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극치강우의 최적 시간분포 연구: 서울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Optimal Time Distribution of Extreme Rainfall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A Case Study of Seoul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3, 2012년, pp.275 - 290  

윤선권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미래도시연구소) ,  김종석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극치강우의 시간분포 연구를 위하여 서울지점 우량관측소의 자기기록지를 1분단위로 독취한 MMR(minutely data using the magnetic recording)자료와 최근 들어 관측을 시작한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분단위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연최대치 계열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한 POT(peaks over threshold) 계열 추출을 통하여 강우의 최적 시간분포 모형을 개발하였다. 기존 Huff 방법에서의 최대 단점인 지속기간별 시간분포 변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과 강우사상별 강우총량에 대한 기준강우량의 일괄적용 등의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분단위 관측자료의 가중치 적용을 통한 순위결정으로 최빈분위를 선택하고 IQR (interquartile range) matrix의 적용을 통한 Quartile별 호우사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분단위 무차원 단위우량주상도에 핵밀도함수를 적용하여 자료의 크기와 분포 특성을 고려한 지속기간별 최적 시간분포형을 유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optimal time distribution model through extraction of peaks over threshold (POT) series. The median values for annual maximum rainfall dataset, which are obtained from the magnetic recording (MMR) and the automatic weather system(AWS) data at Seoul meteorolog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POT계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최대홍수량자료 및 극치강우량자료를 통한 빈도해석 등에 적용되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분기간치계열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기간별 실강우 사상을 추출하여 최빈분위에 대한 시간분포형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는 뚜렷한 연주기성(annual cycle)을 갖는 우리나라의 강우분포특성을 고려할 때 부분 기간치 계열의 임계값을 적용한 수문자료 해석은 보다 신뢰성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 너무 큰 h는 큰 편차(bias)와 너무 원만(oversmooth)한 밀도함수의 추정과 정보의 손실을 가져오는 반면에, 너무 작은 h는 큰 분산(variance)과 비정상적인 확률밀도함수 추정치를 나타낸다(Adamowski and Labatiuk, 198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역폭 결정의 기준이 되는 분포함수의 Shape으로 일반적으로 자료의 선형 추세분석과 Smoothing 기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Friedman super smoother method (Venables and Ripley, 2000)의 결과와 비교하여 광역폭 h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값을 결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Huff(1967) 방법에서의 최대 문제점인 지속기간별 시간분포 변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과 강우사상별 강우총량에 대한 기준강우량의 일괄적용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정형화된 형태의 시간분포형의 적용과 소규모 유역에서 첨두홍수량이 작게 산정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점의 분단위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임의 지속기간에 따라 연최대치 자료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POT (peaks over threshold) 계열을 구축하고 Quartile별 호우사상 구분과 극치강우의 순위 결정을 통한 가중치 적용으로 최빈분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그 밖에도, 어떤 분위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첨두홍수량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유역에 맞는 적합한 최빈분위(the most frequency quartile)를 선택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uff의 4분위법에 의한 시간분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지속기간별로 추출된 분단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순위 결정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최빈분위를 선정하고 선정된 호우사상에 핵밀도함수 추정법을 적용하여 시간분포 곡선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는 뚜렷한 연주기성(annual cycle)을 갖는 우리나라의 강우분포특성을 고려할 때 부분 기간치 계열의 임계값을 적용한 수문자료 해석은 보다 신뢰성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홍수기에 해당하는 JJAS (June to September) 계절에 대하여 부분기간치 계열에 대한 분단위 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지점을 대상으로 관측 시작년도(1961년)부터 최근(2009년)까지 49개년의 자료로부터 지속기간별 임계값 이상의 호우사상을 추출하였다. 독립된 강우사상의 구분은 임계값이상의 강우가 지속될 때 임의지속기간을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였으며, 강우사상의 지속기간별 임계값의 적용은 구축된 연 최대치 자료의 Quartile 50%에 해당하는 중앙값(median)으로 결정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실강우 패턴과 유도된 강우의 시간분포형의 신뢰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통계적 평가방법은 실강우 패턴과의 평균적인 추정 오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추정오차(MES: mean estimation error)를 사용하였다.
