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2, 2012년, pp.141 - 149
윤민지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최보경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홍석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To clarify some ambiguous diagnostic characters of Callicarpa japonica Thunb. and Callicarpa dichotoma (Lour.) K. Koch in Korea (Verbenaceae), the external morphology and micromorphology (leaf, anther, pollen, fruit, in particular endocarp surface and structure) of two taxa are studied and describ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한국에 서식하는 작살나무속 식물의 7분류 군은 무엇인가? | 한국에 서식하는 작살나무속 식물은 총 7분류군으로 작살나무(C. japonica Thunb.), 좀작살나무(C. dichotoma (Lour.) K. Koch), 새비나무(C. mollis Siebold and Zucc.) 등 3종과 이들의 종하분류군인 왕작살나무(C. japonica var. luxurians Rehder), 흰작살나무(C. japonica f. leucocarpa Siebold), 송금나무(C. japonica f. taquetii (H. Lév.) Ohwi), 좀새비나무(C. mollis var. ramosissima Nakai) 등 4변종이 있다 (Kim, 1987). | |
작살나무속이란 무엇인가? | 작살나무속(Callicarpa L.)은 마편초과(Verbenaceae St.-Hil.)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대개 소교목이거나 관목으로 열매는 핵과(drupe)이고 다육질의 외과피(exocarp)와 핵이 4개인 딱딱한 내과피(endocarp)를 가져 과내의 다른 속과 구별된다. 본 속은 약 140종이 주로 열대와 아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며, 일부가 열대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 서식하고, 극히 일부가 온대아시아와 북미에 분포한다(Chen and Gilbert, 1994; Harley et al. | |
작살나무와 좀작살나무(마편초과)를 구별하는데 유용한 세가지 형질은 무엇인가? | 결과적으로 줄기 단면 윤곽, 동아 형태 및 길이, 화관 통부 길이와 열편 길이, 약의 길이와 열개유형, 내과피의 형태가 두 분류군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식별형질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형질들이 이들 분류군의 동정에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작살나무의 화관통부의 길이(2.5-4.6 mm)는 좀작살나무(0.7-1.0 mm)에 비해 길고; (2) 약의 열개 유형은 작살나무가 개화기 초반에 상부의 끝에서 구멍모양으로 열개하고, 반면 좀작살나무는 개화기 시작부터 상부에서 하부까지 세로로 열개한다; 그리고 (3) 작살나무의 경우 측면에서 볼 때 내과피의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오목하고, 좀작살나무의 경우에는 편평하다. 반면에 엽연에 나타나는 거치의 위치 및 화서의 형성위치는 좋은 진단형질은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
Atkins, S. 1999. Callicarpa japonica: Labiatae, No. 368. Curtis's Bot. Mag. 16: 79-83.
Briquet, J. 1897. Verbenaceae. In Die naturlichen Pflanzenfamilien Teil 4, Abt. 3a. Engler, A. and K. Prantl (eds.), W. Engelmann, Leipzig, Pp. 132-182.
Cantino, P. D. 1990. The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stomata and trichomes in the Labiatae and Verbenaceae. J. Arnold Arbor. 71: 323-370.
Chang, H. T. 1951. A review of the Chinese species of Callicarpa. Acta Phytotax. Sin. 1: 269-312.
Chen, S. L. and M. G. Gilbert. 1994. Callicarpa. In Flora of China. Vol. 17.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and St. Louis, Pp. 4-16.
Chung, Y. H. and H. Kim. 1989. A palynological taxonomy of the Korean Verbenaceae. Korean J. Bot. 32: 121-134.
Erdtman, G. 1960. The acetolysis method. A revised description. Svensk Bot. Tidskr. 54: 561-564.
Harley, R. M., S. Atkins, A. Budantsev, P. D. Cantino, B. J. Conn, R. Grayer, M. M. Harley, R. de Kok, T. Krestovskaja, R. Morales, A. J. Paton, O. Ryding and T. Upson. 2004. Labiatae. In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Lamiales (except Acanthaceae including Avicenniaceae), Kadereit J. W. (ed.), Springer-Verlag, Berlin. Pp. 167-275.
Holmgren P. K., and N. H. Holmgren. 1998. (continuously update): Index Herbariorum-http://sciweb.nybg.org/science2/ IndexHerbariorum.asp.
Jang, T. S. and S. P. Hong. 2010. Comparative pollen morphology of Glechoma and Marmoritis (Nepetinae, Lamiaceae). J. Syst. Evol. 48: 464-473.
Kim, H. 1987.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VII. - Taxonomy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Callicarpa. Korean J. Bot. 30: 151-170.
Kim, J. S. and T. 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in Korean).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Lee, W. C.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Book Co., Seoul. (in Korean).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Seoul. (in Korean).
Punt, W., P. P. Hoen, S. Blackmore, S. Nilsson and A. Le Thomas. 2007. Glossary of pollen and spore terminology. Rev. Palaeobot. Palynol. 143: 1-81.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