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수직기준체계는 육상과 해상으로 서로 이원화되어 있어 전 국토에 걸쳐 균일하고, 정확한 높이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한 TBMBM 간 연결 수준측량 성과를 이용하여 육상과 해상으로 이원화된 국가수직기준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밀 수준측량으로 결정된 육상과 해상 수직기준면 간 편차를 모델링하여 육상 해상 수직기준면 연계를 위한 변환모델을 개발하였다. 보다 정밀한 수직기준면간 변환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LSC 및 Spline 방법 등 다양한 보간방법들에 의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비선형의 4-파라미터 경향성 모델과 LSC 방법을 조합하여 개발하는 방안이 가장 적합하였다. 이 방법에 의해 개발된 수직 기준면 변환모델의 정확도는 약 ${\pm}10.4cm{\sim}14.8cm$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변환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공간정보의 높이정보를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 소프트웨어도 함께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육상 및 해상 국가공간정보의 연계 활용 시에 높이정보 불일치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안지역 개발과 해양방재의 수행에 있어서도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accurate and homogeneous height information over the whole Korea due to the effect of different vertical datums have been divided into land and sea part. In this study, we tried to unify the different vertical datums using the precise spirit leveling between TBM (tid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결측량을 실시하여 계산된 편차량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론적으로 해면경사와 일치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해면경사의 경향이 위도와 해안선을 따라서 증감하는 비례적인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TBM-BM 간 연결측량 결과인 육상과 해상 수직기준면 간의 편차량의 양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해안선에 따른 거리별 편차량을 도시하였다.
  • LSC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경향성 모델로 선형을 사용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지역과 같이 공간적으로 불규칙하고, 구면상에 위치한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구면형태의 경향성 제거 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경우를 적용하여 보다 정밀한 수직기준면 간의 편차 모델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한 TBM 및 BM 간 연결 수준측량 성과를 이용하여 육상과 해상으로 이원화된 국가수직기준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국가수직기준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육상·해상 수직기준면 연계를 위한 변환모델 및 이를 이용한 변환 소프트웨어 개발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의 4-파라미터 경향성 모델을 적용한 LSC 방법으로 개발한 편차모델을 이용하여 육상과 해상의 공간정보 중에서 높이정보를 효과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수직기준면 변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WINDOWS O/S를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공간정보의 형식을 통합적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간정보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ASCII 포인트 포맷, DXF 포맷, SHP 포맷 및 GRID 포맷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림 10은 2차 Markov 공분산 모델을 통하여 결정된 수직기준면 간 각 편차에 대한 경험적 및 해석적 공분산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에서도 언급하였지만 LSC 방법에 의한 편차 모델링을 위해서는 특정한 기준면과 편차 간의 상관성을 결정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평균해수면이 근사적으로 지오이드와 같다고 가정하고 최신의 중력장 모델인 EGM2008 모델을 기준면으로 하여 모델링 되는 각 편차(offset 1, 2, 3)와의 상관성을 2차 Markov 공분산 모델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따라서 이 두 기준면 간의 차이를 편차로 가정하고, 모델링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LDL과 동일한 조위관측을 통해 계산된 지역별 평균해수면(LMSL)을 이용하여 IMSL과의 편차를 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LDL과 LMSL의 차이는 조위관측을 통해 이미 결정된 기지의 값이므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편차(=LMSLIMSL)는 근본적으로는 해상 수직기준면인 LDL과 육상의 수직기준면인 IMSL과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며, 측지/측량 또는 해양 분야에서는 IMSL이 지오이드와 일치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차이를 해면경사(sea surface slope)라고 한다. 따라서 육상과 해상 수직기준면 간의 편차를 모델링하는 것은 바로 지역별로 발생하는 해면경사의 크기를 모델링하는 것이라도 생각할 수 있다(Featherstone, 2000).
  • 30° 간의 범위에서 실제적인 공분산과 해석적 모델에 의한 공분산이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LSC 편차 모델링 시 보간되는 수직기준면 간 편차의 완만함과 높은 적합도를 위한 상관거리를 결정하여 적용하여야 하는데(윤홍식 등, 2005), 본 연구에서는 수직기준면 편차의 LSC 모델링을 위한 상관거리를 각 편차별로 약 47km(Offset 1), 56km(Offset 2), 54km(Offset 3)으로 각각 결정하여 모델링에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인 LSC 해석 결과의 Noise 수준을 약 3cm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국가수직기준체계가 이원화된 이유는?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수직기준체계는 육상과 해상으로 서로 이원화되어 있어 전 국토에 걸쳐 균일하고, 정확한 높이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기술적이고, 표준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국토지리정보원, 2010). 이러한 수직기준체계의 이원화 문제는 육상과 해상 부문에서 서로 다른 수직기준면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서, 현재 우리나라의 높이(표고)의 기준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하는 수준점(BM: Bench Mark)과 국립해양조사원의 기본수준점(TBM: Tidal Bench Mark)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의 수직기준체계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이와 같이 결정된 평균해수면을 기준한 높이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 국토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특정한 형태의 표석을 망 형태로 설치하고, 수준 측량을 통해 표석의 높이 성과를 결정한 후에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기준면과 이를 기준으로 설정된 수직기준망을 통칭하여 국가의 수직기준체계(이하 국가수직기준체계)라고 하고 있으며, 이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높이 정보의 활용과 획득을 위한 기준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균일하고, 정확한 국가수직기준체계를 정립하고, 관리하는 것은 정확한 높이 결정이 필요한 건설, 방재, 공간정보 구축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시간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높이정보 관측자료와 연계되어 최근 급변하는 지구운동(해수면 상승, 지진, 해일 등)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Kuroishi 등, 2002).
국가의 수직기준면이란? 국가의 수직기준면은 다양한 공간정보에 포함된 높이정보의 기준이 되는 면으로서,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조위관측을 통해 계산된 특정한 지점의 평균해수면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평균해수면을 기준한 높이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 국토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특정한 형태의 표석을 망 형태로 설치하고, 수준 측량을 통해 표석의 높이 성과를 결정한 후에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국립해양조사원(2009) 무인도서의 조석기준면 결정을 위한 기본전략 수립. 

