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국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al review of Solidago japonica and its relatives (Aster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1, 2012년, pp.40 - 49  

장창석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양선규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오병운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S. virgaurea subsp. asiatica), 잔미역취(S. virgaurea var. taquetii), 나래미역취(S. virgaurea var. coreana), 산미역취(S. virgaurea subsp. leiocarpa), 울릉미역취(S. virgaurea subsp. gigantea) 등 5가지의 종하분류군이 보고되고 있으나, 분류군의 실체 및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바탕으로 국내의 9개 자생지 집단을 조사하여 미역취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의 실체 확인 및 분류학적 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문헌 및 표본 관찰을 통해 동아시아산 미역취속의 분포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역취는 유럽산 미역취(S. virgaurea L.)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된 종(S. japonica Kitam.)으로 인정되었으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검색형질들은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모두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울릉미역취는 충분한 실험재료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류학적 처리를 보류하였으며, 두메미역취가 한반도 북부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 Asiatic Solidago virgaurea complex in Korea has been reported on 5 taxa (S. virgaurea subsp. asiatica, S. virgaurea var. taquetii, S. virgaurea var. coreana, S. virgaurea subsp. leiocarpa, and S. virgaurea subsp. gigantea). However, the broad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a lack of diagnostic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역취속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역취속(Solidago L.)은 국화과(Asteraceae, Compositae) 참취족(Tribe Astereae Cass.)에 속하며, 황색 계통의 설상화를 갖는 특징 등으로 미역취아족(subtribe Solidagininae Hoffm.)에 포함된다(Zhang and Bremer, 1993; Noyes and Rieseberg, 1999; Beck et al., 2004).
한국산 미역취의 줄기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횡단면은 원형에 가깝고, 하부에서 영양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상부에서는 화서 가지가 다수 분지한다. 전체적으로 녹색이나 기부의 색은 흔히 녹색 또는 드물게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줄기 하부의 직경은 1.5−4.7mm이다. 표면에는 다세포성 단모(multicellular uniseriate trichome)가 존재한다(Fig. 1A1, 2; Table 2, 3).
한국산 미역취 복합체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국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 잔미역취, 나래미역취, 산미역취, 울릉미역취 등 5분류군의 종하 분류군이 기록되어 있다. 미역취 복합체의 기본 종인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ck, J. B., G. L. Nesom, P. J. Calie, G. I. Baird, R. L. Small and E. E. Schilling. 2004. Is subtribe Solidagininae (Asteraceae) monophyletic ? Taxon 53: 691-698. 

  2. Chen, Y. L. and J. C. Semple. 2011. Solidago. In Flora of China, Vol. 20-21 (Asteraceae part).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632-634. 

  3. Choi, H. N. 2007. A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Solidago in Korea. M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4. Chung, G. Y. 2007. Solidago.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n Editorial Committee (ed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044-1045. 

  5. Forbes, F. B. and W. B. Hemsley. 1888. An Enumeration of all the Plants known from China Proper, Formosa, Hainal, Corea, the Luchu Archipelago, and the Island of hongkong, together with their Distribution and Synonymy. J. Linn. Soc., Bot. 23: 401-489. 

  6. Gray, A. 1859. Diagnostic Characters of New Species of Phaenogamous Plants, collected in Japan by Charles Wright, Botanist of the U. S. North Pacific Exploring Expedition, with Observations upon the Relations of the Japanes Flora to that of North America, and of other Parts of the Northern Temperate Zone. Mem. Amer. Acad. Arts n.s., 6: 377-452. 

  7. Hara, H. 1938. Preliminary Report on the Flora of Southern Hidaka, Hokkaido (Yezo). 26. Bot. Mag. (Tokyo) 52: 121-128. 

  8. Hara, H. 1952. Enumeratio Spermatophytarum Japonicarum, 2. Iwanami Shoten, Tokyo. 

  9. Hinds, R. B. 1842. Remarks on the physical aspect, climate, and vegetation of Hong-Kong, China, with an enumeration of plants there collected; determined and described by George Bentham. London J. Bot. 1: 476-494. 

