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 봉황사 삼세불 제작에 사용된 섬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ibers of Samsebul (Triple Buddha Statues) at Bonghwangsa in Andong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8 no.4, 2012년, pp.297 - 303  

조경실 (은실문물연구원)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2점(A, B), 석가불 시료 1점(C), 아미타불 시료 1점(D)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료들에 대해 기존의 문화재 명칭에는 삼베로 기록되어 있었다. 열화가 심하고 두꺼운 먼지층을 형성하고 있어 육안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으나 본 실험을 통하여 약사불 시료1점(A)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sebul, the altar portrait behind the statue of Buddha in the main building of Bonghwang temple in Andong, has been designat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406. These alter portraits have significance as the standard of the research of Samsebul in Joseon period. In this study, fibre of the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현미경법, 화학약품을 이용한 용해법과 FT-IR, X-선회절분석 등의 분광분석기기를 이용한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삼세불화의 바탕직물의 재질을 분석함으로써 육안관찰만으로 오류를 범할 수 있었던 기존의 삼세불화에 대해 보고된 문화재 명칭을 바로잡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원에서는 2010년 안동시청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본 유물의 보존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소량의 직물시료를 사용하여 삼세불의 바탕섬유의 재질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섬유류 유물에 대한 재질조사는 보존처리와 복원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탱화가 그려진 바탕 직물의 섬유 재질을 동정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2점(A, B), 석가불 시료 1점(C), 아미타불 시료 1점(D)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은 무엇으로 지정되어 있는가?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삼세불이 그려진 바탕 직물의 섬유를 육안으로 감별이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인가? 본 시료들에 대해 기존의 문화재 명칭에는 삼베로 기록되어 있었다. 열화가 심하고 두꺼운 먼지층을 형성하고 있어 육안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으나 본 실험을 통하여 약사불 시료1점(A)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임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ttp://www.gb.go.kr/data/dobo/5273(20081103).pdf, Gyeongsangbuk-do report, (2008). 

  2. Choi, S.C., Lee, Y.H. and Chun, T.I., "Test method of Textile". Suhaksa, p143-164, (1992). 

  3. Oh, J.S.,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Historic Textiles - Theory and Practice -". Journal of the Korean Scociety of Costume, 58, p211-231, (2008). 

  4. Baek, Y.M. and Kwon, Y.S., "A Study on Analyzing of Carbonized Fibers in Excavated Cloths". The 20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of Cultural Heritage, p109-114, (2004). 

  5. Zzemaitytee, R., Jonaitienee, V., Milassius, R., Stanys, S. and Ulozaitee, R.,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Fiber Constitution of Archaeological Textiles". Material Science, 12, p258-261, (2006). 

  6. Garside, P. and Wyeth, P. "Identification of Cellulosic Fibers by FTIR Spectroscopy: Thread and Single Fibre Analysis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Studies in Conservation, 48, p3-8, (2003). 

  7. Liu, J., Guo, D., Zhou, Y., Wu, Z., Li, W., Zhao, F. and Zheng, X., "Identification of ancient textiles from Yingpan, Xinjiang, by multiple analytical techniqu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8, p1763-1770, (2011). 

  8. Kathryn L. Hatch, "Textile Science". West Publication Company, p155-179, (1993). 

  9. Korea Apparel Testing & Research Institute, "Explanation of Textile Test". p21, (2004). 

  10. Yu, B.S., Park, M.G. and Youm, J.R., "Instrumental Analysis". Dongmyoungsa, p328-329, (1994). 

  11. Nunome, J., "The Archaeology of Fiber before your eyes". Sensoku to Seikatsusha, p147-148, (1992). 

  12. The Textile Institute Manchester, "Identification of Texctile Materials". Seventh Edition, Manara printing services, p78-83, (1985). 

  13. Oh, J.S., "identification Atlas of Natural Fiber and Fur". Natural Folk Museum, (2005). 

  14. Timar-Balazsy, A. and Eastop, D., "Chemical Principle of Textile Conservation". Routledge, p19, (2011). 

  15. Wang, Q., Fan, X., Gaoa, W. and Chen, J., "Characterization of bioscoured cotton fabrics using FT-IR ATR spectroscopy and microscopy techniques". Carbohydrate Research, 341, p2170-2175, (2006). 

  16. Socrates, G., "Infrared Characteristic Group Frequencies". BWILEY, p20, p66, (1994). 

  17. Prasong, S., Yaowalak, S. and Wilaiwan, S., "Characteristics of Silk Fiber with and without Sericin Component: A Comparison between Bombyx mori and Philosamia ricini Silks". Pakist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2, p872-876, (2009). 

  18. Jang, B.H., Park, B.G., Park. S.M., Kim, K.S., Tak, T.M. and Ryu, D.I., "Textile process". Hyoungseol publishing company, p13-20, (1994). 

  19. Jeon, C.H., Kwon, Y.S., Lee, S.J. and Cho, H.H., "A Study on the Acid Degradation Properties of Cellulose Fabrics for Costume Heritage Restoration".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17, p35-40,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