  • 이를 위하여 서울 지점의 분단위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임의 지속기간에 따라 연최대치 자료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POT (peaks over threshold) 계열을 구축하고 Quartile별 호우사상 구분과 극치강우의 순위 결정을 통한 가중치 적용으로 최빈분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정된 최빈분위 중앙치 강우에 대한 핵밀도함수(kernel density function)를 적용하여 자료의 크기와 분포 특성을 고려한 지속기간별 최적 시간분포형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Huff(1967) 방법에서의 최대 문제점 중에 하나인 지속기간별 시간분포 변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과 강우사상별 강우총량에 대한 기준강우량의 일괄적용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정형화된 형태의 시간분포형의 적용과 소규모 유역에서 첨두홍수량이 작게 산정되는 점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원자료와 적합식과의 관계를 RSS (residual sum of squares)와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를 산정해 봄으로서 무차원식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강우의 지속기간과 Quartile별 RSS와 R2를 산정한 결과 적합식과 무자원 누가곡선이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강우지속 1시간분포의 경우 RSS는 0.
  • 본 연구에서는 최빈 호우사상 강우자료 계열에 대하여 IQR (interquartile range) Matrix를 적용하여 호우사상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IQR은 Quartile의 적용시 1사분위수와 3사분위수의 차를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해 필요한 것은?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일정기간 이상의 홍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지속기간이나 재현기간에 해당하는 첨두홍수량을 결정해야한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중․소하천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역에서는 홍수량관측기간이 짧거나 미계측 유역이 많아 자료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직접 빈도해석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정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유량의 결정은 강우 빈도해석을 통한 유출해석으로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계유량의 결정에서 중요한 과정은? 그러나 도시지역의 중․소하천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역에서는 홍수량관측기간이 짧거나 미계측 유역이 많아 자료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직접 빈도해석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정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유량의 결정은 강우 빈도해석을 통한 유출해석으로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총강우량으로 주어진 설계우량을 지속기간에 분포시켜 우량주상도를 유도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같은 설계 강우라 할지라도 우량주상도의 형태에 따라 유출수문곡선의 모양과 첨두가 달라지게 되어 실제 호우특성에 맞는 시간분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특정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유량의 결정의 일반적인 방법은? 수공구조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일정기간 이상의 홍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지속기간이나 재현기간에 해당하는 첨두홍수량을 결정해야한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중․소하천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역에서는 홍수량관측기간이 짧거나 미계측 유역이 많아 자료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직접 빈도해석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정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유량의 결정은 강우 빈도해석을 통한 유출해석으로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총강우량으로 주어진 설계우량을 지속기간에 분포시켜 우량주상도를 유도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같은 설계 강우라 할지라도 우량주상도의 형태에 따라 유출수문곡선의 모양과 첨두가 달라지게 되어 실제 호우특성에 맞는 시간분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국토해양부(2000). 지역적 설계강우의 시간적 분포. 수자원관리기법 개발연구조사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기상연구소(1998). 목표 시간율에 따른 국내 지역별 강우 강도분포예측연구. 정보통신 연구개발사업위탁연구 보고서, p. 81. 

