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소장 필첩 및 첩갑에 사용된 직물 및 염료분석
Analysis on the Textile and Dye Used for the Book Cover and Slipcase Housed in the Oryundae Korean Martyrs Museum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3, 2016년, pp.345 - 352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하신혜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  배선영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  이정은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권영숙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부산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국긔복소션"과 "법복졀복"의 직의(織衣) 즉, 표지직물 및 이를 보관하는 첩갑을 구성하고 있는 직물에 관한 분석적 연구이다. 본 유물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재위 1834~1849)의 후궁인 경빈 김씨(1831-1907)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첩갑과 2권의 필첩의 표지는 모두 적외분광 분석 결과, 견직물에 의해 배첩이 되어있으며 첩갑의 표지는 화문직은단(花紋織銀緞)으로 되어있고 두 필첩의 겉표지는 초록색과 적색의 수자편복문단이다. 첩갑의 금속사 부분은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은이 산화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염료분석 결과, 적색인 "법복졀복"의 표지직물에서는 berberine, brazilin, carthamin 등이 검출되어 황벽, 소목, 홍화 등에 의해 복합염색이 된 것으로 추정되며 첩갑의 색사들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첩갑의 황색섬유에서 rutin이 검출되어 괴화에 의한 염색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textile used for book covers of "Gukgiboksiksoseon" and "Boepboksajeolboksaek", and slipcase of these books kept in the Oryundae Korean Martyrs Museum in Busan. These records are estimated to be written by Gyeongbin Kim(1831-1907), who was a royal con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이 두 권의 필첩과 첩갑에 사용된 직물에 관하여 조사하고 최소량의 시편으로 HPLC-PDA를 사용하여 염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섬유문화재에 대한 염료분석은 주로 출토복식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Baek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긔복 소션』은 무엇에 관하여 기록한 것인가? 부산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국긔복 소션』과 『법복 졀복 』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재위 1834∼1849)의 후궁인 경빈 김씨(1831-1907)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으로 『국긔복 소션』은 순조대왕과 순원왕후, 익종대왕과 신정왕후, 헌종대왕과 첫 번째 왕후인 효현왕후 등 3대에 걸쳐 총 여섯 분의 기일복식에 관하여 기록되어 있으며, 『법복 졀복 』은 일 년 사절기 동안 궁중에서 왕실 여성이 탄일·정조를 비롯한 크고 작은 명절과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의례복과 평상복을 기록한 것으로 19세기 말 궁중 왕실 여성의 옷차림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Ha and Kwon, 2014; 2016). 이 두 권의 필첩은 책갑에 보관되어있으며 모두 겉면이 직물로 배접되어 있는 상태이다(Figure 1).
『국긔복 소션』과 『법복 졀복 』은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가? 부산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국긔복 소션』과 『법복 졀복 』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재위 1834∼1849)의 후궁인 경빈 김씨(1831-1907)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으로 『국긔복 소션』은 순조대왕과 순원왕후, 익종대왕과 신정왕후, 헌종대왕과 첫 번째 왕후인 효현왕후 등 3대에 걸쳐 총 여섯 분의 기일복식에 관하여 기록되어 있으며, 『법복 졀복 』은 일 년 사절기 동안 궁중에서 왕실 여성이 탄일·정조를 비롯한 크고 작은 명절과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의례복과 평상복을 기록한 것으로 19세기 말 궁중 왕실 여성의 옷차림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Ha and Kwon, 2014; 2016). 이 두 권의 필첩은 책갑에 보관되어있으며 모두 겉면이 직물로 배접되어 있는 상태이다(Figure 1).
『국긔복 소션』의 필첩에 있는 문양은 무엇인가? 본 유물의 두 권의 필첩은 같은 단층단직물이며 『국긔복 소션』은 초록색이고 『법복 졀복 』은 주홍색이다. 문양으로 원형의 수(壽)자 문양과 박쥐문양이 있는 수자편복문단(壽字蝙蝠紋緞)이다(Figure 2). 이 직물은 동궁비원삼으로 알려진 원삼의 안감과 동일한 것으로 원삼의 미색의 안감과 파란색 선단에 사용되었는데 이 원삼은 1906년 순정효황후의 병오가례시에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C.S., 2007, Analysis of the degradation products of turmeric using GC-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6), 859-8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hn, C.S. and Obendorf, A.K., 2004, Dyes on archaeological textiles: Analyzing alizarin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Textiles Research Journal, 74(11), 949-954. 

