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매 환자의 격앙행동과 주간호자의 대처행동
Agitation in Home-dwelling Persons with Dementia and Coping Behaviors in Primary Care-givers to the Agita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3, 2012년, pp.256 - 265  

김혜숙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박희옥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gitation in home-dwelling persons with dementia and coping behaviors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to agitation. Methods: The research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tudy. A total of two hundred and five subjects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치매노인 가족의 경우 방문간호 서비스가 주어진다면 치매노인을 집에서 모시고 싶어 하는 문화이므로(Yang, 1995), 재가치매노인의 격앙행동과 대처행동을 파악함으로서 효과적인 대처행동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여 이들의 재가 거주를 최대한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가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가족원의 대처행동을 파악함으로서 가족원이 재가치매노인의 격앙행동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주간호제공자의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격앙행동과 이에 대한 주간호자의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가치매노인이 보이는 격앙행동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주간호자의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재가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이 평균 1.
  • 본 연구는 재가치매노인의 격앙행동과 이에 대한 주간호자의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본 연구결과 재가치매노인은 같은 말/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등의 격앙행동을 가장 많이 보였고 주간호자는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에 대해 그 상황을 떠나기, 일정시간을 허락하기, 말로 달래기 등의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재가치매노인의 격앙행동과 주간호자의 대처행동을 파악하려는 첫 시도로 그 의의가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은 간호 인력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시설에서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이 목욕보조, 식사보조, 위생관리, 화장실이용 등의 간호제공 상황에서 흔히 발생하기 때문에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의 대상은 주로 치매노인을 도와주는 간호 인력이 된다(Oh, 2000). 이러한 격앙행동은 다른 입소자를 가해하거나 주변 환경을 파괴할 수 있으며 간호 제공자들의 업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이들의 업무의욕을 상실하게 하여 간호 인력의 이직욕구를 증가시킨다(Cheon, Jo, Song, & Oh, 2003; Oh, 2000).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에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은 국내외에서 문제행동, 초조행동, 공격행동, 흥분행동, 파괴적음성화, 수동성행동 등으로 다르게 표현되기도 하고 격앙행동이 이러한 행동의 부분으로 포함되기도 한다(Cohen-Mansfield, Werner, Watson, & Pasis, 1995). 시설치매노인의 경우 70% 이상의 치매노인이 격앙행동을 보이고 시설간호 제공자의 80% 이상이 치매노인의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간호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Aasland & Aarsland, 2007; Kim, Choi, & Park, 2007; Oh, 1998).
시설에서 자주 나타나는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시설치매노인의 경우 70% 이상의 치매노인이 격앙행동을 보이고 시설간호 제공자의 80% 이상이 치매노인의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간호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Aasland & Aarsland, 2007; Kim, Choi, & Park, 2007; Oh, 1998). 시설에서 자주 나타나는 치매노인의 격앙행동은 때리기, 밀기, 꼬집기 등의 신체적 행동과 소리 지르기, 비난하기, 욕하기, 불평하기 등의 언어적 행동을 포함한다(Lee, Y. H.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asland, A. M., & Aarsland, D. (2007). Prevalence and correlated of disruptive behavior in patients in Norwegian nursing home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 (9), 916-921. 

  2. Byeon, Y. S., & Nam, J. J. (2002). A study on disturbing behaviors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9 (2), 246-265. 

  3. Cheon, J. S., Jo, S. G., Song, H. R., & Oh, B. H. (2003). Caregiver burden for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7 (2), 154-163. 

  4. Cohen-Mansfield, J., & Libin, A. (2005). Verbal and physical non-aggressive agitated behaviors in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Robustness of syndrome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9 (2), 325-332. 

  5. Cohen-Mansfield, J., Marx, M. S., & Rosenthal, A. S. (1989). A description of agitation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Gerontological Medical Science, 44 (3), 77-84. 

  6. Cohen-Mansfield, J., Werner, P., Watson, V., & Pasis, S. (1995). Agitation in participants of adult day care centers: The experiences of relatives and staff member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7 (2), 447-458. 

  7. Hamel., M., Gold, D. P., Andres, D., Reis, M., Dastoor, D., Grauer, H., et al. (1990).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aggressive behavior by community-based dementia patients. Gerontologist, 30 (2), 206-211. 

  8. Homes, C., Hopkins, V., MacLaughlin, V., Wikinson, D., & Rosenvinge, H. (2002). Lavender oil as a treatment for agitation behavior in severe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7 (4), 305-308. 

  9. Jung, J. H. (2009).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are on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nursing institutions for th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0. Kang, Y. S. (2000). A study on disturbing behaviors of demented elderly staying at h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University, Busan. 

  11. Kim, H. S. (2002). Elder abuse due to care giving burden of the caregiver with the dementia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Gyeongju. 

  12. Kim, K. A. (2003).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of problematic behaviors for institutionalized old people with dement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3. Kim, K. S., Choi, E. S., & Park, S. A. (2007). A stud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 of dementia (BPSD) among dementia elderly in an institutional setting.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7 (1), 137-152. 

  14. Kim, M. G., Lee, S. S., Lee, Y. H., Lee, S. K., Ahn, D. S., Yoon, S. H., et al. (1998). An investigation to the diagnostic validity of MMSE-K and the psychopathology in a group of urba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 (6), 1277-1291. 

  15. Kim, N. C., Yoo, Y. S., & Hahn, S. W. (2000). The effect of reminiscence with audio-visual stimulation on senile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 98-109. 

  16. Kim, S. O.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light therapy on agitated behavior & sleep disturbance of demented elderly.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 (3), 303-316. 

  17. Lee, A. K. (2003). Needs of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for nursing hom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Y. H. (2003).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and a coping behavior of dementia care-worker who experienced 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9. Menagham, E. G. (1983). Marital stress and family transaction: A panel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2), 371-385. 

  20. Oh, H., & Sok, S. H. (2009). Health condition, burden of caring,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2), 157-166. 

  21. Oh, J. J. (1998). Aggressive behavior of dementia patients in a facility.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2 (2), 172-184. 

  22. Oh, J. J. (2000). The experience of nursing staff on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2), 293-306. 

  23. Park, H. O. (2002). Aggressive behavior patterns and management in patients with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4. Park, H. O., & Specht, J. K. (2009). Effect of individualized music on agitation in individuals with dementia who live at hom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5 (8), 47-55. 

  25. Ryden, M. B. (1988). Aggressive behavior in person with dementia who live in the community. Alzheimer Disease Association Disorder, 2 (4), 342-355. 

  26. Statistics. (2010). Statistics of aging. Retrieved May 25, 2011, from http://www.kostat.go.kr. 

  27. Twelftree, H., & Qazi, A. (2006).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gitation in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10 (4), 362-367. 

  28. Whall, A. L., Gillis, G. L., Yankou, D., Booth, D. E., & Beel-Bates, C. A. (1992). Disruptive behavior in elderly nursing residents: A survey of nursing staff.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8 (10), 13-17. 

  29. Yang, S. (1995). Care of the senile dementia patient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 (1), 23-30. 

  30. Yu, F., Kolanowski, A. M., & Litaker, M. (2006). The association of physical function with agitation and passivity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2 (12), 30-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