  3. 기상청(2004). 기후자료보존시스템 구축 2차년도 사업 완료보고서: 활용방안 조사서. 기상청, p. 47. 

  4. 노재경, 이길춘(1992). "홍수빈도해석을 위한 통계학적 모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5권, 제2호, pp. 89-97. 

  5. 박찬영외 3인(1981). "소유역의 설계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형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14권, 제4호, pp. 13-18. 

  6. 서병하, 강관원, 윤용남(1981). "도시하수도망의 수문학적 평가와 설계확률유량의 점대화 성향에 관한 연구(제1 보)."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14권, 제4호, pp. 27-33. 

  7. 서승덕(1965). "폭우의 시간적분포에 관한 고찰."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7권, 제2호, pp. 792-797. 

  8. 엄명진, 조원철, 허준행(2008). "GPD 모형 산정을 위한 부분시계열 자료의 임계값 산정방법 비교."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5호, pp. 527- 544. 

  9. 오태석, 문영일(2008). "고정시간과 임의시간에 따른 우리나라 연최대강우량의 환산계수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B호, pp. 515-524. 

  10. 유철상, 박창열, 김경준, 전경수(2007). "모포마 분포를 적용한 분단위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8호, pp. 643-654. 

  11. 윤용남, 장수형, 강성규, 박민석(2004).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한 적정 설계강우시간분포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13-317. 

  12. 이근후(1983). 폭우의 시간적분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농공학과. 

  13. 이정규, 추현재(2006). "Huff의 4분위법을 이용한 지속기간별 연 최대치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5B호, pp. 519-528. 

  14. 이정주, 권현한, 황규남(2010). "극치수문자료의 계절성 분석 개념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이용한 확률강수량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8호, pp. 733-745. 

  15. 장수형, 윤재영, 윤용남(2007). "Huff 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I. Huff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 767-777. 

  16. 주진걸, 이정호, 조덕준, 전환돈, 김중훈(2007). "도시유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강우분포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8호, pp. 655-663. 

  17. 한국전자통신원(2001). 전국 지역별 분 강우강도 DB 구축 연구. 한국전자통신원, pp. 84. 

  18. Adamowski, K., and Labatiuk, C. (1987). "Estimation of flood frequencies by a non-parametric density procedure." Hydrologic Frequency Modeling, pp. 97-106. 

  19. Arnell, V., Harremoes, P., Jensen, M., Johansen, N. B., and Niemczynowicz, J. (1984). "Review of rainfall data application for design and analysis."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 16, No. 8-9, pp. 1-45. 

  20. Clarke, J.A., R.D. de Paiva, and Uvo, C.B. (2009). "Comparison of methods for analysis of extremes when records are fragmented: A case study of using Amazon basin rainfall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368, No. 1-4, pp. 26-29. 

  21. Horner, W.M., and Jens, S.W. (1942). "Surface runoff determination from rainfall without using coefficients." Transaction ASCE, Vol. 107, pp. 1039-1075. 

  22. Huff, F.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 4, pp. 1007-1019. 

  23. Huff, F.A. (1986). "Urban hydrology revie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67, No. 6, pp. 703-712. 

  24. Keifer, C.J., and Chu, H.H. (1957). "Synthetic storm pattern for drainage design."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83, No. HY4, pp. 1-25. 

  25. Knapp, H.V., and Terstriep, M.I. (1981). "Effect of basin rainfall estimates on dam safety design in illinois." Illinois State Water Survey Contract Report 253, pp. 57. 

  26. Lall, U., Moon, Young-il., and Bosworth, K. (1993). "Kernel flood frequency estimators: bandwidth selection and kernel choi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No. 4, pp. 1003-1015. 

  27. Madsen, H., Rasmussen, P.F., and Rosbjerg, D. (1997a).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series and partial duration series methods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 events. 1. At-site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No. 4, pp. 747-757. 

  28. Madsen, H., Pearson, C.P., and Rosbjerg, D. (1997b).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series and partial duration series methods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 events. 2. regional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No. 4, pp. 759-769. 

  29. Moon, Y.I., and Lall, U. (1994). "Kernel quantile function estimator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1, pp. 3095-3103. 

  30. Ogrosky, H.O. (1964). "Hydrology of spillway design; Small structures-limited data."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0, No. HY3, pp. 295-310. 

  31. Ordon, C.J. (1974). "Volume of storm water retention basin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 10, No. EEY, pp. 1165-1177. 

  32. Pilgrim, D.H., and Cordery, I. (1975). "Rainfall temporal pattern for design flood."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83, No. HY1, pp. 81-95. 

  33. Schiff, L. (1943). "Classes and patterns of rainfall with reference to surface runoff,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4, pp. 438-452. 

  34. Sheather, S.F., and Jones, M.C. (1991). "A reliable databased band width selection method for kernel density estimation."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B., Vol. 53, No. 3, pp. 683-690. 

  35.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Hydrology." SC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p. 110. 

  36. Venables, W.N., Ripley, B.D. (2000). "Modern Applied Statistics with S-PLUS, 3rd ed." Springer, New York. 

  37. Ward, A.B., Bridges, T., and Barfield, B. (1980). "An evaluation of hydrologic modeling techniques for determining a design storm hydrograph." Proc. International Symposium on Urban Storm Runoff, pp. 59-69. 

  38. Yen, B.C., and Chow, V.T. (1977). "Feasibility study on research of local design storm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Report No. FHWA-RD-78-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