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레놉시스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 최근 연구동향
Recent trends in tissue culture and genetic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39 no.4, 2012년, pp.225 - 234  

노희선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  이상일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  이이레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  백선영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  김종보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port describes recent advances in tissue culture and genetic transformation of commercial Phalaenopsis. Recently, an importance of Phalaenopsis has been increased due to its popularity with beautiful flowers and is widely used for pot plants as well as cut-flower. Its use is rapidly enlarg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6)은 PLB의 팔레놉시스 조직으로부터 직접 다신초 형성에 관하여 보고 하였다. PLB 혹은 callus 유도를 통해 생산한 조직배양 묘는 변이 발생율이 높아, 상업적 이용가치가 저하 되므로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PLB, callus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다신초를 유도하여 식물체를 생산고자 수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지닌 양란 중 팔레놉시스 우량 품종 증식 및 보급에 널리 사용되는 조직배양 기술 그리고 향후 전통육종기술과 결합하여 새롭게 창출된 유전 변이를 이용하여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는 사례 등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레놉시스란 무엇인가? 꽃은 주로 겨울부터 봄에 개화하는데, 이중에는 여름이나 가을에 개화하는 품종도 있다(강 2001). 팔레놉시스는 전형적인 단경성 난으로 벌브는 없고, 원산지는 히말라야・미얀마・필리핀・태국・인도네시아 등의 동남아시아로 열대아시아에서부터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40 ~ 5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습한 지역의 나무에 착생하지만 일부는 바위에 착생하기도 한다(윤과 정 2011).
PLB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형질전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화 된 절편체 증식 및 재분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PLB의 경우 급속하게 대량증식을 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는 반면 품종에 따라 변이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팔레놉시스의 형질전환의 경우, 최근 10여 년 동안 10여 편 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대부분이 형질전환 효율성을 높이는 실험이고, 유용유전자 도입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팔레놉시스 조직배양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직배양 묘는 실생묘와 비교하여 생육이 비교적 고르고 개화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며 화색과 화형이 동일하여 그 결과 재배에 있어서 용이함과 우수한 상품성을 가지게 된다(김 2010). 그러나, 일부품종에 있어서 변이문제가 발생하여 난 산업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난 조직으로부터 직접 다신 초를 유도하는 등의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연구가 부족하고 효율성이 PLB를 통한 증식에 비해 떨어져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protocorm-like bodies(PLB)를 통한 클론묘 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다(김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법선 (2001) 우아하고 화려한 신비의 화초 난, 대원사 

  2. 김원진 외 (25인 공저 (2001) 화훼육종기술. 농촌진흥청원예연구소 . p455 

  3. 김주학 (2010) 호접란 묘 생산 system 과 국내 배양실의 문제점. 제10회 난 심포지움. 학술발표초록집 p 11-19 

  4. 농림수산식품부 (2011) 화훼재배현황통계 

  5. 윤경은 , 정소영 (2011) 세계의 난. 김영사 

  6. 한지학 외 76인 공저 (2007) 식물형질전환. 정문각 

  7. Anzai HY, Ishii MS, Katsumata K, Nojiri C, Morikawa H, Tanaka M (1996)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by particle bombardment. Plant Tiss Cult Lett 13:265-272 

  8. Been CG (2003) Production of Phalaenopsis clones by shoot propagation. Flower Res J 11(2):171-176 

  9. Bhadra SK, Hossain MM (2004) Induction of embryogenesis and direct organogenesis in Micropera pallida Lindl., an epiphytic orchid of Bangladesh. J Orchid Soc India 18:5-9 

  10. Chang C and Chang WC (1998) Plnat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 of Cymbidium ensifolium var. misericors. Plnat Cell Rep 17:251-255 

  11. Chen JT and Chang WC (2006)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s of Phalaenopsis amabilis. Biologia Plant 50(2):169-173 

  12. Choi JY, Koh JC (2009)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flower stalk tissue cultures of Phalaenopsis hybrid. Flower Res J 17(3):165-171 

