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마당을 나온 암탉〉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Korean Feature Length Animation for Movie Theater : in the Case of 〈 Leafle, A Hen into The Wild 〉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26, 2012년, pp.109 - 130  

김윤아 (건국대학교) ,  목혜정 (목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의 목적은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2011년 개봉한 <마당을 나온 암탉>은 1976년 76만 관객을 동원한 <로보트 태권 V> 이후 200만 관객 동원이라는 새로운 흥행 기록을 달성하며 기획력과 시나리오 부재, 하청 중심의 제작환경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에 성공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흥행 성공은 영화와 애니메이션 간의 산업적 분업이 있어 가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을 위해 여러 매체의 자료들과 <마당을 나온 암탉>의 김선구 프로듀서의 심층 인터뷰를 행했다. 분석 결과, 다음의 다섯 가지 성공요인을 찾을 수 있었고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논증과 분석으로 논문의 본론을 구성하였다. 1.제작 방식은 상업영화와 같이 철저한 기획에 의해 시작되고 진행되었다는 것, 2.제작에 있어서도 전문적인 세부 전공에 따라 분업화된 업무 분담이 있었다는 것, 3.투자자의 성격에 따른 순차적 자본의 유치가 가능했던 점, 4. 롯데, CJ 같은 배급사를 통한 대규모 스크린 수를 확보하는 배급망이 구축됐던 점, 5.영화와 애니메이션 두 분야를 조율하는 프로듀서가 있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위해 산업적 측면과 인력양성의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투자 배급 라인을 가진 영화산업과의 과도기적 협업 혹은 연대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기획, 투자, 배급, 마케팅과 같은 산업적 접근은 실사 영화와 경쟁관계에 있는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성공에서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 인력양성의 측면에서는 대학교육의 커리큘럼 제고를 제안하였다.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겠지만, 애니메이션 업계 내부에서 재능과 열정이 있는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절실하며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애니메이션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feature length animation for movie theater by analyzing of the reasons of the success of . released in 2011 has broken box office records by drawing 2 millions since drew 760 thousands in 1976. This can be one of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은 <마당을 나온 암탉>을 상찬하는 것이 목적도 아니고, 이전의 장편 애니메이션 산업의 실패를 비난하자는 것도 아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의 성공 요인들을 분석하여 한국의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성장과 그 가능성에 힘을 보태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산업적 측면과 인력양성이라는 큰 두 개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이 글은 의 성공사례를 통해 한국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실사 영화의 투자, 제작 시스템을 접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 이러한 영화 제작 시스템과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이 함께 한 의 작업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가설 설정

  • 1) 디즈니는 물론 드림웍스와 픽사를 위시한 유수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들 뿐 아니라 유니버설 영화사나 소니 픽쳐스 같은 영화 제작사들이 다양한 장편 애니메이션 들을 쏟아내고 있는 실정이다.2) 장편 애니메이션을 만들지 않는 영화 스튜디오는 없다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들은 모두 3D 와 CG로 달려가며 장편 애니메이션에 주력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당을 나온 암탉의 원작 작가는 누구인가? <마당을 나온 암탉>의 기획은 이미 여러 해 동안 1백 만 부가 넘게 팔린 스테디셀러로 인정받은 황선미 작가의 원작을 바탕으로 영화기획 시스템에 기반을 둔 시나리오 각색을 진행했으며 독창적인 캐릭터 디자인과 한국의 자연미를 담아내기 위해 현장답사와 고증을 실시했다. 김선구 PD는 “착하고 건강하면서도 의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시나리오가 필요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의 제작자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제작자인 심재명 명필름 대표 또한 “실사 영화에 정통한 충무로의 주류 영화사와 애니 전문 제작사가 기획부터 제작, 배급까지 본격적인 공조체제를 이룬 것으로는 첫 사례입니다. 실사와 애니의 영역 구분이 없는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한국에선 부문 간 장벽이 높았고 교류와 네트워크가 부족했습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이전의 애니메이션과 어떤 점이 달라서였는가? 물론 당시 유프로덕션이 어린이용 만화영화를 만들었던 정황은 실사 영화의 극심한 부진을 타파하고 유신체제 하의 엄했던 검열을 피해가려는 의도였지만 유프로덕션이 장편 극영화 제작의 메커니즘을 잘알고 있던 영화 제작사였다는 점은 <로보트 태권 V>의 흥행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V 애니메이션과 달리 장편 애니메이션들은 실사 영화들과 경쟁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작 메커니즘에 있어서의 노하우는 분명한 성공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 글이 <마당을 나온 암탉>에 주목하는 이유 중 하나도 작품의 질적인 측면을 넘어 영화제작과 투자 메커니즘과 배급의 구조를 아는 것이 장편 영화의 성공에 있어 중요 요인 이라는 점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닛케이BP사 기술연구부 엮음, 성하묵 역, 일본 애니메이션과 비즈니스 전략, 한울아카데미, 2001. 

  2. 영화진흥공사, 77' 한국영화연감, 영화진흥공사, 1977. 

  3. 최영준, 최수영, 반현정, 서영관, 정헌일,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자본조달구조-금융자본 유입 이후를 중심으로, 영화진흥위원회, 2008년. 

  4. 허인욱,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사, (주)신한미디어, 2002년. 

  5. 김윤아,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진화'에 관한 연구: 몬스터 애니메이션 와 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18호(2010), pp.37-56. 

  6. 김윤아, 몸바꾸기 장르 애니메이션 연구-합체, 변신, 진화의 장르 관습을 중심으로, 영상문화, 15호(2010), pp.171-204. 

  7. 남은주, '마당을 나온 애니, 소중한 꿈을 꾸다', 한겨레21, 874호 (2011.08.22.). 

  8. 씨네21, '한국영화는 왜 시시해졌나'-대기업 영화 제작 시스템의 문제점 집중분석, 씨네21, 830호(2011.11.22). 

  9. 이형석, '충무로 최고의 제작자와 한국 애니의 오랜 꿈이 만났다', 헤럴드 경제, 2011년 7월 20일,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719000781. 

  10. 김선구, 프로듀서. 

  11. 차승재, 한국영화제작가협회 대표.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