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음향 모델을 위한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의 체내 음속비 및 밀도비
Measurements of Sound Speed and Density Contrasts of the Moon Jellyfish (Aurelia aurita s.l.) for Hydroacoustic Model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4 no.1, 2012년, pp.85 - 91  

강돈혁 (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방위연구센터) ,  이창원 (한양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해양환경과학과) ,  이형빈 (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방위연구센터) ,  김미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방위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und speed contrast (h) and density contrast (g) of the interested target are key parameters to understand acoustic characteristics by using theoretical scattering models. The density and sound speed of moon jellyfish (common jellyfish, Aurelia aurita s.l.) were measu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POP 장치에서 음향 센서는 400 kHz 주파수를 가진 센서로 T형 실린더 양 끝단에 송·수신기를 설치하였다.
  • ,Yellow Springs, Ohio, USA). 두 번째 단계로 절개된 해파리를 넣어 음파 도달 시간(time-of-flight)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저장하였으며, 동시에 실린더 내부의 수온 및 염분 자료를 기록하였다. 음파 도달 시간으로부터 해파리 음속비를 구하기 위한 식은 (1)과 같다(Chu et al.
  • 본 연구에서 음속비와 밀도비 측정에 사용한 보름달물해파리 15개체의 우산 직경(bell diameter)에 대한 습중량(wet weight) 관계를 유도하였다. 우산 직경의 범위는 10- 21 cm(평균 15.
  • 본 연구에서는 살아있는 보름달물해파리 시료를 이용하여 수중음향 이론 모델의 핵심 변수인 음속비와 밀도비를 측정하였다. 채집의 한계로 인한 한정된 시료를 이용하였지만 다른 시기에 측정된 동일한 종의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성을 보이고 있었다.
  • 시화호에서 채집한 보름달물해파리는 해수 수조(2 m 가로×2 m 세로×1 m 높이)에, 통영 인근 해역에서 채집한 해파리는 대형 어망(4 m 가로×4 m 세로×4 m 높이)에 보관 후 음속비와 밀도비를 측정하였다.
  • 2006). 실험에 사용 된 APOP 장치의 실린더 부분 직경이 해파리 우산 부분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전체 우산이 아닌 해파리 우산의 일부를 절개하여 음속을 측정하였다. 우산 직경 범위가 10-21 cm인 해파리를 메스를 이용하여 우산을 중심으로 2등분 혹은 4등분하였고, 이 가운데 하나의 부분을 T형 실린더 내부로 옮겼다.
  • 채집한 해파리 중 15개체는 음속비 측정에, 6개체는 밀도비 측정에 이용하였다(Table 1). 실험에 사용된 보름달물해파리는 음속비 혹은 밀도비 측정에 앞서 각 개체에 대해서 1 cm 간격으로 격자를 그린 플라스틱 용기에 해수를 채우고, 보름달물해파리의 각 개체를 넣어 우산(bell)이 펴지도록 하여 우산 직경(bell diameter, cm)을 측정하였다.
  • 01 g의 정확도를 가져 오차를 줄였다. 실험에 사용된 해파리의 습중량(wet weight, g)은 음속비 및 밀도비 측정이 모두 완료된 후 절개된 부분을 모두 합쳐 표면 및 우산 내의 물기를 제거한 이후 측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 된 APOP 장치의 실린더 부분 직경이 해파리 우산 부분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전체 우산이 아닌 해파리 우산의 일부를 절개하여 음속을 측정하였다. 우산 직경 범위가 10-21 cm인 해파리를 메스를 이용하여 우산을 중심으로 2등분 혹은 4등분하였고, 이 가운데 하나의 부분을 T형 실린더 내부로 옮겼다. 음속비 측정을 위한 해파리 시료의 이동은 모든 과정이 수중에서 이루어졌으며, 해파리 시료를 자르거나 T형 실린더 내에 삽입할 경우에도 공기방울에 의한 외부 오염의 가능성을 최소화시켰다.
  • 해파리는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대형 플라스틱 용기(15 l)와 비닐 주머니로 채집하였다. 채집 방법은 직접 주변 해수와 함께 해파리를 담아 채집하였고, 채집 과정에서 미세 기포가 해파리 체내와 표면에 흡착되는 영향을 없애기 위해 최대한 안정된 조건에서 채집하였다. 시료 채집 과정에서 미세 기포가 흡착된 해파리는 측정에서 제외시켰다.
  • 음향 신호는 송신 과정에서 총 6 cycle의 sine 파형을 발생시켰으며, 수신 센서는 디지털신호 저장용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절개된 해파리를 넣기 전에 여과된 해수 만을 이용하여 수온 및 염분 자료(YSI 85 series)와 동시에 해수의 음속을 측정하였다(YSI Inc.,Yellow Springs, Ohio, USA). 두 번째 단계로 절개된 해파리를 넣어 음파 도달 시간(time-of-flight)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저장하였으며, 동시에 실린더 내부의 수온 및 염분 자료를 기록하였다.
  • 해수와 증류수의 밀도는 각각 EOS80(Equation of State 80) 식과 무게-부피의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Pond and Pickard 1986). 해파리의 밀도비(g)를 측정하기 위해 채집한 6개체의 보름달물해파리를 메스실린더에 들어갈 크기로 절단한 후 측정하였다. 밀도비를 구하기 위한 실험식은 식 (3)과 같다.

