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나리족, 향선나무족, Myxopyrum속(물푸레나무과)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Comparative anatomy of petiole in Forsythieae, Fontanesieae and Myxopyrum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1, 2012년, pp.50 - 63  

송준호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홍석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나리족(Abeliophyllum: 1 sp., Forsythia: 12 spp.)과 향선나무족(Fontanesia: 2 spp.) 및 근연분류군인 Myxopyreae족(Myxopyrum: 5 spp.)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엽병의 해부학적인 형질을 검토하고자 광학현미경(L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형질은 엽병의 횡단면을 단부, 중앙부, 기부로 나누어 관찰하였고, 측정된 정량적 형질과 정성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비교하고 기재하였다. 세 가지 유형(침상, 프리즘형, 선정체)의 결정체가 Fontanesia속과 Myxopyrum속에서만 확인되었다. 미선나무속과 개나리속의 일부 분류군(Forsythia europaea, F. giraldiana, F. japonica)에서만 단세포성 비선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엽병의 유관속 패턴을 크게 두 타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Type 1A: 결정체가 존재하지 않는 단순호형(Abeliophyllum, Forsythia), 1B: 결정체가 존재하는 단순호형(Myxopyrum), Type 2: 결정체가 존재하는 함입호형(Fontanesia). 또한 세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고, 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엽병 해부학적 형질(예, 주유관속 패턴, 결정체의 유무)은 진단형질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결과를 지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tiole anatomy in the tribes Forsythieae (Abeliophyllum, Forsythia) and Fontanesieae (Fontanesia), including one related genus Myxopyrum belonging to Myxopyreae, was carried out using light microscopy.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al, medial and proximal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Abeliophyllum, Fontanesia, Forsythia, Myxopyrum속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을 관찰하여 상세히 기재함으로써 물푸레나무과의 해부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특히 다양한 해부학적 형질 중 엽병 주유관속 패턴과 결정체의 유무는 Abeliophyllum, Forsythia, Myxopyrum속과 Fontanesia속을 구분질 수 있었고, 이는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에 대한 최근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분류군에 대한 엽병의 연속적인 횡단 절편(단부, 중앙부, 기부)에 따른 해부학적 형질들(엽병의 단면, 유관속 배열의 유형, 결정의 유무 및 형태 등)을 광학현미경(LM)을 통해 관찰하고 상세히 기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해부학적 형질들을 근거로 분류군 사이 진단형질로써의 적용가능성 및 각 분류군의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이해하는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분류군에 대한 엽병의 연속적인 횡단 절편(단부, 중앙부, 기부)에 따른 해부학적 형질들(엽병의 단면, 유관속 배열의 유형, 결정의 유무 및 형태 등)을 광학현미경(LM)을 통해 관찰하고 상세히 기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해부학적 형질들을 근거로 분류군 사이 진단형질로써의 적용가능성 및 각 분류군의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이해하는데 있다.
  • (1988)는 Myxopyrum속만이 영춘화아과 분류군들과 원시형질(plesiomorphy)을 공유한다고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선나무족과 개나리족의 근연분류군인 Myxopyrum속을 족 내 대표 속으로 선정하여 비교 연구 하였다.
  • , 2009). 본 연구에서도 결정체의 유무로 개나리족에 속하는 두 속(Abeliophyllum, Forsythia)과 향선나무족에 속하는 Fontanesia속, Myxopyreae족의 Myxopyrum속을 구분할 수 있어,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사된 Myxopyrum속은 모든 분류군에서 결정체가 나타나 Kiew (1984)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푸레나무과의 분포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 Hoffmanns. & Link)는 25속 600여종으로 구성되며, 극지방을 제외한 온대지역과 구대륙의 열대지역에 분포한다(Wallander and Albert, 2000; Green, 2004). 그 중 개나리족(Forsythieae H.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분류군에 대한 엽병을 조사하기 위한 해부학적 형질들은?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분류군에 대한 엽병의 연속적인 횡단 절편(단부, 중앙부, 기부)에 따른 해부학적 형질들(엽병의 단면, 유관속 배열의 유형, 결정의 유무 및 형태 등)을 광학현미경(LM)을 통해 관찰하고 상세히 기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해부학적 형질들을 근거로 분류군 사이 진단형질로써의 적용가능성 및 각 분류군의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이해하는데 있다.
국내에서 해부학적인 형질을 이용하여 현화식물의 분류학적 위치와 유연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해부학적인 형질은 현화식물의 분류군에 있어 분류학적 위치뿐만 아니라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Stuessy, 2008). 국내에서는 한국산 방동사니속(Cyperus L., Oh et al., 1999), 대극속(Euphorbia L., Chung et al., 2002), 조팝나무속(Spiraea L., Lee et al., 2010) 등의 분류군들에서 해부학적 형질을 통한 분류학적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은 매우 유용한 형질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분류군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엽병 해부를 통해 Biscutella속(Olowokudejo, 1987), Papilionoideae아과(Heneidak and Shaheen, 2007), Megadenia 속(Gorovo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iry Shaw, H. K. 1952. Note on the taxonomic position of Nyctanthes L. and Dimetra Kerr. Kew Bull. 2: 271-272. 

