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성암 관찰과 지식에 대한 제주도, 울릉도, 충북 지역 학생들의 비교
A Comparison of Jeju Island, Ulleung Island, and Chungbuk region Students for Igneous rocks Observation and Knowledg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1, 2012년, pp.73 - 81  

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현무암과 화성암과 같은 화성암을 관찰할 때 화성암 지역에 살고 있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제주도에 살고 있는 5학년 학생 68명, 울릉도에 살고 있는 5학년 학생 28명, 그리고 화산지역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지역의 5학년 학생 61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현무암과 화성암을 관찰하게 한 후 학생들은 관찰한 사실을 모두 적었다. 그리고 관찰이 끝난 후 관찰이외에 현무암과 화성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 모두를 적도록 하였다.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암 관찰에 있어서 학생들은 지역적 특성 변인에 의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화성암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관찰 이외에 알고 있는 지식의 양 또한 지역적 특성과 관련되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화성암에 대해 관찰 사실 이외에 알고 있는 지식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많은 학생들은 화성암의 근원물질이나 생성과정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진술은 많이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이 현상을 탐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ived in volcanic region or not while observing the igneous rocks basalt and granite. For the study we recruited 68 fifth-grade students in Jeju Island, 29 fifthgrade students in Ulleung Island and 61 fifth-grade students in inl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화성암에 대한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화성암을 관찰할 때 나타내는 특성에 대해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을 통해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화성암 관찰은 ‘관찰’이라는 탐구과정 요소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초등학교 과학의 활동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암석에 관한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의 학생들의 관찰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각 지역별 집단별로 화강암과 현무암에 대한 관찰 수를 비교한 기술통계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 화강암과 현무암에 대한 관찰 사실 이외의 지식의 양 비교: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암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의 학생들의 선지식이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 비해 화성암 관찰 결과와 관찰 사실 이외의 지식의 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두번째로 이루어진 조사는 관찰 사실 이외에 학생들이 알고 있는 화성암에 대한 지식의 양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 특히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암석에 대한 관찰이 빈번하게 다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관찰활동과 관련한 암석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암 관찰 활동을 통해 화성암과 관련된 지역적 특성이라는 선지식이 학생들의 관찰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양적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관찰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관찰활동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이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관찰이 과학적 탐구의 시작이며 중요한 과정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암에 대해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는 지역의 학생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학생들로 하여금 화성암을 관찰하게 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관찰 내용을 비교해봄으로써 관찰에 대한 선지식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암석 관찰에 대한 내용은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관찰 활동 중 하나이지만, 다른 활동에 비해 과학 영역 중 지질학과 관련한 활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 화강암과 현무암에 대한 관찰 사실 이외의 지식의 양 비교: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암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의 학생들의 선지식이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 비해 화성암 관찰 결과와 관찰 사실 이외의 지식의 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두번째로 이루어진 조사는 관찰 사실 이외에 학생들이 알고 있는 화성암에 대한 지식의 양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 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431-439. 

  2. 위수민, 조현준, 김준석, 김윤지, 2007, 광물과 암석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8, 415-430. 

  3. 위수민, 최준경, 2002, 고등학생들의 광물과 암석에 대한 흥미도.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25-631. 

  4. 이혜원, 양일호, 조현준, 2005, 초.중학생의 관찰, 예상, 가설의 이해. 초등과학교육, 24, 236-241. 

  5. 정재구, 위수민, 장명덕, 정진우, 2003, 초등학교 암석 단원에서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의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4, 371-377. 

  6. 정진우, 임청환, 이윤복, 1994, 암석에 관한 초등학교 아동의 개념. 초등과학교육, 13, 1-17. 

  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0, Science A Process Approach II (SAPA II). Delta Education. Inc. 

  8. Ahtee, M., Suomela, L., Juuti, K., Lampiselka, J., and Lavonen, J., 2009, Primary school student teachers' views about making observations. NORDINA, 5, 128-141. 

  9. Bailer, J., Ramig, J.E., and Ramsey, J.M., 2006, Teaching science process skills: Middle school. Grand Rapids, Michigan: Frank Schaffer Publications. 

  10. Cain, S.E., 2002, Sciencing, 4th ed. Columbus, OH: Merill. 

  11. Funk, H.J., Fiel. R.L., Okey, J.R., Jaus, H.H., and Sprague, C.S., 1985, Learning science process skill (2nd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200 p. 

  12. Lederman, N.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31-359. 

  13. Moher, T., Jhonson, A., Cho, Y., and Lin, Y., 2000, Observation-based inquiry in a virtual ambient environment. InB. Fishman & S. O'connor-Divelbiss (Eds.), Foru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Learning Sciences (pp.238-245). Mahwah, NJ: Erlbaum. 

  14. Martin, R., Sexton, C., and Franklin, T., 2009,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An inquiry approach, 5th ed. Boston: Pearson, 592 p. 

  1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2 p. 

  16. National Assessment Governing Board (NAGB), 2007, Science framework for the 2005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Washington, DC: The author, U.S. Department of Education, 112 p. 

  17. Norris, S., 1984, Defining Observational competence. Science Education, 68, 129-142. 

  18. Vasques, J., 2008, Tools and traits for highly effective science teaching, K-8. Portsmouth, NH: Heinemann, 19 p. 

  19. Watson, C., 1991, Process science in action: activities and questions to develop your skills. New York: Heinemann, 154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