  2. 국토지리정보원(2003)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백서. 

  3. 국토지리정보원(2009) GNSS에 의한 수직기준의 재정립을 위한 연구. 

  4. 국토지리정보원(2010) 국가 수직기준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5. 국토해양부(2008) 육상.해상 공간정보 통합을 위한 기반 연구. 

  6. 윤홍식, 이동하(2005) Least Square Collocation에 의한 GPS/Levelling의 정확도 개선,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3권 제4호, pp. 385-392. 

  7. 이동하(2008) 한국의 고정밀 합성지오이드 모델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8. Featherstone, W. E. (2000) Towards unification of the Australian height datum between the Australian mainland and Tasmania using GPS and the AUSGeoid98 geoid model, Geomatics Research Australasia, Vol. 73, pp. 33-54. 

  9. Gesch, D. (2001) Development of a seamless multisource topographic/bathymetric elevation model, Proceedings from ESRI Users Conference 2001. 

  10. Heiskanen, W. A. and Moritz, H. (1967) Physical Geodesy, San Fransisco: W.H. Freeman and Co.. 

  11. Kuroishi, Y., Ando, H., and Fukuda, Y. (2002) A new hybrid geoid model for japan, GSIGEO2000, Journal of Geodesy, Vol. 76, No. 8, pp. 428-436. 

  12. NOAA (2004) Documentation for VDatum (and the Datum Tutorial) Vertical Datum Transformation Software Version 1.06. 

  13. Moritz, H. (1980) Advanced Physical Geodesy, H. Wichmann Verlag, Karlsruhe. 

  14. Roman, D. R., Wang, Y. M., Saleh, J., and Li, X. (2010) Geodesy, Geoids and Vertical Datums : A Perspective from the U.S. National Geodetic Survey, FIG Congress 2010, Sydney, Australia, pp. 11-16. 

  15. Sacks, J., Welch, W. J., Mitchell, T. J., and Wynn, H. P. (1989) Design and analysis of computer experiments, Statistical Science, Vol. 4, No. 4, pp. 409-423. 

  16. Tscherning, C. C. (1984) Local approximation of the gravity potential by least-squares colloc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ummer school on local gravity field approximation, Beijing, China, August 21 - September 4. 

  17. Ziebart, M. K., Iliffe, J. C., Forsberg, R., and Strykowski, G. (2008) Convergence of the UK OSGM05 GRACE-based geoid and the UK fundamental benchmark network, J. Geophys. Res., Vol. 113, No. B12, pp.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