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간성-현내 지역 화강암류 비탈면 안정성 검토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 Stability Analysis of a Granitoid Slope in the Gansung-Hyunnae area, GangwonDo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no.3, 2012년, pp.331 - 341  

김홍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김승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옥영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구호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강암류 암석은 일반적으로 절리 발달이 미약하고 단층파쇄대가 잘 발달하지 않는 등 공학적으로 양질의 암석에 해당된다. 그러나 산학지구 붕괴 비탈면을 구성하는 지반은 화강암류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깊은 토사층을 가지며, 불연속면이나 단층 등의 지질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표층붕괴가 발생한 형태에 해당된다. 본 비탈면의 안정성 고찰을 위해 3가지 경우(현재 단면, 최초 설계 단면, 수정 설계 단면)에 대한 강우지속시간과 간극수압 변화, 안전율 등에 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강우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지하수위는 높이 20 m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초 설계단계 단면의 2일 지속강우 기간에는 안전율이 확보되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4일 강우지속기간 동안에는 허용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정 설계 단면에서는 4일 강우지속기간에도 안전율이 확보되므로 산학 지구는 1:1.8 경사도로 절취하는 것이 영구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nitoid rocks are generally high-quality rock from a geotechnical perspective, because they rarely contain systematic joints or fragmented fault zones. Although the rock type at the Sanhak site is granite, a collapsed slope has a deep soil layer and shows no residual structures such as discontin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 조사 단면 A와 당초 계획된 단면 B는 강우지속에 따른 간극수압 분포형태는 크게 달라지지 않지만, A단면의 경우 2일간 지속시 기준에는 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하고, B단면의 경우는 강우지속 4일 경과시 비탈면 설계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장기적인 안정화 관점에서 적절치 못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ig. 15와 같이 비탈면 경사각을 더 완화시킴으로서 강우지속시간 2일과 4일에서도 모두 안정화될 수 있는 경우를 찾고자 하였다. 반복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변경 계획된 C단면(1:1.
  • 따라서 이에 대하여 정확한 물길을 찾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밀조사, 현황도 작성, 붕괴 발생 특성을 고려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수행함으로서 최적의 안정화된 비탈면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초 계획된 산학 지구의 단면은 높이 5 m 마다 소단을 설치하고, 노출될 지반의 강도를 고려하여 2소단 하단부는 1:0.
  • 본 연구에서는 산학 지구에 대한 현장정밀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구간별 지반공학적, 지질학적, 수리학적 특성을 통하여 비탈면 안정성 관점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SEEP/W를 활용하여 강우 지속시간에 따른 비탈면 침투 거동을 살펴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SLOPE/W를 이용하여 안전율을 산출하였다.
  • 또한 SEEP/W를 활용하여 강우 지속시간에 따른 비탈면 침투 거동을 살펴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SLOPE/W를 이용하여 안전율을 산출하였다. 상기 정밀조사 및 안정성 해석을 통하여 산학 지구의 안정화 방안을 위한 대책공법 결정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강암류 암석은 무엇인가? 화강암류 암석은 일반적으로 절리 발달이 미약하고 단층파쇄대가 잘 발달하지 않는 등 공학적으로 양질의 암석에 해당된다. 그러나 산학지구 붕괴 비탈면을 구성하는 지반은 화강암류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깊은 토사층을 가지며, 불연속면이나 단층 등의 지질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표층붕괴가 발생한 형태에 해당된다.
화강암류 암석의 장점은? , 1998), 산학 지구는 주로 각섬석-흑운모 화강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화강암류 암석은 좋은 품질을 가지는 암석, 풍화에 강한 암석, 절리 발달이 미약하고, 대규모 단층파쇄대가 잘 발달하지 않는 암석 등으로 알려져 왔으며, 비탈면 안정성 확보가 용이하고 터널을 굴착하거나 교량을 건설함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암반으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산학 지구를 구성하는 화강암류는 오랜 기간 동안 물리적, 화학적, 해양성 풍화에 노출되어 상당한 두께의 토층심도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화강암류 비탈면에서 나타나는 층상절리(sheeting joint) 발달에 의한 평면파괴, 화강풍화토의 표층유실 형태의 붕괴가 아니라, 심도 1 m 이상의 표층붕괴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화강암류 비탈면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 특이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SEEP/W의 침투해석결과를 활용하여 비탈면 안정해석시 강수의 영향을 고려하는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SEEP/W의 침투해석결과를 이용하여 SLOPE/W를 활용한 비탈면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비탈면 안정해석시, 강수의 영향을 고려하는 방법에는 ① 수위면을 비탈면 지표면까지 적용시켜 그 수두만큼의 정수압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는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② 지반의 포화 습윤대의 두께를 산정하고 간극 수압비를 적용시켜 안정해석을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 ①의 경우, 현실적으로 지하수위가 지표면근처까지 위치해 있거나 또는 아주 오랜 기간 강우 지속시 가능한 접근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서 거의 발생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J.A., Campbell, A.S., and Cutler, E.J., 1975, Some properties of a chrono-toposequence of soils from granite in New Zealand, 1. profile weights and general composition, Geoderma, 13, 23-40. 

  2. Cheong, C.S. and Kim, N.H., 2012, Review of Radiometric Ages for Phanerozoic granitoid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2), 263-275 (in Korean). 

  3. Chigira, M., 2001, Micro-sheeting of granite and its relationship with landsliding specifically after the heavy rainstorm in June 1999, Hiroshima Prefecture, Japan, Engineering Geology, 59, 219-231. 

