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쉬땅나무족(Sorbarieae Rydb., 장미과) 잎의 해부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The taxonomic implication of leaf anatomy in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2, 2014년, pp.119 - 131  

송준호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홍석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쉬땅나무족(Adenostoma: 2spp., Chamaebatiaria: 1sp., Sorbaria: 9spp., Spiraeanthus: 1sp.)과 근연분류군인 Lyonothamnus속 2종을 포함한 총 15분류군의 잎의 해부학적인 형질을 광학현미경(L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형질은 잎의 횡단면을 비교하고 기재하였으며, 해부학적 형질로 분류군 간 중륵과 엽신의 횡단면, 중륵의 두께, 각피층, 표피세포, 기공, 모용, 엽육조직, 결정체, 주유관속 유형 등의 형질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중륵의 주유관속 패턴을 크게 두 타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Type 1: 불연속유관속, 독립된 3개의 호형(Adenostoma), Type 2: 연속유관속, subtype 2A: 다소 편평(flat)한 호형(Chamaebatiaria, Spiraeanthus), subtype 2B: U-shape 호형(Lyonothamnus, Sorbaria). 또한 세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고, 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잎의 해부학적 형질(예, 각피층, 표피세포, 모용, 엽육조직, 유관속 패턴)은 진단형질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쉬땅나무족 내 이면기공엽과 배복성의 엽육조직, U-shape의 유관속 패턴의 형질이 쉬땅나무속을 구분하는 주요형질임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arative study of leaf anatomy in tribe Sorbarieae (Adenostoma, Chamaebatiaria, Sorbaria, Spiraeanthus) including one related genus Lyonothamnus was carried out using light microscopy.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f blade and midrib were described and taxonomically evaluated. The anat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쉬땅나무족 잎의 다양한 해부학적 형질들(엽신의 두께, 각피층, 기공, 모용, 중륵 단면의 모양, 중륵 유관속 형질, 결정체 등)을 광학현미경(LM)을 통해 자세히 관찰하고 기재하며,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해부학적 형질들을 근거로 분류군 사이에 진단형질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또한, 해부학적 형질과 서식지 내 환경요인과의 연관성을 간단히 고찰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쉬땅나무족 잎의 다양한 해부학적 형질들(엽신의 두께, 각피층, 기공, 모용, 중륵 단면의 모양, 중륵 유관속 형질, 결정체 등)을 광학현미경(LM)을 통해 자세히 관찰하고 기재하며,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해부학적 형질들을 근거로 분류군 사이에 진단형질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또한, 해부학적 형질과 서식지 내 환경요인과의 연관성을 간단히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쉬땅나무족는 무엇인가? 쉬땅나무족(tribe Sorbarieae Rydb.)은 장미과(family Rosaceae Juss.)내의 조팝나무아과(subfamily Spiraeoideae Arn.)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최근 장미과의 분류체계에 따르면 4개 속(Adenostoma Hook. & Arn.
쉬땅나무족의 화탁은 어떤 형태인가? 쉬땅나무족은 관목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열의 우상 복엽이 호생하고, 화서는 원추 또는 취산화서로, 화탁은 반구형, 종형, 또는 튜브형이다. 대략 10-50개의 수술이 나타나며, 암술은 일반적으로 5개로 나누어져 있다.
쉬땅나무족은 몇 개의 수술이 나타나는가? 쉬땅나무족은 관목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열의 우상 복엽이 호생하고, 화서는 원추 또는 취산화서로, 화탁은 반구형, 종형, 또는 튜브형이다. 대략 10-50개의 수술이 나타나며, 암술은 일반적으로 5개로 나누어져 있다. 꽃받침은 대생으로 배열하고, 배주는 존재하나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gbaywa, I. O. and B. C. Noukwu. 2004. The value of morphoanatomical features in the systematic of Cucurbita species in Nigeria.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3: 541-546. 

