52 (2002). 

  2. S. C. Oh, J. S. Cho, Changes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f Low Salt Fermented Squid,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16(2), 173 (2000). 

  3. Z. Aslam, J. H. Lim, W. T. Im, M. Tasir, Y. R. Chung and S. T. Lee, Salinicoccus Jeotgali sp. nov., Isolated from Jeotagal,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633 (2007). 

  4. H. Shinano, M. Sato and M. Akiba, Studies on the Microorganisms in Foods. I. Distribution of Years in Fermented and Salted Foods. Rep. Fac. Fish., Hokkaido Univ., 26(2), 207 (1975). 

  5. A. C. Marsh, Process and Formulation that Affect the Sodium Content of Foods. Food Technol. 37(7), 45 (1983). 

  6. F. R. Shank, F. E. Scarbrough, J. E. Vanderveen and A. L. Forbes, FAD prospective on sodium. Food Technol. 37(7), 73 (1983). 

  7. J. Sasaki, K. Ishita, Y. Takaya, H. Uchisawa and H. Matsue, J. Nutr. Sci . Vitaminol 43(4), 455 (1997). 

  8. Y. Takaya, H. Uchisawa, H. Matsue, B. Okuzaki, F. narumi, J. Sasaki and K. Ishida, Biol. Pharm. Bull., 17(6), 846 (1994). 

  9. A. Mochizuki, Bull. Jap. Soc. Sci . Fish., 45(11), 1401 (1979). 

  10. A.O.A.C. :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80). 

  11. A.O.A.C. :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1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70). 

  12. Japanese Ministry of Hygiene, Food Sanitation Indices. I. Volatile Basic Nitrogens, 30 (1973). 

  13. K. G. Lee and S. M. Kim, Quality Changes in Low-Salted Squid Jeot-gal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5), 687(2012) 

  14. Y. J. Cha, H. S. Park, S. Y. Cho and E. H. Lee,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 4.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Korean J. Fish. Sci .. 16(4), 363 (1983). 

  15. E. H. Lee and N. J. Sung, The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Squid. Korean J. Food Sci. Technol. 9(4). 255 (19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