  4. Cho, D.L., Hong, S.H., Chwae, U., Lee, B.J., and Choi, P.Y., 1998, Geological Report of the Goseong-Ganseong Shee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9 (in Korean). 

  5. Choi, J.H. and Chae, B.G., 2012, Experimental Study on the Deformation and Failure Behavior of Tono Granit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2), 173- 183 (in Korean). 

  6. Dearman, W.R., Baynes, F.J., and Irfan, T.Y., 1978, Engineering grading of weathered granite, Engineering Geology, 12, 345-374. 

  7. Han, M., Kim, S.W., Yang, K.H., and Kim, J.S., 2010, Petrological Study of the Dioritic and Granitic Rocks from Geochang Area,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3), 167-180 (in Korean). 

  8. Jeoung, J.H., Yu, J., Kim, J.M., Kim, S.H., and Lim, K.S., 2011, Suitability for Subgrade Material of Weathered Granite Soils in the Gansung area of Gangwon-do,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3), 239-246 (in Korean). 

  9. Jin, M.S., Gleadow, A.J.W., and Lovering, J.F., 1984, Fission Track Dating of Apatite from the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20(4), 257-265 (in Korean). 

  10. Kil, Y.H., Shin, H.J., Ko, J.S., Yoon, S.H., Ko, B.G., and Kwon, S.G., 2008, Magma Uprising Path of Unbongsan Vocanic Rock in Gangwon Gosung,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8 Spring Seminar, 27 (in Korean). 

  11. Kim, C., Ko, H.J., Lee, S.H., Lee, C.B., Choi, S.J, and Park, K.H., 2001, 1:250,000 Explanatory Note of The Gangreung-Sokcho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76 (in Korean). 

  12. Kim, D.H., 2010, Unsaturated Characteristics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of Weathered.Granitic Soils, Master's thesis, Gangwon National University, 1-68 (in Korean). 

  13. Kim, D.H., Sagong, M., and Lee, Y.H., 2005, Effect of fine aggregate cont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acted decomposed granitic soil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9, 189-196. 

  14. Kim, G.Y., Ko, Y.G., Bae, D.S., Kim, C.S., and Park, G.W., 2004, Petrochemistry of Biotite-granite and deep core in Gosung-Sokcho Gangwon area,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04 Fall Seminar, 102 (in Korean). 

  15. Kim, J.S., Kim, K.K., Jwa, Y.J., and Son, M., 2012,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es and Magma Mixing in South Korea : Their Spatio-temporal Variations and Tectonic Implications(Multiple Slab Window Model),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2), 203-216 (in Korean). 

  16. Kretzschmar, R., Robarge, W.P., Amoozegar, A., and Vepraskas, M.J., 1997, Biotite alteration to halloysite and kaolinite in soil-saprolite profiles developed from mica schist and granite gneiss, Geoderma, 75, 155- 170. 

  17. Lan, H.X., Hu, R.L., Yue, Z.Q., Lee, C.F., and Wang, S.J., 2003, Engineering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e weathering profiles in South Chin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1, 353-364. 

  18. Lee, K.S., Kim, J.S., Choi, J.W., and Lee, C.S., 2011a, An Experimental Study on Crack Propagation in KURT Granite using Acoustic Emiss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4), 295-304 (in Korean). 

  19. Lee, M.S., Kim, M.I., Baek, J.N., and Han, B.K., 2011b, Calculating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Granite from Gangwon Province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4), 361-367 (in Korean). 

  20. Lee, S.J., Lee, C.H., Jang, H.S., and Kim, J.S., 2011c, Physical Properties of and Joint Distribution Within the Cheongju Granitic Mass, as Assessed from Drillcore and Geophysical Well-logging Dat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4), 361-367. 

  2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The Slope Establishment and Design on Construction Work, 32 (in Korean). 

  22. Na, K.C., 1990, Petrological Study on the Metamorphosed Plutonic Rocks of Northwestern Ogcheon Zone,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26(5), 461-470. 

  23. Negrel, P., 2006, Water-granite interaction: Clues from strontium, neodymium and rare earth elements in soil and waters, Applied Geochemistry, 21, 1432- 1454. 

  24. Olowolafe, E.A. and Dung, J.E., 2000, Soils derived from biotite-granites on the Jos Plateau, Nigeria: their nutrient status and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29, 231-244. 

  25. Park, M.R. and Kim, K.H., 1982, The Petrochemical Study of the Granitoid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8(3), 132-148 (in Korean). 

  26. Savage, D., 1986, Granite-water interactions at $100{^{\circ}C}$ , 50 MPa: An experimental study, Chemical Geology, 54, 81-95. 

  27. Seol, S.J., Kim, J.H., Cho, S.J., Yi, M.J., and Chung, S.H., 2001, Application of Radar Survey to a Granite Quarry Mine,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s, 4(1), 8-18 (in Korean). 

  28. Shalkowski, A., Kodama, Y., and Nakano, S., 2009, The assessment of weathering stages in granites using an EC/pH meter, Geomorphology, 105, 253-260. 

  29. Shimazaki, H. and Lee, M.S., 1981, Reconnaissance on I-and S-type Granitoids in Southern Korea, Jour. Geol. Soc. Korea, 17(3), 189-193. 

  30. Yun, H.S., Hong, S.S., Park, D.W., and Lee, J.Y., 2012, Applied Petrologic Study of the Daebo Biotite Granites in the mid Gyeonggi Massif,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2), 263-27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