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자재내 포함된 천연방사성핵종에 의한 실내 공간의 방사선량 평가
External Exposure Due to Natural Radionuclides in Building Materials in Korean Dwellings 원문보기

방사선방어학회지 = Radiation protec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37 no.4, 2012년, pp.181 - 190  

조윤해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김창종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윤주용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조대형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김광표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자재에 포함된 천연방사성핵종은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일반인의 주요 피폭선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벽체에 존재하는 천연방사성 핵종에 의한 한국인의 실내에서의 외부피폭 방사선량을 평가하였다. 한국인의 주거실태, 실내공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량평가를 위한 표준 방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표준 방 이외의 다양한 크기의 공간에 대해서도 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수송 코드인 MCNPX를 사용하여 실내공간에서의 공기 중 흡수선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효선량률을 계산하였다. 콘크리트 벽체로만 이루어진 $3{\times}4{\times}2.8m^3$ 크기의 표준 방의 경우, 콘크리트 내 우라늄계열, 토륨계열, $^{40}K$ 핵종의 농도에 따라 공기 중 흡수선량률은 0.80, 0.97, 0.08 nGy $h^{-1}$ per Bq $kg^{-1}$이었으며, 유효선량률은 0.57, 0.69, 0.058 nSv $h^{-1}$ per Bq $kg^{-1}$이었다. 실내공간의 크기를 $5-30m^2$로 다양하게 변화시키더라도 천장/바닥 그리고 벽에 의한 상반된 선량률 변화로 인하여 전체 방사선량률은 실내 면적의 변화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다. 실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내의 천연방사성 핵종의 농도 및 한국인의 실내공간에서 생활양식 등을 토대로 한국인의 실내공간에서의 외부피폭 방사선량률 및 연간 유효선량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내의 우라늄계열, 토륨계열, $^{40}K$ 핵종의 농도가 각각 26, 39, 596 Bq $kg^{-1}$인 경우 공기 중 흡수선량률은 대략 104 nGy $h^{-1}$이었다. 일반인의 실내 점유율이 89%인 경우, 연간 유효선량은 0.59 mSv이었다. 국내의 일반적인 실내공간에서 콘크리트 벽체 내에 존재하는 천연방사성물질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은 실내점유율${\times}8760\;h\;y^{-1}{\times}(0.57C_U+0.69C_{Th}+0.058C_K)$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in building materials are main sources of external radiation exposure to the general publ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xternal radiation dose in Korean dwellings due to NORM in concrete walls. Reference room model for dose assess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내공간에서의 방사선 량률은 그 실내공간을 이루고 있는 벽체내의 방사선원 이외에도 거실 혹은 옆방과 같은 이웃 공간, 위층, 아래층, 옆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민감도 연구를 실시하였다. 위층, 중간층, 아래 층에 각각 3개의 실내공간을 구성하고 중간층 가운데 실내공간에서 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 실내공간에서의 방사선 량률은 그 실내공간을 이루고 있는 벽체내의 방사선원 이외에도 거실 혹은 옆방과 같은 이웃 공간, 위층, 아래층, 옆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민감도 연구를 실시하였다. 위층, 중간층, 아래 층에 각각 3개의 실내공간을 구성하고 중간층 가운데 실내공간에서 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벽체에 존재하는 천연방사성 핵종에 의한 한국인의 실내에서의 외부피폭 방사선량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콘크리트 벽체에 존재하는 천연방사성 핵종에 의한 한국인의 실내에서의 외부피폭 방사선량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콘크리트 내 우라늄 계열, 토륨계열, 40K 핵종의 농도별 외부피폭 방사선량률을 계산하였다.