  2. Akcin, O. E., M. S. Ozyurt and G. Senel. 2011. Petiole anatomy of some Lamiaceae taxa. Pak. J. Bot. 43: 1437-1443. 

  3. Bass, P., P. M. Esser, M. E. T. Van Der Waster and M. Zandee. 1988. Wood anatomy of the Oleaceae. I.A.W.A. Bull. 9: 103-182. 

  4. Chang, M. C., L. Q. Qiu and P. S. Green. 1996. Oleaceae. In Flora of China. Vol. 15. Wu, Z.-Y., P. H. Raven and D.-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272-319. 

  5. Chung, G. Y., B. U. Oh, K. R. Park, J. H. Kim and H. J. Kwon. 2002. Taxonomic study of Korean Euphorbia L. by anatomical characters. Korean J. Pl. Taxon. 32: 77-94 (in Korean). 

  6. Darlington, C. D. and A. P. Wylie. 1955. Chromosome atlas of Flowering Plants. George Allen and Uniwin, London. 

  7. Dehgan, B. 1982. Comparative anatomy of the petiole and infrageneric relationships in Jatropha (Euphorbiaceae). Amer. J. Bot. 69: 1283-1295. 

  8. Goldblatt, P. and D. E. Johnson. 2008. Index to Plant Chromosome Numbers 2004-2006. http://www.tropicos.org/Project/ IPCN. 

  9. Gorovoy, P. G., E. V. Boltenkoc, O. V. Yakovleva and R. V. Doudkin. 2011. Taxonomic value of petiole anatomy in the genus Megadenia Maxim. (Cruciferae). Dokl. Biol. Sci. 439: 215-217. 

  10. Green, P. S. 1972. Forsythia. In Flora Europaea. Vol. 3. Tutin T. G., V. H. Heywood, N. A. Burges, D. M. Moore, D. H. Valentine, S. M. Walers and D. A. Webb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 53. 

  11. Green, P. S. 2004. Oleaceae. In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Lamiales (except Acanthaceae including Avicenniaceae). Vol. 7. Kadereit, J. W.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296-306. 

  12. Haddad, R. S. and L. C. Barnett. 1989. Variation in petiole anatomy of the European spiny species of Astragalus L. (Leguminosae- Papilionoideae-Galegeae). Bot. J. Linn. Soc. 101: 241-247. 

  13. Han, B. W. 2001. The Palynological study of the Oleaceae. M.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in Korean). 

  14. Harbone, J. B. and P. S. Green. 1980. A chemotaxonomic survey of flavonoids in leaves of the Oleaceae. Bot. J. Linn. Soc. 81: 155-167. 

  15. Heneidak, S. and A. M. Shaheen. 2007. Characteristic of the proximal to distal regions of the petioles to identify 15 tree species of Papilionoideae-Fabaceae. Bangladesh J. Plant Taxon. 14: 101-115. 

