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거주 노인들의 만성질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 by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the Seoul a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6, 2012년, pp.531 - 540  

박유경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연주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상선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depending on the types of chronic disease of the elderly at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299 elderly over the age of 60 (82 men and 217 women); they were grouped by the diseas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 실태 조사를 통해 노인의 영양 섭취와 생활습관을 분석하고, 노년기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관리 및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유병에 따른 노인의 식습관 실태 조사를 통해 노인의 영양 섭취 상태 및 생활습관을 분석하고, 식습관이 노년기 만성질환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16,17) 이는 운동 부족, 음주, 흡연 및 비균형적인 영양섭취 등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요인에서 비롯된다. 이중 불량한 영양 섭취는 그 영양소가 관여하는 대사과정을 비롯한 신체기능에 영향을 주어 만성질환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보유에 따른 노인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8%로 증가하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2) 노인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문제와 관련된다. 이 중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야기된 만성질환에 따른 의료비 증가는 사회 재정적인 부담을 안기게 되는데 전체 의료비 중 노인인구의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2년 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 질환이란 무엇인가? 심혈관 질환은 심근경색, 고혈압, 부정맥, 동맥경화, 뇌혈관 질환 등 심장 및 혈액이 순환하는 모든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광범위한 질환으로,7) 암을 제외한 우리나라 인구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8) 당뇨병은 체내 인슐린의 절대 또는 상대적 결핍에 에너지 대사 이상을 초래하는 만성대사성질환으로9) 우리나라 노인의 5명 중 1명이 당뇨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구의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2) 노인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문제와 관련된다. 이 중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야기된 만성질환에 따른 의료비 증가는 사회 재정적인 부담을 안기게 되는데 전체 의료비 중 노인인구의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2002년 19.8%에서 2010년 31.6%로 크게 증가하였다.3)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1) 즉, 낮은 출생률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노인인구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1950년 3%대에 머물던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00년에는 7.2%로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20.8%로 증가하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2) 노인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문제와 관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u SH, Kim JD. Analysis of multi-level effectivenes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t KLIPS 2006. J Korean Gerontol Soc 2011; 31(2): 407-41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lderly real estate survey. Seoul; 2009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statistical analysis of medical cost in Korea. Seoul; 2011 

  4. Wolff JL, Starfield B, Anderson G. Prevalence, expenditures, and complications of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the elderly. Arch Intern Med 2002; 162(20): 2269-2276 

  5. Kirkwood TB, Austad SN. Why do we age? Nature 2000; 408(9): 233-238 

  6. Statistics Korea. 2010 statistics elderly. Daejeon; 2010 

  7. Song R, June KJ, Ro YJ, Kim CG. Effects of motivation-enhancing program on health behavior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functional status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J Korean Acad Nurs 2001; 31(5): 858-870 

  8. Statistics Korea. A statistical table of the cause of death, 2010. Daejeon; 2010 

  9. Shin JW, Park YK, Suh SR, Kim J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J Korean Gerontol Soc 2011; 31(3): 479-487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 Seoul; 2011 

  11. Lee HS, Kwon CS. Prevalence of arthritis and health behavior related risk factors of the older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9): 1187-1194 

  12. Kwon IS. Understanding of aging. J Korean Med Assoc 2007; 50 (3): 208-215 

  13. Stuck AE, Walthert JM, Nikolaus T, Bula CJ, Hohmann C, Beck JC. Risk factors for functional status decline in community-living elderly peopl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oc Sci Med 1999; 48(4): 445-469 

  14. Meydani M. Nutrition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ease. Ann N Y Acad Sci 2001; 928: 226-235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10 

  16. White JV, Ham RJ, Lipschitz DA, Dwyer JT, Wellman NS. Consensus of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risk factors and indicators of poor nutritional status in older Americans. J Am Diet Assoc 1991; 91(7): 783-787 

  17. Park HJ, Hwang YJ, Kim WY. Inflammatory cytokines and dietary factors in Korean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 Nutr 2006; 39(4): 372-380 

  18. Elliott P, Stamler J, Nichols R, Dyer AR, Stamler R, Kesteloot H, Marmot M. Intersalt revisited: further analyses of 24 hour sodium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within and across populations.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BMJ 1996; 312(7041): 1249-1253 

  19. Kim HS, Park CS. Self-care and physical symptom by gender in Korean type2 diabetic pati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3; 9(3): 270-276 

  20. Lee JH, Lee HJ, Lee IK, Yoon JS. Relationship between zinc status and obesity of type 2 diabetic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1): 70-78 

  21. Son SM. Health Life.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Seoul; 2005. p.34-35 

  22. Kim YB, Kim HK, Kim M. Characteristic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belief of women by body mass index. Korean Growth Develop 2003; 11(3): 45-55 

  23. Yang EJ, Bang HM.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2008; 41(1): 65-76 

  24. Kang MH.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people. Korean J Nutr 1994; 27(6): 616-635 

  25. Son SM, Kim M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chronic disease in elderly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4): 668-6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