  13. Ernst R, Arditti J & Healey PL (1971) Carbohydrate physiology of orchid seedlings. II. Hydrolysis and effects of oligosaccharides. Am J Bot 58:827-835 

  14. Fan S (2011a) Development of transgenic Phalaenopsis resistant to two viral infection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15. Fan S (2011b) Genetic engineering of ORSV-resistant Phalaenopsi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16. Fan S, Qibin Z, Lu Q, Guoshu L, Haiyan Y (2010) Preliminary studies on influential factors on callus induction of Phalaenopsi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3060-3064 

  17. Gow WP, Chen JT, Chang WC (2010) Enhancement of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let growth from leaf explants of Phalaenopsis by adjusting culture period and explant length. Acta Physiol Plant 32:621-627 

  18. Homma Y and Asahira T (1985) New means of Phalaenopsis propagation with internodal sections of flower stalk. J of the Jpn Soc for Hort Sci 54:379-387 

  19. Huetteman CA, Precee JE (1993) Thidiazuron: a potent cytokinin for woody plant tissue culture. Plant Cell Tiss Org Cult 33:105-119 

  20. Hur YJ, Kim EY, Yang WT, Lee YB, Lee JH, Jung YS, Nam JS, Yun DJ, Yi KH, Kim DH (2009)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by using protocorm-like body. J of Life Sci 19(3):378-383 

  21. Inchihashi S (1992) Micropropagation of Phalaenopsis through the culture of lateral buds from young flower stalks. Lindleyana 7:208-215 

  22. Intuwong O and Y Sagawa (1974) Clonal propagation of Phalaenopsis by shoot tip culture. Ameri Orchid Soc Bull 43:893-895 

  23. Kanchanapoom K, Nakkaew A, Kanchanapoom K, Phongdara A, (2012) Efficient biolistic transformation and regeneration capacity of an EgTCTP transgene in protocorm-like bodies of Phalaenopsis orchid. Notulae Botan Horti Agrobotanici Cluj-Napoca 40(1):58-64 

  24. Kano K (1965) Studies on the media for orchid seed germination. Memoirs of Faculty of Agriculture Kagawa University 20:1-68 

  25. Khoddamzadeh AA, Sinniah UR, Kadir MA, Kadzimin SB, Mahmood M, Sreeramanan S (2011) In vitro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protocorm-like bodies (PLBs) from leaf segments of Phalaenopsis bellina (Rchb.f.) Christenson. Plant Growth Reg 65:381-387 

  26. Knudson L (1946) A new nutrient solution for the germination of orchid seed. Ameri Orchid Soc Bull 15:214-217 

  27. Kobayashi M, Komatuda M, Yonar S (1991) Studies on the vegetative propagation of Phalaenopsis through root tip culture Abstr. J of Jpn Soc for Hort Sci 59:664-665 

  28. Lin CC (1986) In vitro culture of flower stalk internodes of Phalaenopsis and Doritaenopsis. Lindleyan 1:158-163 

  29. Liu THA, Lin JJ, Wu RY (2006) The effects of using trehalose as a carbon source on the proliferation of Phalaenopsis and Doritaenopsis protocorm-like-bodies. Plant Cell Tiss and Org Cult 86:125-129 

  30. Mariam AL, Rosmah M, Zaleha AA, Lai HT, Lilly MG, Rimi R (2010) Effects of N6-Benzyladenine and thidiazuron on proliferation of Phalaenopsis gigantea protocorms. Asia Pac J Mol Biol Biotech 18(1):217-220 

  31. Morel GM (1960) Producing virus-free cymbidium, Ameri Orchid Soc Bull 29:495-497 

  32. Morel GM (1964) Tissue culture-a new means of clonal propagation of orchids. American Orchid Soc Bull 32:105-107 

  33. Muller J, Wiemken A, Aeschbacher R (1999) Trehalose metabolism in sugar sensing and plant development. Plant Sci 147:37-47 

  34. Murashige T and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 with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5:473-497 