대상 데이터

  • T형 관내 해파리와 물의 전체 부피 중 해파리 만의 부피 비인 변수 Φ는 실험에 사용된 해파리 조직의 크기에 따라 0.22-0.71까지 다양하였다.
  • 대상 생물인 보름달물해파리는 2008년 9월, 우리나라 연안에서 분포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알려진 시화호와 통영 인근 해역에서 채집하였다. 해파리는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대형 플라스틱 용기(15 l)와 비닐 주머니로 채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2개의 용액은 각각 증류수와 해파리 시료가 담겨있는 해수를 이용하였다. 해수와 증류수의 밀도는 각각 EOS80(Equation of State 80) 식과 무게-부피의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Pond and Pickard 1986).
  • 채집한 해파리 중 15개체는 음속비 측정에, 6개체는 밀도비 측정에 이용하였다(Table 1). 실험에 사용된 보름달물해파리는 음속비 혹은 밀도비 측정에 앞서 각 개체에 대해서 1 cm 간격으로 격자를 그린 플라스틱 용기에 해수를 채우고, 보름달물해파리의 각 개체를 넣어 우산(bell)이 펴지도록 하여 우산 직경(bell diameter, cm)을 측정하였다.
  • 대상 생물인 보름달물해파리는 2008년 9월, 우리나라 연안에서 분포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알려진 시화호와 통영 인근 해역에서 채집하였다. 해파리는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대형 플라스틱 용기(15 l)와 비닐 주머니로 채집하였다. 채집 방법은 직접 주변 해수와 함께 해파리를 담아 채집하였고, 채집 과정에서 미세 기포가 해파리 체내와 표면에 흡착되는 영향을 없애기 위해 최대한 안정된 조건에서 채집하였다.

이론/모형

  • : 해수의 음속). 보름달물해파리의 음속비 측정은 어류 및 오징어, 동물플랑크톤 등의 음속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APOP(Acoustic Properties Of zooPlankton) 장치를 이용하였다(Fig. 1, Chu et al. 2000; Kang et al. 2006). 실험에 사용 된 APOP 장치의 실린더 부분 직경이 해파리 우산 부분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전체 우산이 아닌 해파리 우산의 일부를 절개하여 음속을 측정하였다.
  • 주파수별 TS 자료 혹은 함수식은 현장 음향 조사 자료로부터 개체 판별 혹은 현존량 변환을 위한 핵심 변수로 TS 자료의 정확도에 따라 분포 및 현존량의 정확도가 결정된다(Medwin and Clay 1998). 중요 상업어종 혹은 생태계의 중요 생물종의 음향 특성 파악과 동일하게 해파리 음향 특성 파악 또한 직접 측정 혹은 대상 생물 체내의 물리적 특성 및 형상을 고려하는 수중음향 이론 모델을 이용한다(Simmonds and MacLennan 2005).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2개의 용액은 각각 증류수와 해파리 시료가 담겨있는 해수를 이용하였다. 해수와 증류수의 밀도는 각각 EOS80(Equation of State 80) 식과 무게-부피의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Pond and Pickard 1986). 해파리의 밀도비(g)를 측정하기 위해 채집한 6개체의 보름달물해파리를 메스실린더에 들어갈 크기로 절단한 후 측정하였다.
  • : 해수의 밀도). 해파리의 밀도비를 측정하기 위해 채집한 6개체의 보름달물해파리를 메스실린더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후 dual-densit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ualdensity 방법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2개의 용액을 부피와 무게를 알고 있는 용기에 시료와 함께 넣어 시료만의 밀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동물플랑크톤이나 크릴 등의 밀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Chu and Weibe 2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향 조사 기법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해파리 개체수 조사는 기존의 목시 관측 혹은 네트를 이용하여 채집하는 방법과 1990년 중반 이후에 제안되고 있는 수중음향 조사 기법이 있다(Mutlu 1996; 국토해양부 2009). 이 가운데 음향 조사 기법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전 수 층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해파리 대발생 지역에서 적용하고 있다(Brierley et al. 2001; Colombo et al.
해파리는 어떤 피해를 일으키는가? 최근 전 세계적인 해파리(Jellyfish) 대발생은 해양 생태계뿐만 아니라 연안 수산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Mills 2001). 또한 연안에 위치하여 해수를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의 취수구로 대량 유입되어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Lee et al. 2006).
해파리 개체수 조사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해파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파리 서식처 혹은 연안으로 유입되는 지점에서의 개체수 추정이 필요하다. 해파리 개체수 조사는 기존의 목시 관측 혹은 네트를 이용하여 채집하는 방법과 1990년 중반 이후에 제안되고 있는 수중음향 조사 기법이 있다(Mutlu 1996; 국토해양부 2009). 이 가운데 음향 조사 기법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전 수 층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해파리 대발생 지역에서 적용하고 있다(Brierle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국토해양부 (2009) 유해해양생물 해파리 피해예방 기획연구 보고서. 국립수산과학원, 225 p 