  10. Im, R. J., O. C. Ra, H. S. Pak, Y. P. Hong and M. C. Ko. 1999. Flora Coreana, Vol. 7.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11. Juzepczuk, S. V. 1959. Solidago. In Flora of the U.S.S.R, Vol. 25. Schischkin, B. K. (eds.),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Washington, D.C. Pp. 31-50, 534-537. 

  12. Kitagawa, M. 1937. On the Vegetation of Buheto, north manchuria. Rep. Inst. Sci. Res. Manchoukuo 1: 280-298. 

  13. Kitagawa. M. 1939. 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Rep. Inst. Sci. Res. Manchoukuo 3, App. 1: 1-487, Tab. 1-12. 

  14. Kitamura, S. 1932. An Enumeration of Compositae of Formosa. Acta Phytotax. Geobot. 1: 277-296. 

  15. Kitamura, S. 1934. Compositae Nivae Japonicae VIII. Acta Phytotax. Geobot. 3: 128-145. 

  16. Kitamura, S. 1937. Solidago. In Compositae Japonicae, I.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13: 392-399. 

  17. Kitamura, S. 1957. Solidago. In Compositae Japonicae, VI.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24: 56. 

  18. Koyama, H. 1995. Solidago. In Flora of Japan, Vol. IIIb. Iwatsuki, K., T. Yamazaki, E. B. David and H. Ohba (eds.), Kodansha Ltd., Tokyo. Pp. 56-58. 

  19.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20. Leveille, H. 1910. Decades plantrum novarum. 29-30. Repert. Spec. Nov. Regni Veg. 8: 138-141. 

  21.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ed. 2., Stockholm. 

  22. Loureiro, J. D. 1790. Flora Cochinchinensis: sistens plantas in regno Cochinchina nascentes. Quibus accedunt aliæ observatæ in Sinensi imperio, Africa Orientali, Indiæque locis variis. Omnes dispositæ secundum systema sexuale Linnæanum, Vol. 2. Ulyssipone. 

  23. Maximowicz, C. J. 1859. Primitiae Florae Amurensis.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Divers Savans. 9: 1-504. 

  24. Nakai, T. 1911. Flora Korea II.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1-573. 

  25. Nakai, T. 1914. Report on the Vegetation of Quelpart Island and Wando Island. Gov. Gen. Chosen, Seoul. 

  26. Nakai, T. 1917. Notulae ad Plantas Japoniae & Koreae, 14. Bot. Mag. (Tokyo) 42: 97-112. 

  27. Nakai, T. 1928. Notulae ad Plantas Japoniae & Koreae, 35. Bot. Mag. (Tokyo) 42: 1-26. 

  28.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eran Flora. Bull. Natl. Sci. Mus., Tokyo 31: 1-152. 

  29. Nishizawa, T., E. Kinoshita, K. Yakura and T. Shimizu. 2001.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head characters in Solidago virgaurea L. inhabiting three mountains in central Honshu. J. Phytogeogr. Taxon. 49: 117-127. 

  30. Noyes, R. D. and L. H. Rieseberg. 1999. ITS sequence data support a single origin for North American Astereae (Asteraceae) and reflect deep geographic divisions in Aster s.l. Amer. J. Bot. 86: 398-412. 

  31. Palibin, J. 1899. Conspectus Florae Koreae, Vol. 1. Acta Horti. Petrop. 17: 1-128. 

  32. Tutin, T. G. 1976. Solidago. In Flora Europaea, Vol. 4. Tutin, T. G., V. H. Heywood, N. A. Burges, D. M. Moore, D. H. Valentine, S. M. Walters and D. A. Webb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110-111. 

  33. Zhang, X. P. and K. Bremer. 1993. A cladistic analysis of the tribe Astereae (Asteraceae) with notes on their evolution and subtribal classification. Pl. Syst. Evol. 184: 259-28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