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형실험을 통한 보강토 옹벽 곡선부 거동특성
A Behavior of Curve Section of Reinforced Retaining Wall by Model Test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32 no.6C, 2012년, pp.249 - 257  

기정서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류우현 (쌍용양회 기술연구소) ,  김선곤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천병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강토 공법은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환경적인 제약을 극복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옹벽, 사면, 기초, 도로, 제방 등의 구조물에 실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곡선구간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보강토 옹벽의 붕괴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보강토 옹벽 곡선구간에 대한 분석이 정립되지 않은데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선구간 형태별 시공성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평변위 측정을 통해 곡선 형태별 수평변위 차이점을 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의 문제점 분석 및 대책강구를 위한 기초자료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결과 하중 재하시 오목형과 볼록형 모두 곡선 중앙에서 최대 수평변위가 발생 하였으며, 오목형의 경우 토압을 받는 힘의 방향이 안쪽으로 작용하는 반면에 블록형의 경우는 힘의 방향이 바깥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볼록형의 경우가 오목형에 비해 수평변위가 더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볼록형의 경우 보강토체의 주동토압 뿐만 아니라 측면토압이 추가로 발생되어 곡선구간에서의 볼록형의 수평변위가 오목형에 비해 더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inforced earth method is financially viable. Furthermore, it overcomes environmental limitations and is therefore employed in retaining walls, slopes, foundations, roads, embankments, and other structures. However, in some cases, reinforced retaining walls are not strong enough in the curved s...

주제어

참고문헌 (13)

  1. 강호명(2008) 보강토 옹벽의 시공실패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2. 김진만(2001) 블록형 보강토 옹벽에서 전면블록의 마찰특성 및 안정성 평가, 건설기술정보 207, pp. 10-15. 

  3. 김진만, 이대영, 마상준(2006) 지오그리드 보강토 옹벽의 계측평가,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학국구조물진단학회, 제10권 제1호, pp. 106-114. 

  4. 김홍택, 방윤경, 박준용, 최두호, 이형규, 윤기웅(1998) GRS-RW 보강토벽체 공법의 준3차원 안정해석,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제14권 제4호, pp. 177-201. 

  5. 유충식, 김주석(2000) 기초지반의 강성이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8권 제4호, pp. 7-19. 

  6. 유충식(2002)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설계 - 사례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한국토목섬유학회, 제1권 제1호, pp. 31-41. 

  7. 정혁상(2004) 실대형 실험을 통한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 특성, 공학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8. 한중근, 조삼덕, 정상섬, 이광우, 김지선(2005) 시공환경을 고려한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붕괴요인 분석 및 대책 방안 사례연구, 한국토목섬유학회논문집, 한국토목섬유학회, 제4권 제3호, pp. 35-43. 

  9. Han, J.K., Cho, S.D. Joung, S.S., Lee, K.W., and Hong, K.K. (2006) Case Study on the Clobal Slope Failure with Geogrid Reinforced Soil Wall, Proceedings of 8th ICG, Yokohama, pp. 1141-1144. 

  10. Wong, K.S., B.B. Broms (1994) Failure modes at model tests of a geotextile reinforced wall, Geotextile and Geomembranes, vol. 13, No. 6, pp. 475-493. 

  11. Ali Porbaha (2000) Upper bound estimate of scaled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Geotextile and Geomembranes, Vol. 18, No. 6, pp. 403-413. 

  12. Christopher, B.R, Bonczkiewicz, C., Holtz, R.D. (1994) Design, Construction and Monitoring of Full Scale Test of Reinforced Soil Walls and Slopes, Recent Case Histories of Permanent Geosynthetic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Balkema, Proceedings of Seiken Symposium, No. 11, Tokyo, Japan, November 1992, pp. 45-59. 

  13. FHWA (2001)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nforced Soil Slopes,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ublication No. FHWA-NHI-00-043. pp. 12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