  16. Holmgren, P. K. and N. H. Holmgren. 1998. (continuously update): Index herbariorum - http://sciweb.nybg.org/science2/ IndexHerbariorum.asp. 

  17. Horner, H. T., S. Wanke and M.-S. Samain. 2009. Evolution and systematic value of leaf crystal patterns: a phylogenetic approach in the genus Peperomia (Piperaceae). Int. J. Pl. Sci. 170: 343-354. 

  18. Howard, R. A. 1979. The petiole. In Anatomy of the Dicotyledons: Systematic anatomy of leaf and stem, with a brief history of the subject. Vol. I. 2nd ed. Metcalfe, C. R. and L. Chalk (eds.). Clarendon Press, Oxford. Pp. 88-96. 

  19. Jensen, S. R. 1992. Systematic implications of the distribution of iridoids and other chemical compounds in the Loganiaceae and other families of the Asteridae. Ann. Missouri Bot. Gard. 79: 284-302. 

  20. Jensen, S. R., H. Franzyk and E. Wallander. 2002. Chemotaxonomy of the Oleaceae: iridoids as taxonomic markers. Phytochemistry 60: 213-231. 

  21. Johnson, L. A. S. 1957. Review of the family Oleaceae. Contrib New South Wales Natl. Herb. 2: 395-418. 

  22. Kiew, R. 1984. The genus Myxopyrum L. (Oleaceae). Blumea 29: 499-512. 

  23. Kiew, R. and I. Che Su. 1982. Comparative study of leaf anatomy of Malaysian species of Chionanthus and Olea (Oleaceae) with species reference to foliar sclereids. Bot. J. Linn. Soc. 84: 79-101. 

  24. Kim, D.-K. and J. H. Kim. 2004. Numerical taxonom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4: 189-203 (in Korean). 

  25. Kim, D.-K. and J. H. Kim. 2011. Molecular phylogen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plastid DNA trnL-F and matK gene sequences. J. Plant Res. 124: 339-347. 

  26. Kim, K.-J. 1998. A new species of Fontanesia (Oleaceae) from China and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J. Plant Biol. 41: 142-145. 

  27. Kim, K.-J. 1999. Molecular phylogeny of Forsythia based on chloroplast DNA variation. Pl. Syst. Evol. 218: 113-123. 

  28. Kim, K.-J., H.-L. Lee and Y.-D. Kim. 2000. Phylogenetic position of Abeliophyllum based on nuclear ITS sequence data. Korean J. Pl. Taxon. 30: 235-250 (in Korean). 

  29. Lee, S. and E.-J. Park. 1982a. A cladistic analysis of the Korean Oleaceae. Kor. J. Bot. 25: 57-64 (in Korean). 

  30. Lee, S. and E.-J. Park. 1982b.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Oleaceae. Kor. J. Bot. 25: 1-11 (in Korean). 

  31. Lee, H. L, R. K. Jansen, T. W. Chumley and K.-J. Kim. 2007. Gene relocations within chloroplast genomes of Jasminum and Menodora (Oleaceae) are due to multiple, overlapping inversions. Mol. Biol. Evol. 224: 1161-1180. 

  32. Lee, J. H., O. W. Kwon, T. S. Jang, H. S. Roh and S. P. Hong. 2010. The petiole anatomy of the genus Spiraea L. (Ros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0: 16-26 (in Korean). 

  33. Lee, S. 2011. Palynological contributions to the taxonomy of family Oleaceae, with special empahsis on genus Forsythia (tribe Forsytheae). Korean J. Pl. Taxon. 41: 175-181. 

  34. Lee, T. B. 1976. New for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Korean J. Pl. Taxon. 7: 21-22 (in Korean). 

  35. Lee, T. B. 2003. Colo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36. Lersten, N. R. and H. T. Horner. 2008a. Crystal macropatterns in leaves of Fagaceae and Nothofagaceae: a comparative study. Pl. Syst. Evol. 271: 239-253. 

