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수준점을 이용한 국가수직기준연계 분석 연구
Analysis of National Vertical Datum Connection Using Tidal Bench Mark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3, 2014년, pp.47 - 56  

윤하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장민철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국립해양조사원 수로측량과)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허룡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관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해수면의 상승속도가 증가하고, 자연재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연안방재 및 개발을 위한 해 육상수직기준 연계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은 그 사용목적이 다르며, 목적에 따라 해상 및 육상에서 개별적으로 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해상수직기준은 지역평균해수면을 사용하며, 육상수직기준은 인천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12년과 2013년에 설치된 통합기본수준 점 48점을 이용하여 해 육상수직기준에 따른 기하표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지역평균해수면과 인천평균해수면을 참조하는 기하표고 및 국가지오이드모델 기반의 기하표고가 사용되었다. 전체 48점 중 도서지역을 제외한 31점 중 11점에서 10cm 이상의 잔차가 발생하였다. 잔차의 원인은 강물의 유입, 기준조위관측소의 이동, 항만공사에 따른 지형변화 등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해 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하여 해면경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해면경사는 인천평균해수면과 지역평균해수면의 차이를 말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해면경사는 서해에서 남해 그리고 동해방향으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 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한 자료로서 통합기본수준점의 성과가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해 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해서는, 해 육상을 연결하는 측량자료가 많이 확보되어야 하며, 국립해양조사원과 국토지리정보원의 지속적인 수직기준 관리 및 자료 공유가 필요하다. 연계된 육해상수직기준의 정보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연안개발과 방재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velocity of sea-level rising has increased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the natural disasters have been occurred many times. Therefore, there are various demands for the integration of vertical reference datums for the ocean and land areas in order to develop a coastal area and prev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국의 경우 2005년에 영국수로국(UKHO)에서 VORF (Vertical Offshore Reference Frame) 시스템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2006년부터 VORF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ORF 시스템은 일차적으로 육상이 아닌 해양에서의 수로측량 업무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조석관측이 없는 수로측량을 수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호주의 경우 지오이드를 이용하여 육·해상 수직기준의 연계를 실시하고 있으며, AUSGeoid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 본 연구를 통하여 해·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한 자료로서 통합기본수준점 성과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우리나라의 해면경사에 대해 결과를 제시하였다.
  • 조석의 경우 조위관측소의 이동과 항만개발공사의 원인으로 조석의 성과가 변화할 수 있으며, 국가지오이드모델의 경우 GPS/Leveling 자료와 수준측량결과가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위관측소 이력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이력을 조사하였으나 자료의 부족으로 명확한 원인을 밝히기는 힘들었다. 따라서 앞으로 조위 관측소 및 수준점의 이력 관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연구는 조위자료와 GPS 관측을 통한 수직 지각운동 및 후빙기조륙운동(GIA)을 복합·분석하여 해역별 상대해수면 상승률 및 절대해수면 상승률을 정밀 산정하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해역의 중장기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구축과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적응 방안을 수립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Datum이란 무엇인가? 수직기준의 경우 육상데이터와 해상데이터 문제 해결을 위해 VDatum을 개발하였다. VDatum은 일종의 수직기준 변환 툴로서 수심도와 지형도 간의 수직기준 차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연안 지역에 대한 통합적인 국가 DB를 구축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 웨어이다. 영국의 경우 2005년에 영국수로국(UKHO)에서 VORF (Vertical Offshore Reference Frame) 시스템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2006년부터 VORF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상(해도) 수직기준으로 이용되는 기본수준면, 평균해수면, 약최고고조면이란 각각 무엇인가? 1은 해상과 육상의 수직기준면 3종류와 각 지형지물의 수직기준을 표현한 것이다. 기본수준면은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수심과 간출암의 기준이 되는 수직기준면이다. 평균 해수면은 노출암, 등대, 육상높이의 기준이 되며 항상 해수면 위에 존재하는 것의 기준이 된다. 약최고고조면의 경우 최고해수면을 기준으로 해안선, 교량, 전력선의 기준이 되며 선박의 통항이 가능한 높이의 기준을 의미한다. 해상의 수직기준면은 해당지역의 조석관측을 통하여 산정되며, 지역마다 다른 수직기준면이 결정된다.
우리나라 수직기준은 해상 및 육상에서 각각 무엇을 사용하는가?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은 그 사용목적이 다르며, 목적에 따라 해상 및 육상에서 개별적으로 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해상수직기준은 지역평균해수면을 사용하며, 육상수직기준은 인천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12년과 2013년에 설치된 통합기본수준 점 48점을 이용하여 해 육상수직기준에 따른 기하표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eum Y. M. and Kwon J. H. and Lee J. S. and Choi K. S. and Lee Y.C., 2010, Data process and precision analysis of ship-borne grav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18 No.1, pp.89-97. 

  2. KOHA(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2, Vertical datum monitoring and tidal bench mark maintenance project, pp.105-127. 

  3. KOHA. 2013, Survey and maintenance of tidal bench mark, pp.173-190. 

  4. Lee, C. K., 1993, The sea level slopes along the korean peninsular coast based on the first order levelling ne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2, No. 4D, pp.35-41. 

  5. Lee, D. H and Yun, H. S and Hwang, J. S. and Suh, Y. C. 2012, Transformation model of vertical datum between land and ocean height system using the precise spirit leveling resul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1, No. 2, pp.407-419. 

  6.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0, Establishment of national vertical datum, pp.1242. 

  7. NGII, 2013, Coordinate transformation servic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ccessed December. 

  8. Rolf Dach and Urs Hugentobler, 2007, Bernese GPS software version 5.0, Astronom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n, pp.427-447. 

  9. KOHA Website, http://www.khoa.go.kr/ 

  10. NGII Website, http://ngii.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