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미기록 식물인 성긴포아풀(Poa tuberifera Faurie ex Hack.)을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사려니숲에서 확인하였다. 근연분류군인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과 마디포아풀(P.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Makino)에 비해 화서에 소수가 성기게 달리고, 호영 기반에 털이 없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성긴포아풀은 일본의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분포가 이번 연구에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nrecorded species, Poa tuberifera Faurie ex Hack., was found in Saryeoni forest, Jocheon-eup, Jeju-si, Jeju-do.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P. acroleuca Steud. and P.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Makino by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panicle branches bearing sparse spikelets and 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Poa tuberifera Faurie ex Hack.는 포아풀속의 미기록식물로써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형태적 특징 기재 및 도해, 한국명을 부여하고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작성하여 국내분포와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5. 줄기의 마디는 2−3개이다.
  • 5. 줄기의 마디는 5−9개이다.
  •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없어 매끈하다.
  • 1. 화서와 가지는 짧고 뻣뻣한 털이 있어 거칠다.
  • 3.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없다.
  • 4. 줄기의 절간 이상의 긴 지하경을 가진다.
  • 8.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 8. 소화축과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 4. 거의 없는 듯한 짧고 굵은 지하경을 가진다.
  • 9. 제 1 포영은 1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다
  • 9. 제 1 포영은 3맥;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 12. 호영은 맥을 제외한 표면에 연모가 없음;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없다.
  • 13. 줄기는 납작하지 않음; 잎혀는 재두; 소화축은 거침; 호영의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 12. 호영 맥과 표면에 전체적으로 연모가 있음; 내영의 두 용골 사이에 연모가 있다.
  • 14. 줄기의 기부가 부풀지 않고 일정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n, S. L., D. Z. Li, G. Zhu, Z. L. Wu, S. L. Lu, L. Liu, Z. P. Wang, B. S. Sun, Z. Zhu, N. Xia, L. Jia, Z. Guo, W. Chen, X. Chen, G. Yang, S. M. Phillips, C. Stapleton, R. J. Soreng, S. G. Aiken, N. N. Tzvelev, P. M. Peterson, S. A. Renvoize, M. V. Olonova and K. H. Ammann. 2006. Poaceae. In Flora of China, Vol. 22 (Poaceae).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1-2. 

  2. Chung, I. C. 1965. Korean grasses. Taesutang Press, Seoul. Pp. 64-75. 

  3. Hackel, E. 1902. Neue Graser. Oesterr. Bot. Z. 52: 450-460. 

  4. Honda, M. 1930. Monographia Poacearum Japonicearum, Bambusoideis exclusis. J. Fac. Sci. Univ. Tokyo, Sect. 3, Bot. 3: 1-484. 

  5. Honda, M. 1937. Nuntia ad floram Japoniae. 32. Bot. Mag. (Tokyo) 51: 94-96. 

  6. Hunziker, J. H. and G. L. Stebbins. 1987. Chromosomal evolution in the Gramineae. In Grass Systematics and Evolution. Soderstrom, T. R., K. W. Hilu, C. S. Campbell and M. E. Barkworth (ed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Pp. 179-188. 

  7. Im, H. T., H. H. Hong and S. G. Hong. 1998. Festuca pratensis: new naturalized plant to Korea. Korean J. Pl. Taxon. 28: 427- 431 (in Korean). 

  8. Jung, S. Y. and G. Y. Chung. 2008. A taxonomic study on the spikelet morphology of Korean Poa L. (Poaceae). Korean J. Pl. Taxon. 38: 477-502 (in Korean). 

  9. Jung, S. Y., Y. M. Lee, S. H. Park, J. C. Yang and K. S. Chang. 2011. Two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Anthoxanthum glabrum (Trin.) Veldkamp and Saccharum arundinaceum Retz. (Poaceae). Korean J. Pl. Taxon. 41: 81-86 (in Korean). 

  10. Jung, S. Y., Y. M. Lee, S. H. Park, J. H. Kim and Y. H. Cho. 2009.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Glyceria declinata Breb. and Puccinellia distans (Jacq.) Parl. Korean J. Pl. Taxon. 39: 309-314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Pp. 116-145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Pp. 358-360 (in Korean). 

  13. Koyama, T. 1987. Grasses of Japan and Its Neighboring Regions An Identification Manual. Kodansha, Tokyo. Pp. 88-104. 

  14.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99-103 (in Korean). 

  15.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Pp. 485-494 (in Korean). 

  16.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Pp. 1397-1406 (in Korean). 

  17. Lee, Y. N. 1966. Manual of the Korean Grasse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Pp. 142-163. 

  18. Lee, Y. N. 2007. Po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ional Committee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230-1235. 

  19. Makino, T. 1892. Notes on Japanese plants, XV. Bot. Mag. (Tokyo) 6: 45-56 (in Japanese). 

  20.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Pp. 161-165. 

  21. Osada, T. 1989. Illustrated Grasses of Japan. Heibonsha Ltd., Tokyo. Pp. 158-205 (in Japanese). 

  22. Soreng, R. J. 2007. Poa. In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24. Barkworth, M. E., K. M. Capels, S. Long, L. K. Anderton and M. B. Piep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486-601. 

  23. Whang, S. S. 2009. Description of the phytoliths of the genus Oryza, with a key to species. Korean J. Pl. Taxon. 39: 199-215 (in Korean). 

  24. Whang, S. S. and K. S. Kim. 2001. Some opal phytoliths diagnostic characters of Oryza leaves. Korean J. Pl. Taxon. 31: 321-341 (in Korean). 

  25. Watson, L. and M. J. Dallwitz. 1994. The grass genera of the world. 2nd edition.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Pp. 748- 750. 

  26. Zhu, G., L. Liu, R. J. Soreng and M.V. Olonova. 2006. Poa. In Flora of China, Vol. 22 (Poaceae).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257-3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