  35. Myint KT, Kim CK, Chung MY, Park JS, Chung JD (2006) Direct induction of multiple shoots from stem tissue of Phalaenopsis hybrids. Flower Res J 14(2):69-74 

  36. Myint KT (2004) A newlt established regeneration system through direct organogenesis and embryogenesis on Phalaenopsis.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37. Na AS, Been CG, Jeong BR (2007) Selection of optimum culture and subculturing conditions for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Phalaenopsis. Flower Res J 15(3):139-144 

  38. Na AS, Been CG, Jeong BR (2010) Approaches on optimum conditions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Flower Res J 18(1):1-8 

  39. Niknejad A, Kadir MA, Kadzimin SB (2011)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corms-like bodies (PLBs) and callus of Phalaenopsis gigantea (Epidendroideae: Orchidaceae) Afri J of Biotech 10(56):11808-11816 

  40. Qin X, Liu Y, Mao S, Li T, Wu H, Chu C, Wang Y (2011) Genetic transformation of lipid transfer protein encoding gene in Phalaenopsis amabilis to enhance cold resistance. Euphytica 177:33-43 

  41. Park YS, Lim SH, Lee SD, Park IT (2009) A new Phalaenopsis cultivar ‘Jaha’ with large purple petal. Flower Res J 17(3): 205-207 

  42. Roter G (1949) A method of vegetative propagation of Phalaenopsis species and hybrid. Ameri Orchid Soc Bull 18:738-793 

  43. Semiarti E, Indrianto A, Purwantoro A, Martiw INA, Feroniasanti YML, Nadifah F, Mercuriana IS, Dwitani R, Mercriana HM, Iwakawa H, Yoshiok Y, Machida Y, Machida C(2010) High-frequency genetic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amabilis orchid using tomato extract-enriched medium for the pre-culture of protocorms. J of Hort Sci and Biotech 85(3): 205-210 

  44. Sinha P, Jahan MAA, Munshi JL, Khatun R (2010) High Frequency Regeneration of Phalaenopsis amabilis (L.) Bl. cv. Lovely through In vitro Culture. Plant Tiss Cult and Biotech 20(2):185-193 

  45. Smith SE (1973) Asymbiotic germination of orchid seeds on carbohydrates of fungal origin. New Phytol 72:497-499 

  46. Sreeramanan S and Zuraida AR (2010) Early GFP gene assessments influencing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in Phalaenopsis violacea orchid. Emirates J of Food and Agri 22(2):103-116 

  47. Sreeramanan S, Vinod B, Sashi S, Xavier R (2008) Optimization of the transient gus gene transfer of Phalaenopsis violacea orchid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an assessment of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of gene transfer mechanisms. Advances in Natural and Appl Sci 2(2):77-88 

  48. Sreeramanan S, Xavier R (2010) Emerging factors that influence efficiency of T-DNA gene transfer into Phalaenopsis violacea orchid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Inter J of Bio 2(2):64-72 

  49. Tanaka M and Y Sakanishi (1978)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in vitro cultured lateral bods from Phalaenopsis flower stalks. Scient Horti 8:169-173 

  50. Tokuhara K, Mii M (1993) Micropropagation of Phalaenopsis and Doritaenopsis by culturing shoot tips of flower stalk buds. Plant Cell Rep 13:7-11 

  51. Tsay HS, Hol HM, Gupta1 SK, Wang CS, Chen PT, Chen ECF (2012) Development of pollen mediated activation tagging system for Phalaenopsis and Doritaenopsis. Elec J of Biotech 0717-3458 

  52. Tse AT, Smith RJ, Hackett WP (1971)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on Phalaenopsis nodes. Ameri Orchid Soc Bull 40:807-810 

  53. Vacin EF, Went FW (1949) Some pH changes in nutrient solutions. Bot Gaz 110:605-613 

  54. Wimber DE (1963) Clonal multiplication of Cymbidium through tissue culture of the shoot meristem. Ameri Orchid Soc Bull 32:105-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