가설 설정

  • 우라늄계열 핵종에서는 214Pb, 214Bi 등의 핵종의 24개 감마선 방출 에너지, 토륨계열에서는 228Ac, 212Bi 등의 핵종의 20개 감마선 방출 에너지, 40K의 경우는 1460 keV의 감마선 에너지를 고려하여 선량평가 하였다. 각 계열내의 핵종은 평형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우라늄 및 토륨계열 핵종의 감마선 에너지 및 방출분율을 표 2에 요약하였다 [11].
  • 1 m2의 출입문이 있는 공간을 가정하였다(그림 2-b). 다음으로 출입 문과 함께 창이 존재하는 공간을 가정하였다(그림 2-c 와 d). 이 경우 출입문이 있는 긴 벽체의 맞은편 벽에, 바닥에서 1 m 높이에 각각 1.
  • 두 번째는 긴 벽체의 한쪽 끝에 0.9×2.1 m2의 출입문이 있는 공간을 가정하였다(그림 2-b).
  • 국내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에 각각 47, 40, 5, 4%의 국민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를 국내의 대표 주거형태로 가정하고 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아파트 외에 단독주택, 다세대 주택 등에서도 다수의 국민이 거주한다.
  • 8 m3(가로×세로×높이)로 결정하였다(그림 1)[14]. 방의 구조에 따른 피폭선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이 네 가지 방의 구조를 가정하였다. 우선 가장 단순한 구조인 문과 창이 존재하지 않는 콘크리트 벽체로 둘러싸인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정하였다(그림 2-a).
  • 한국인의 실내에서의 외부피폭 방사선량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내의 천연방사성 핵종의 농도 및 한국인의 실내에서의 소요시간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연간 유효선량을 평가하였다 (그림 7). 선량평가는 모든 벽이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고 실시하였다 (그림 2-a 참조). 국내의 경우 콘크리트 벽체에 의한 유효선량은 연간 0.
  • 집에서는 침실 혹은 방에서 68%, 거실에서 17%, 부엌 및 식당에서 8%, 그리고 욕실 등 기타 공간에서 7%의 시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내공간에서의 연간 피폭 유효선량은 실내공간 점유율을 89%로 가정하여 평가 하였다. 이는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UNSCEAR)에서 선량평가를 위해 가정한 실내공간 점유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1].
  • 따라서 실내공간의 크기를 5-30 m2로 변화시키면서 피폭선량을 계산하였다. 실내공간의 형태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같고, 실내공간의 높이는 2.8 m로 가정하였다.
  • 방의 구조에 따른 피폭선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이 네 가지 방의 구조를 가정하였다. 우선 가장 단순한 구조인 문과 창이 존재하지 않는 콘크리트 벽체로 둘러싸인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정하였다(그림 2-a). 두 번째는 긴 벽체의 한쪽 끝에 0.
  • 이 경우 출입문이 있는 긴 벽체의 맞은편 벽에, 바닥에서 1 m 높이에 각각 1.2×1.4 m2와 2.4×1.4 m2 크기의 창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선량평가를 위해 MCNPX 코드를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벽체는 그림 1과 같이 짧은 벽체, 긴 벽체, 가로 벽체(천장과 바닥)의 세 쌍으로 나누어 모사하였으며, 모든 벽체의 두께와 밀도는 동일하며, 구성성분은 표 1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벽체 내에 천연방사성물질이 균일하게 분포하며, 등방성으로 방사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선원항을 모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 피폭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고조된 사건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방사선 피폭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콘크리트, 타일, 석고보드, 벽지 등에서 방사성핵종이 검출되었다는 보고 등은 건축자재로 인한 방사선 피폭에 대한 일반인의 염려를 크게 증대시켰다.
천연방사성핵종의 특징은? 천연방사성핵종은 자연환경 중에 항상 존재하면서 일반인 피폭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실내공간에서의 피폭선량은 천연방사성핵종에 의한 일반인 피폭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건축자재 중 콘크리트가 외부피폭을 유발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경우 그 구성은 골재, 시멘트, 물, 공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재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실리카퓸 등의 산업 부산물을 혼화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콘크리트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들은 천연방사성핵종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천연방사성핵종 중 외부피폭을 유발하는 감마 방출 선원은 우라늄계열 핵종, 토륨계열 핵종, 40K을 포함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Vol. I Sources. 2000. 

  2.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Effects of Atomic Radiation.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SCEAR 2008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Volume I. 2010. 

  3. Risica S, Bolzan C, Nuccetelli C. Radioactivity in building materials: room model analysis and experimental methods. Sci. Total Environ. 2001; 272:119-26. 

  4. Allam KA. New model for dwelling dose calculation using monte carlo integration. Radiat. Prot. Dosim. 2009;133:153-157. 

  5. Maduar MF, Hiromoto G. Evaluation of indoor gamma radiation dose in dwellings. Radiat. Prot. Dosim. 2004;111:221-228. 

  6. Al-Jundi J, Ulanovsky A, Prohl G. Doses of external exposure in Jordan house due to gamma-emitting natural radionuclides in building materials. J. Environ. Radioact. 2009;100:841-846. 

  7. Koblinger, L. Calculation of exposure rates from gamma sources in walls of dwelling rooms. Health Physics. 1978;34:459-463. 

  8. Moharram BM, Suliman MN, Zahran NF, Shennawy SE, El Sayed AR. External exposure doses due to gamma emitting natural radionuclides in some Egyptian building materials. Appl. Radiat. Isot. 2012;70:241-248. 

  9. European Commission. Radiation protection principles concerning the natural radioactivity of building materials. Radiation Protection 112. 1999. 

  10. Radiation and Nuclear Safety Authority. Radiation dose assessments for materials with elevated natural radioactivity. STUK-B-STO 32. 1995. 

  11. Mustonen, R. Methods for evaluation of radiation from building materials. Rad. Prot. Dosim. 1984;7: 235-238. 

  1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행정구역별 주택현황. 2012. 

  13. 환경부. 한국형 노출지수 개발 및 운영체계 구축. GOVP1200812666. (2007). 

  14. Lee JH, Lee C. Analytical study for the plan of unit household in national housing scale - Oriented on the cases of Korean housing corporation since 2005: Focused on analysi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0;19: 180-189. 

  15. Hubbell JH, Seltzer SM. Tables of x-ray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and mass energyabsorption coefficients from 1 keV to 20 MeV for elements Z1 to 92 and 48 additional substanc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04. 

  16. Al-Sulaiti H, Nasir T, Al Mugren KS, Alkhomashi N, Al-Dahan N, Al-Dosari M, Bradley DA, Bukhari S, Matthews M, Regan PH. Determination of the natural radioactivity levels in north west of Dukhan, Qatar using high-resolution gamma-ray spectrometry. Appl. Radiat. Isot. 2011;70:1344- 1350. 

  17.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분야 건출설계 지침. 2010. 

  18.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03. Oxford; Pergamon Press. 2007. 

  19.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Adult reference computational phantoms. ICRP Publication 110. Oxford; Pergamon Press. 2009. 

  20.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Conversion coefficients for radiological protection quantities for external radiation exposures. ICRP Publication 116. Oxford; Pergamon Press. 2010. 

  21.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Conversion coefficients for use in radiological protection against external radiation. ICRP Publication 74. Oxford; Pergamon Press. 1997. 

  22. Lee SC, Kim CK, Lee DM, Kang HD. Natural radionuclides contents and radon exhalation rates in building materials used in South Korea. Radiat. Prot. Dosim. 2001;94:269-274. 

  23. Trevisi R, Risica S, D'Alessandro M, Paradiso D, Nuccetelli C. Natural radioactivity in building materials in the European Union: a database and an estimate of radiological significance. J. Env. Radioact. 2012;105:11-20. 

  24.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우리나라의 방사선 환경. KINS/GR-25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