  37. Lersten, N. R. and H. T. Horner. 2008b. Subepidermal idioblasts and crystal macropattern in leaves of Ticodendron (Ticodendraceae). Pl. Syst. Evol. 276: 255-260. 

  38. Lim, S. C. and S. C. Ko. 1989. A cytotaxonomical study on some species of Korean Forsythia. Korean J. Pl. Taxon. 19: 229-239 (in Korean). 

  39. Mabberley, D. J. 2008. Mabberley's Plant-book. A Portable Dictionary of Plants, their Classifications, and Uses. 3rd ed. University of Washington Botanic Gardens, Seattle. 

  40. Meakawa, F. 1962. Major polyploi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ylogeny of Oleaceae. Jap. J. Bot. 37: 25-27. 

  41. Metcalfe, C. R. and L. Chalk. 1983. Lists of families in which certain diagnostic characters occur, Secretory tissue. In Anatomy of the Dicotyledons, Wood Structure and Conclusion of the General Introduction. 2nd ed. Metcalfe, C. R. and L. Chalk (eds.). Clarendon Press, Oxford, UK. 

  42. Nakai, T. 1919. Genus novum Oleacearum in Corea media inventum. Bot. Mag. (Tokyo) 33: 153-154. 

  43. Nakai, T. 1920. On Abeliophyllum distichum. Bot. Mag. (Tokyo) 34: 249-251. 

  44. Oh, Y. J., C. S. Lee and K. M. Ko. 1999. Anatomical study of Korean Cyperus Linne. Korean J. Pl. Taxon. 29: 325-354 (in Korean). 

  45. Olowokudejo, J. D. 1987. Taxonomic value of petiole anatomy in the genus Biscutella L. (Cruciferae). Bull. Jard. Bot. Nat. Belg. 57: 307-320. 

  46. O'Mara, J. 1930. Chromosome numbers in the genus Forsythia. J. Arnold Arb. 11: 14-15. 

  47. Piechura, J. E. and D. E. Fairbrothers. 1983. The use of proteinserological characters in the systematics of the family Oleaceae. Amer. J. Bot. 75: 780-789. 

  48. Rohwer, J. G. 1996. Die Frucht-und Samenstrukturen der Oleaceae. Biblioth. Bot. 148: 1-177. 

  49. Ruzin, E. S. 1999. Plant Microtechnique and Morp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50. Scurfield, G., A. J. Michell and S. R. Silva. 1973. Crystal in woody stems. Bot. J. Linn. Soc. 66: 277-289. 

  51. Shaheen, A. M. 2006. The value of vascular supply of the petiole trace characteristics in the systematic of some species of subfamily: Mimosoideae-Leguminosae. Asutt J. Bot. 35: 193-213. 

  52. Shaheen, A. M. 2007. Taxonomic importance of stem-leaf transitional of some species of subfamily: Caesalpinioideae-Leguminosae. Turkish J. Bot. 31: 297-310. 

  53. Solereder, H. 1908. Systematic Anatomy of the Dicotyledons. [translated from German by Boodle L. A. and F. E. Fritsch]. Vol. 2. Clarendon Press, Oxford, UK. 

  54. Stant, M. Y. 1952. Anatomical Evidence for Including Nyctanthes and Dimetra in the Verbenaceae. Kew Bull. 7: 273-276. 

  55. Stuessy, F. T. 2008. Plant Taxonomy: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comparative data. 2nd e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56. Tae, K. H., D.-K. Kim and J. H. Kim. 2005. Genetic varia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based on RAPD analysis. Korean J. Plant Res. 8: 135-144. 

  57. Tae, K. H., J. H. Tho and J. H. Kim. 2005. A systematic study of Abeliophyllum distichum (Oleaceae) based on cytological characters. Korean J. Pl. Taxon. 35: 143-151 (in Korean). 

  58. Taylor, H. 1945. Cyto-taxonomy and phylogeny of Oleaceae. Brittonia 5: 337-369. 

  59. Wallander, E. and V. A. Albert. 2000.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Oleaceae based on rps16 and trnL-F sequence data. Amer. J. Bot. 87: 1827-18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