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땅밀림지의 지질 및 토양물리성의 변화
The Geology and Variations of Soil Properties on the Slow-moving Landslide in Yangbuk-myun, Gyungju-si, Gyeongsangbuk-do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2, 2019년, pp.216 - 223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성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일원의 산지 땅밀림의 지질특성 및 땅밀림 후 변화되는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지질은 생성시대가 백악기의 경상누층군으로 주된 구성 암석은 흑색셰일이며, 동쪽으로는 석영 장석질 반암이 분포하고, 그보다 아래쪽은 제4기 연일층군 역암이 분포한다. 암석은 매우 풍화된 풍화암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어 땅밀림 지질로 나타났다. 땅밀림으로 무너진 최대 깊이는 12.0 m까지 붕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땅밀림 방향은 비탈면 하부는 $N46^{\circ}E$, 땅밀림지 상단부는 $N62^{\circ}E$절리주향 방향으로 발생하였다. 땅밀림으로 교란된 토양에서는 토양깊이 20 cm 까지는 토양경도가 기록되지 않는 완전교란상태이었고, 토양깊이 25 cm~90 cm까지는 자연산림지 및 교란이 발생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경도는 1.4~-4.7배 낮게 나타났다. 또한 땅밀림지역의 토양용적밀도는 $1.24{\sim}1.29g/cm^2$로 자연산림지보다 각각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 토양의 공극률은 51.5~53.3%로 자연산림지보다 각각 약 1.3~1.4배 낮았다. 흑색 셰일지역의 토양투수계수는 8.75E-06 cm/s, 토양의 조공극률은 9.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hanges in the geological and soil properties following slow-moving landslide events in Yangbuk-myun and Gyu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ite comprised black shale in the Gyeongsang nodal group formed in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대상지의 땅밀림 지질특성 및 땅밀림 발생 후 변화되는 토양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땅밀림은 무엇인가? 땅밀림은 활동면 위의 토괴가 일체로 미끄러지는 산사태의 한 형태로 이동 토괴의 두께는 10 - 20m, 폭은 두께의 5 - 10배, 길이는 폭의 1.2 - 1.
땅밀림의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경우는 무엇인가? 01 – 10mm/day 정도의 매우 느린 이동속도를 보인다(Varnes, 1984). 땅밀림은 사면경사가 25° - 35°정도인 집수사면에서 발생률이 높고, 지하수가 규칙적인 배열을 하는 경우 발생위험이 증가되는데(Nakamura, 1981), 땅밀림 발생시 상부 지표면에 활락애 및 인장균열이 형성 된다(Lee, 1991). Park et al.
인위적 또는 기계적으로 증가한 토양용적밀도가 회복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 1986). 한 예로 인위적 또는 기계적 답압으로 인하여 증가된 임도 및 작업로의 토양용 적밀도가 교란되지 않은 자연임지 상태로 회복되기 위해 서는 약 20년 이상이 경과되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Sidle, 1980; Adams, 1981; Froehilich et al.,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ams, P.W. 1981. Compaction of forest soils: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NW-217. 

  2. Andy, D.W. and William, J.E. 1997. Environmental Hydrology. pp. 480. 

  3. Choi, K. 2018.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 creep in korea. Korean Society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21: 108-117. 

  4. David, M.S., Jeffry, J.F., Peter, G.H., David, A.Z., 2005.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soil microbiology. Donghwapub. pp. 770. 

  5. Froehilich, H.A., Miles, D.W. R. and Robbins, R.W. 1985. Soil bulk density recovery on compacted skid trails central Idaho.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Journal 49(4): 1016-1017. 

  6. Fuziwara, S., Anzai, M. and Kato, T. 1996. The Method and Application of Soil Test. pp. 281. 

  7. Jau, J.G., Park, S.J., Son. D.S. and Joo, S.H. 2000. The effects of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on landslide and land-cree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3): 323-334. 

  8. Jeong, J.H., Koo, K.S.,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s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9. Kim, J.S., Han, S.H. and Jeong, G.C. 2001. Surface geophysical investigations of a slope-failure terrane at Wiri, Andong, Korea. Econical Environmental Geology 34(2): 193-204. 

  10. Kim, M.I., Kim, J.S., Kim, N.W. and Jeong, G.C. 2011. Surface geophysical investigations of landslide at the Wiri area in southeastern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63: 999-1009. 

  11. Kim, H.G. 2004. Slope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shallow landslide occurred in granite hillslopes.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150. 

  12. Krag, P., Higginbotham, K. and Rothwell, R. 1986. Logging and soil disturbance in southeast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6: 1345-1354. 

  13. Lee, M.W. 2006. Soil biology. Dongguk University. pp. 416. 

  14. Lee, Y.N. 1991. Landslide II. Society of Geotechical Engineering 7(1): 105-113. 

  15. Nakamura, J. 1981. A study of forecast landcreep(I). Society of Forest Erosion Control and Road Engineering 16: 162-163. 

  16. Nyle, C.B. and Ray, R.W. 2011.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Kyobobook. pp. 679. 

  17. Park, J.H. 2016. The actual conditions and management of land creep in korea. Korean Society of Forestry Environment Research 19: 40-50. 

  18. Park, J.H. 2018. What's land creep. Korean Society of Forest Environment Research 21: 96-107. 

  19. Park, J.H., Choi, K., Lee, S.G., Ma, H.S., Lee, J.H. and Woo, B.M. 2003.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nasamri(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3): 246-253. 

  20. Park, J.H., Choi, K., Bae, J.S., Ma, H.S. and Lee, J.H. 2005.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3): 129-134. 

  21. Park, J.H., Lee, C.W., Kang, M.J. and Kim, K.D. 2015.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land creeping occurrence.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9(5): 133-144. 

  22. Sidle, R.C. 1980. Impacts of forest practices on surface erosion.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NW 195: 1-5. 

  23. Takaya, S. 2017. Facts of landcreep. Nokdo Publication. pp. 255. 

  24. Varnes, D.J. 1984. Slope movement types and process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Special Report. pp. 11-33. 

  25. Woo, B.M., Park, J.H., Choi, H.T., Jeon, G.S. and Kim, K.H. 199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hyuseok-dong(I) -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urface displacement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4): 565-570. 

  26. Xu, Y.J., Burger, J.A. Aust, M. Patterson, S.C. Miwa, M. and Preston, D.P. 2002. Changes in surface water table depth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after harvest and establishment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n Atlantic coastal plain wetlands of South Carolina. Soil and Tillage Research 63: 109-1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