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비디움 육종,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Review on breeding, tissue culture and genetic transformation systems in Cymbidium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37 no.4, 2010년, pp.357 - 369  

이유미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자원환경과학과) ,  김미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이상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자원환경과학과) ,  김종보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자원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ymbidium is horticulturally important and has been one of the most commercially successful orchid plants as well as cut flower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Up to now, a huge number of elite Cymbidium cultivars have been released on the commercial market via cross-hybridization, mutation and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h). 기내 조직배양 시 계대배양은 한 달에 한번씩 수행하였고, 순화 후 약 7~10일에 한번 씩 관수하였다.
  • 미리 준비된 유전자가 코팅된 gold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Fig. 9b), 유전자총 실험은 biolistic particle delivery system (PDS-1000/He, Bio-rad, USA)을 사용하여 사출거리 6 cm, 1회 shooting 한 후 3주간 PPT-free 배지에서 선발배지에서 배양 하기 전 지연기간을 거쳤다(Fig. 9c, g, h).
  • 아그로박테리움 실험에서는 심비디움 PLB를 사용하여 Agrobacterium 접종 2일 전에 식물체를 준비하여 HCa배지에서 배양한 후, 실험 당일 침봉 처리를 수행하였다(Fig. 9d). 침봉 처리를 완료하고, 접종 용액에 20분 접종한 후, (Fig.
  • 이때 얻은 rhizome은 100 mg/l kanamycin이 들어간 배지에서 선발하여 살아남은 rhizome을 nptⅡ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로 추정하였다.
  • 실생계통 가운데 생육 및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면 이 개체의 생육 및 개화특성이 균일하게 발현되는지 그리고 병해 등 환경적응성이 강한 개체 그리고 형질이 균일하게 발현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일정량의 동일한 개체를 조직배양하여 증식한 다음 생육특성과 개화특성을 조사하여야 하는데 이를 특성검정이라 한다. 이러한 특성검정은 선발을 포함해 3회에 걸쳐 실시하며 최종적으로 우수한 계통은 선발하여 품종화 한다 (Fig. 4).
  • 9m, n).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립된 형질전환체계를 이용하여 수량 증대 및 환경 복합 저항성을 가진 형질전환 심비디움 식물체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형질전환 심비디움 식물체 개발 관련 학술지 발표는 최근 20년간 5편 내외로 미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형질전환 방법을 확립하고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9c, g, h). 이후 PPT 5 mg/l가 첨가되어 있는 HCa 선발배지에서 약 8-10주간 선발하였고 (Fig. 9i), 5 mg/l PPT에서 살아남은 식물체만 골라낸 후 (Fig. 9j), 항생제가 없는 HCa 배지로 옮겨 재분화를 유도하였다 (Fig. 9k). 이후 화분으로 옮겨 심어 순화시켰고 (Fig.
  • 9f, g, h). 이후 유전자 총을 이용한 실험에서와 같이 5 mg/l PPT가 함유된 HCa 배지에서 약 8-10주간 배양하면서 살아남은 식물체를 선발하였고 (Fig. 9i), 선발된 식물체는 cefotaxime 200mg/l만 들어있는 HCa 배지로 옮겨 재분화를 유도하였다(Fig. 9j, k). 각각에 사용된 배지 조성은 Table 4에서 언급하였다.
  • 침봉 처리를 완료하고, 접종 용액에 20분 접종한 후, (Fig. 9e), AS 100 µM이 첨가되어 있는 HCa 배지에서 3일간 공동배양 시킨 후 수세하였고 PPT-free 배지에서 3주간 지연선발기간을 주었다 (Fig. 9f, g, h).
  • 한편, 본 연구진은 PLB를 사용하여 유전자 총 실험과 Agrobacterium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따라서 본 연구진은 PLB를 사용하여 조직배양 실험을 수행하였고, 사용 배지는 기본 HCa 배지를 사용하였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비디움의 화색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난에서는 실제로 화색 유전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데 비해, 난의 화색애 관한 유전양식은 많은 육종가들의 관심사항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활용가능한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심비디움의 화색은 클로로필, 안토시아닌 등 기타 색소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녹색꽃은 클로로필을 함유하고 있어서 광합성이 가능하며, 안토시아닌의 발현은 우성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심비디움의 주요 육종목표는 무엇인가? 심비디움의 주요 육종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미와 경제성, ② 화색, 꽃의 수명, 생산성(단위면적당, 1주당 생산가능본), 내서성, 내병성, 내음성, 조생성 ③ 개화형태 (standard → standard, achytype) ③ 개화시기: 작형다양화 (겨울 → 봄, 가을), ④ 분화 수명 및 상품성 증대.
심비디움이란 무엇인가?  심비디움은 상록성 초본식물로 약 44개의 원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Du Puyd and Cribb 1988) 1화경에 10개 이상의 소화가 착생하여 보통 1개 화분에 30송이 이상의 꽃이 피어 매우 화려하고 절화 또는 분화 수명이 약 2개월 정도로 길어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난 품목 중의 하나이다 (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 원진 외 25인 (2001) 화훼육종기술,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수원 pp. 229-239 