  2. Brierley AS, Axelsen BE, Buecher E, Sparks CAJ, Boyer H, Gibbons MJ (2001) Acoustic observations of jellyfish in the Namibian Benguela. Mar Eco Prog Ser 210:55-66 

  3. Brierley AS, Axelsen BE, Boyer DC, Lynam CP, Didcock CA, Boyer HJ, Sparks CAJ, Purcell JE, Gibbons MJ (2004) Single-target echo detections of jellyfish. ICES J Mar Sci 61:383-393 

  4. Chu D, Wiebe P, Copley N (2000) Inference of material properties of zooplankton from acoustic and resistivity measurements. ICES J Mar Sci 57:1128-1142 

  5. Chu D, Wiebe PH (2005) Measurements of sound-speed and density contrasts of zooplankton in Antarctic waters. ICES J Mar Sci 62:818-831 

  6. Colombo GA, Mianzan H, Madriolas A (2003) Acoustic characterization of gelatinous-plankton aggregations: four case studies from the Argentine continental shelf. ICES J Mar Sci 60:650-657 

  7. Hirose M, Mukai T, Hwang D, Iida K (2009)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ree jellyfish species: Nemopilema nomurai, Cyanea nozakii, and Aurelia aurita. ICES J Mar Sci 66:1233-1237 

  8. Kang D, Iida K, Mukai T, Kim JM (2006) Density and sound speed contrasts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their influence on acoustic target strength. Fish Sci 72:728-736 

  9. Kang DH, Kim JH, Lee HB, Myung JG (2009) Target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ultiple gelatinous organisms, Aurelia aurita, and Cyanea nozakii. In: The 10th Western Pacific Acoustic Conference, Beijing, China, 21-23 Sep 2009, pp 1-8 

  10. Lee JH, Choi HW, Chae JH, Kim DS, Lee SB (2006) Performance analysis of intake screens in power plants on mass impingement of marine organisms. Ocean and Polar Res 28:385-393 

  11. Lee YW, Hwang BK (2009)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fluctuation of acoustic scattering on the swimming behavior of giant jellyfish. J Korean Fish Soc 42:165-170 

  12. Medwin H, Clay CS (1998) Fundamentals of acoustical oceanography. Academic Press, San Diego, 712 p 

  13. Mills CE (2001) Jellyfish blooms: are populations increasing globally in response to changing ocean conditions? Hydrobiologia 451:55-68 

  14. Monger BC, Chinniah-Chandy S, Meir E, Billings S, Greene CH, Wiebe PH (1998) Sound scattering by the gelatinous zooplankters Aequorea victoria and Pleurobrachia bachei. Deep-Sea Res II 45:1255-1271 

  15. Mukai T, Hirose M, Sawada K, Takahashi H, Iida K (2009) Target strength of moon jellyfish-Variations with pulsation and posture. In: Proceedings of meeting of the Marine Acoustic Society of Japan, pp 19-22 

  16. Mutlu E (1996) Target strength of the common jellyfish (Aurelia aurita): a preliminary experimental study with a dual-beam acoustic system. ICES J Mar Sci 53:309-311 

  17. Pond S, Pickard GL (1986) Introductory dynamic oceanography, 2nd edition. Pergamon press, Oxford, 329 p 

  18. Simmonds J, MacLennan D (2005) Fisheries Acoustics: theory and practice, 2nd edition. Blackwell Science, UK, 437 p 

  19. Warren JD, Smith JN (2007) Density and sound speed of two gelatinous zooplankton Ctenophore (Mnemiopsis leidyi) and lion's mane jellyfish (Cyanea capillata). J Acoust Soc Am 122:574-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