  2. Almeida, E. B. Jr., J. S. Araujo, F. S. Santos-Filho and C. S. Zickel. 2013. Leaf morphology an anatomy of Manilkara Adans. (Sapotaceae) from northeastern Brazil.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99: 1-9. 

  3. Araujo, J. S., A. A. Azevedo, L. C. Silva and R. M. S. A. Meira. 2010. Leaf anatomy as an additional taxonomy tool for 16 species of Malpighiaceae found in the Cerrado area (Brazil).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86: 117-131. 

  4. Chang, C. S. and H. Kim. 2002. Overlooked and invalidly published names of Korean woody plant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 363-371. (in Korean) 

  5. Cullen, J. 2001. Handbook of North European Garden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6. De Villiers, B. J., P. M. Tilney and E. B. Van Wyk. 2010. The taxonomic significance of leaf anatomical characters in Cussonia and related genera (Araliacea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4: 246-263. 

  7. Eberhardt, P. 1903. Influence de l'air et de l'air humide sur la forme et sur la structure des vegetaux.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Botanique Ser VIII. 18: 60-152. 

  8. Franceschi, V. R. and P. A. Nakata. 2005. Calcium oxalate in plants: Formation and function. Annual Review of Plant Biology 56: 41-71. 

  9. Goncalves, M. M. B. and O. Rodriigo. 2003. Leaf anatomy of rubber tree clones. Scientia Agricola 60: 709-713. 

  10. Holmgren, P. K. and N. H. Holmgren. 1998. Index herbariorum. Retrieved Feb. 20, 2014, from http://sciweb.nybg.org/science2/IndexHerbariorum.asp. 

  11. Hutchinson, J. 1964. The genera of flowering plants, Vol. 1. Dicotyledons. Clarendon Press, Oxford. 

  12. Jepson, W. L. 1993. Jepson manual: higher plants of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3. Kalkman, C. 2004. Ros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VI.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Celastrales, Oxalidales, Rosales, Cornales, Ericales. Kubitzki, K. (ed.), Springer-Verlag, Berlin. Pp. 343-386. 

  14. Kamelin, R. V. 1990. Flora Syrdarinskogo Karatau: Materialy k floristicheskomu raionirovaniiu Srednei Azii. Nauka, Leningrad. (In Russian) 

  15. Kharazian, N. 2007. The taxonomy and variation of leaf anatomical characters in the genus Aegilops L. (Poaceae) in Iran. Turkish Journal of Botany 31: 1-9. 

  16. Komarov, V. L., 1939. Flora of the U.S.S.R., Vol. 4. Rosales and Sarraceniales. Izdatel''stvo Akademii Nauk SSSR. Moscow, Leningrad. Pub. by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Ltd., Jerusalem. 

  17. Kim, H., H. S. Lee, S. Park and C. S. Chang. 2005. Invalid names published by T. B. Le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 211-226. (in Korean) 

  18. Lee, J. H., O. W. Kwon, T. S. Jang, H. S. Roh and S.-P. Hong. 2010. The petiole anatomy of the genus Spiraea L. (Ros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16-26. (in Korean) 

  19. Lee, S. T. 2007. Sorbaria.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540-541. 

  20. Metcalfe, C. R. and L. Chalk. 1950. Anatomy of the dicotyledons, Vol II. 2nd ed. Clarendon Press, Oxford. 

  21. Metcalfe, C. R. and L. Chalk. 1979. Anatomy of the dicotyledons: Systematic anatomy of leaf and stem, with a brief history of the subject, Vol I. 2nd ed. Clarendon Press, Oxford. 

  22. Metcalfe, C. R. and L. Chalk. 1985. Anatomy of dicotyledons: Wood structure and conclusion of the general introduction, Vol II. 2nd ed. Clarendon Press, Oxford. 

  23. Millan, B. and F. Kahn. 2010. Characterization of leaf anatomy in species of Astrocaryum and Hexopetion (Arecaceae). Revista Peruana de Biologia 17: 81-94. 