  2. Begum AA, M Tamaki, S Kako (1994a) Formation of protocorm-like bodies (PLBs) and shoot developmentthrough in vitro culture of outer tissue of Cymbidium PLB. J Jpn Soc Hort Sci 63:663-673 

  3. Begum AA, M Tamaki, M Tahara, S Kako (1994b) Somatic embryogenesis in Cymbidium through in vitro culture of inner tissue of protocorm-like bodies. J Jpn Soc Hort Sci 63:419-427 

  4. Chang C, Chang WC (1998)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 of Cymbidium ensifolium var. misericors. Plant Cell Rep 17:251-255 

  5. Chang C, Chang WC (2000) Micropropagation of cymbidium ensifolium var. Misericors through callus-derived rhizomes.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36:517-520 

  6. Chen YQ, Liu Xiao, Liu Youqi (2005)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the immature seeds of Cymbidium faberi. Plant Cell Tiss Org Cult 81:247-251 

  7. Chin DP, KI Mishiba, M Mii (2007)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rotocorm-like bodies in Cymbidium. Plant Cell Rep 26:735-743 

  8. Coker, J (1993) The genus Cymbidium. In: Gallagher, D., M. Hewitt, and C. Jennings. Australian orchid growing. Australian Orchid Council Inc, Australia 

  9. Du Puy D, Cribb P (1988) The classification of Cymbidium. P. 50-194. In: D. Du Puy and P. Cribb(eds.). Timber Press, Oregon, USA 

  10. Griesbach RJ (1985) Polyploidy in orchid improvement. Amer Orchid Soc Bull 54(10): 1445-1451 

  11. Guest G, S Guest. (1996) More Cymbidiums. Guest Orchids, Australia 

  12. Hong KA, So IS, Lee OK, Cheong CD, Riu KZ, U ZK (1996) Optimization of Cymbidium transformation system by the particle gun techniques. Agri Chemi Biotechnol 39(4): 260-264 

  13. Hossain M.M., Madhu Sharma, Jaime A. Teixeira da Silva, Promila Pathak (2010) Seed germination and tissue culture of Cymbidium giganteum Wall. ex Lindl. Sci Hort 123:479-487 

  14. Huan LVT, Tanaka M (2004a) Callus induction from protocorm-like body segments and plant regeneration in Cymbidium (Orchidaceae). J Hortic Sci Biotech 79:406-410 

  15. Huan LVT, Tanaka M (2004b) Effects of red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on callus induction, callus proliferation, and protocorm-like body formation from callus in Cymbidium orchid. Environ Control Biol 42:57-64 

  16. Huan Le Van Tuong, Takamura T, Tanaka M (2004)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through somatic embryo structures in Cymbidium orchid. Plant Sci 166:1443-449 

  17. Hugo F. 1979. New horizons in orchid breeding. Day printing Co. California, USA 

  18. Ichihashi S (1991) Orchid biology reviews and perspectives. printed in Japan, pp. 136-137 

  19. Ishii Y, T Takamura, M Goi, M Tanaka (1998) 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of Phalaenopsis. Plant Cell Rep 17:446-450 

  20. Kim KW, Kako S (1984)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on protocorm-like bodies formation and explant development in the Cymbidium shoot apex culture in vitro. J Kor Soc Hort Sci 25:156-163 

  21. Kim MS, JY Won, CH Song, JS Eun, DW Lee (1997) polyploidy induction of Cymbidium kanran by treatment of colchicine in vitro. RDA J Hort Sci 39(1):73-76 

  22. Kim MS, YR Lee, MI Jung, JS Song, JY Kim (2006a) A new Cymbidium hybrid ‘Beauty Princess’ with red purple petals and medium plant size. Korean J Breed 38:205-206 

  23. Kim MS, YR Lee, MI Jung, JY Kim, DW Lee (2006b) A new Cymbidium hybrid ‘Bright Lemon’ with yellow petals and fragrance. Korean J Breed 38:207-208 