  3. Ahn, C.S., Zeng, X., Li, L. and Obendorf, S.K., 2014, Thermal degradation of natural dyes and their analysis using HPLC-DAD-MS. Fashion and Textiles, 1, 1-13. 

  4. Ahn, C.S., Zeng, X. and Obendorf, S.K., 2015,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iode array detectormass selective detector analysis of major natural dyes with the application of $H_2O_2$ /ultraviolet treatment as a way to simulate burial degradation of textiles. Textiles Research Journal, 85(3), 238-250 

  5. Baek, Y.M., Kwon, Y.S., Goto-Doshida, S. and Saito, M., 2012, Analysis of dyes and mordants of 16-17th century textiles excavated from Daejeo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2), 119-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ae, J.M. and Ryu, H.S, 2015, Identification of natural dyes used in 16th pink Dallryeong (Offical's robe in Joseon Dynasty) excavated from Cheonan, Chungnam.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3), 299-3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 G.Y., 2005, A Study on the bookbinder and bookbinding in the late Joseon palace- The analysis of Seonwonboryak-Sujeong-Uigue during King Yeongjo-. Bibliography Research, 31, 57-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 K.R., 2010, Studies on the natural dyes. Hyungseul Publishing, Seoul. (in Korean)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Important falk materials 2. (in Korean) 

  10. Fukatsu, Y., Kasasaku, N. and Saito, M., 2008, Scientific analysis of materials and techniques in purple woolen fabrics used for Japanese campaign coat from the Edo period.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53, 20-34.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1. Ha, S.H. and Kwon, Y.S., 2014, A study on the anniversary costumes for 19C royal women in Guk Gi Bok Sik So Seo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7(4), 7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Ha, S.H. and Kwon, Y.S., 2016, Royal female costumes of late 19th century in Sajeol Boksaek Sajang Yoram and Beobbok Sajeol Bok Sae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2), 55-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Ishii, M., 2006, Scientific analysis of yellow dyes in historic textiles and conservation research on fade prevention. Ph.D. dissertation, Kyoritsu Women's University, Tokyo.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4. Ishii, M., Nagasaki, I., Ito, N. and Saito, M., 2005, HPLC analysis of natural yellow dyes and the identification of yellow and green dyes in Edo period kosode(kimono).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49, 41-5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5. Ishii, M. and Saito, M., 2007, HPLC analysis of natural yellow dyes in 18th century French silk textile.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52, 37-52.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E., Yu, J.A., Han, Y.B. and Chung, Y.J., 2016, Study of characteristics for red adhesive in traditional gold thread.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2(1), 4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J.P. and Lee, J.J., 2008, Natural dyes in Korea-Traditional dyes and natural dyeing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S.Y., 2010, Dyes and dyeing in Korea, from 1876 to 19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77-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matsu, M., Nishioka, F. and Saito, M., 2005, Identification of red dyes and mordents used in 12th to 19th centuries Japanese armor. Journal of the Japan Society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49, 25-4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Y.H., Lee, J.H., Kim, Y.S., Choi, S.C., Ham, S.W. and Kim, K.J., 2008, Investigation of natural dyes and ancient textiles from Korea using TOF-SIMS. Applied Surface Science, 255(4), 1033-1036. 

  21. Sim, Y.O., 2002, 5000 years of Korean textiles. Institute for Studies of Ancient Textile,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Yun, E.Y. and Kwon, H.Y., 2013, Nondestructive analysis of textile dyed with traditional blue and green.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4,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