  24. Moraes, T. M. S., G. R. Rabelo, C. Alexandrino, S. J. S. Neto and M. Da Cunha. 2011. Comparative leaf anatomy and micromorphology of Psychotria species (Rubiaceae) from the Atlantic Rainforest. Acta Botanica Brasilica 25: 178-190. 

  25. Noorbakhsh, S. N., A. Ghahreman, F. Attar and K. Mahdigholi. 2008. Leaf anatomy of Artemisia (Asteraceae) in Iran and its taxonomic implications. Iranian Journal of Botany 14: 54-69. 

  26. Parkhurst, D. F. 1978. The adaptive significance of stomatal occurrence on one or both surfaces of leaves. Journal of Ecology 66: 367-383. 

  27. Potter, D., T. Eriksson, R. C. Evans, S. H. Oh, J. E. E. Smedmark, D. R. Morgan, M. Kerr, K. R. Robertson, M. P. Arsenault, T. A. Dickinson and C. S. Campbell. 2007.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Rosace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66: 5-43. 

  28. Rahn, K. 1989. A survey of the genus Sorbaria (Rosaceae). Nordic Journal of Botany 8: 557-563. 

  29. Raven, P. H. 1963. A flora of San Clemente Island, California. Aliso 5: 289-347. 

  30. Ruzin, S. E. 1999. Plant microtechnique and microscop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 Oxford. 

  31. Rydberg, P. A. 1908. Rosaceae. In North American Flora, Vol. 22. Britton, N. L. and L. M. Underwood (eds.), New York Botanical Garden, New York. Pp. 239-292. 

  32. Schroeter, C. 1923. Das Pflanzenleben der Alpen. Eine Schilderung des Hochgebirgsflora. Alberta Ranstein, Zurich. 

  33. Schulze-Menz, G. K. 1964. Rosaceae. I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II. Melchior. H. (ed.), 12th ed. Gebruder Borntraeger, Berlin. Pp. 209-218. 

  34. Skoss, J. D. 1955.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plant cuticle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permeability. Botanical Gazette 117: 55-72. 

  35. Smith, W. K., T. C. Vogelmann, E. H. DeLucia, D. T. Bell and K. A. Shepherd. 1997. Leaf form and photosynthesis. Bioscience 47: 785-793. 

  36. Smith, W. K., D. T. Bell and K. A. Shepherd. 1998. Associations between leaf structure, orientation, and sunlight exposure in five Western Australian communiti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85: 56-63. 

  37. Solereder, H. 1908. Systematic anatomy of the dicotyledons, Vol . Clarendon Press, Oxford. 

  38. Song, J.-H., C. S. Chang and S.-P. Hong. 2010. First record of Sorbaria kirilowii (Rosaceae-Spiraeoide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174-178. (in Korean) 

  39. Song, J.-H. and S.-P. Hong. 2012. Comparative petiole anatomy in Forsythieae, Fontanesieae and Myxopyrum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2: 49-62. (in Korean) 

  40. Stuessy, F. T. 2008. Plant taxonomy: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comparative data. 2nd e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41. Takhtajan, A. 1997.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42. Viguier R. 1906. Recherches anatomiques sur la classification des Araliacees.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Botanique 4: 1-210. 

  43. Wilkinson, H. P. 1979. The plant surface (mainly leaf). In Anatomy of the dicotyledons: Systematic anatomy of leaf and stem, with a brief history of the subject, Vol I. 2nd ed. Metcalfe, C. R. and L. Chalk (eds.), Clarendon Press, Oxford. 

  44. Zhang, S. Y. 1992. Systematic wood anatomy of the Rosaceae. Blumea 37: 81-158. 

  45. Zhang, S. Y., P. Bass and M. Zandee. 1992. Wood structure of the Rosaceae in relation to ecology, habit and phenology. IAW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Wood Anatomists) Bulletin 13: 307-349. 

  46. 鏑木德二, 1940. 鮮滿實用林業便覽. 朝鮮總督府林業試驗場刊行會, 養賢堂, 東京.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