  24. Kim MS, YR Lee, MI Jung, JY Kim, JS Song (2007) A new Cymbidium hybrid ‘Bright Evening’ with brownish yellow petals. Korean J Breed 39:389-390 

  25. Kim MS, HR Cho, HK Lee, JH Lim, SY Choi, YJ Kim (2008a) Cymbidium ‘Honey Girl’ with white color and mediumsized plant. Flower Res J 16:291-294 

  26. Kim MS, HR Cho, HK Lee, JH Lim, SY Choi, YJ Kim (2008b) A New cultivar Cymbidium ‘White Princess’ with white color and vigorous growth. Flower Res J 16:295-298 

  27. Kim MS, HR Cho, HK Lee, JH Lim, YR Lee, HK Shin (2009) New Cymbidium variety ‘Yellow Evening’ with brownish yellow flower color on red spot lip and medium plant. Kor J Breed 41:358-362 

  28. Kim MS, Jung MI, Lee YR (2010) Cymbidium hybrid ‘Purple Princess’ with dark purple color. Kor J Hort Sci Technol 28(4):715-718 

  29. Macleod RA (1947) Some effects of colchicine on orchids. Amer Orchid Soc Bull 16:336-337 

  30.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09) The present status of cultivation in flower crops 

  31. Moore ET (1947) The use of colchicine in orchids. Amer Orchid Soc Bull 16:512-513 

  32. Morel GM (1960) Producing virus-free Cymbidium, Amer Orchid Soc Bull 29:495-497 

  33. Morel GM (1964) Tissue culture-a new means of clonal propagation of orchids, Amer Orchid Soc Bull 32:105-107 

  34.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97 

  35. Nayak NR, Chand PK, Rath SP, Patnaik SN (1998) Influence of some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growth and organogenesis of Cymbidium aloifolium (L.) Sw. seedderived rhizomes in vitro.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34:185-188 

  36. Nayak NR, S Sahoo, S Patnaik, SP Rath (2002) Establishment of thin cross section (TCS) culture method for rapid micropropagation of Cymbidium aloifolium (L.) Sw. and Dendrobium nobile Lindl. (Orchidaceae). Scientia Hortic. 94:107-116. 

  37. Sagawa YT, Shoji T (1966) Clonal propagation of Cymbidium through shoot meristem culture. Amer Orchid Soc Bull 35:118-122 

  38. Shimasaki K, S Uemoto (1990) Micropropagation of a terrestrial Cymbidium species using rhizomes development from seeds and pseudobulbs. Plant Cell Tiss Org Cult 22:237-244 

  39. Shimasaki K, S Uemoto (1991) Rhizome induc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of Cymbidium goeringii from flower bud cultures in vitro. Plant Cell Tiss Org Cult 25:49-52 

  40. Steward FC, MO Mapes (1971) Morphogenesis in aseptic cell cultures of Cymbidium. Bot Gaz 132:65-70 

  41. Tawaro S, Suraninpong P, Chanprame S (2008) Germination and regeneration of Cymbidium findlaysonianum Lindl on a medium supplemented with some organic sources. Walailak J Sci & Tech 5(2):125-135 

  42. Teixeira da Silva JA, Tanaka M (2006) Multiple regeneration pathways via thin cell layers in hybrid Cymbidium (Orchidaceae) J Plant Growth Regul 25:203-210 

  43. Teixeira da Silva JA, Singh N, Tanaka M (2006) Priming biotic factors for optimal protocorm-like body and callus induction in hybrid Cymbidium (Orchidaceae), and assessment of cytogenetic stability in regenerated plantlets. Plant Cell Tiss Org Cult 84:135-144 

  44. Ueda HH, Torikata (1968) Organogenesis in meristem culture of Cymbidium. I. Studies on the effects of growth substances added to culture media under continuous illumination. J Jpn Soc Hort Sci 37:240-248 

  45. Wang X (1988) Tissue culture of Cymbidium: plant and flower induction in vitro. Lindleyana 3:184-189 

  46. Wimber DE (1963) Clonal multiplication of Cymbidium through tissue culture of the shoot meristem, Amer Orchid Soc Bull 32:105-107 

  47. Wimber DE, S Watrous, AJ Mollahan (1987) Colchicine induced polyploidy in Orchid. Proc. 25th World Orchid Conf pp. 65-69 

  48. Yang J, Lee H, Shin DH, Oh SK, Seon JH, Paek KY, Han K (1999) Genetic transformation of Cymbidium orchid by particle bombardment. Plant Cell Rep 18:978-9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