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반도 미기록 식물: 영주제비란(난과)
First report for Platanthera brevicalcarata (Orchidaceae)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3, 2012년, pp.211 - 214  

엄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이남숙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초록

일본 남부지역과 대만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난과의 영주제비란(Platanthera brevicalcarata Hayata)가 제주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은 근연종인 제비난초에 비해 식물체의 크기가 작고, 곁꽃받침에 한 개의 녹색맥이 뚜렷하게 있으며, 짧은 원통형의 거를 갖는 특징에 의해 구별된다. 국명인 영주제비란은 한라산의 지방명에 따라 명명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인 특징과 도해를 생태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tanthera brevicalcarata Hayata (Orchidaceae), previously known to be distributed from Taiwan to southern Japan, was found in the Jeju-do, Korea.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the related taxon Platanthera chlorantha by its small plant size, white sepal with distinct one green vein, and shor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Halla, where it is distributed. The voucher specimens are preserved in the Ewha Womans University Herbarium (EW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Dressler, R. L. 1993.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Orchid Family. Dioscorides Press, Oregon. Pp. 230-231. 

  2. Lee, N. S. 2011. Illustrated Flora of Korean Orchid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Pp. 114-135. (in Korean) 

  3. Maekawa, F. 1971. The Wild Orchids of Japan in Color, Seibundoshinkousha, Tokyo, Japan. Pp. 152-153. (in Japanese) 

  4. Ohwi, J. 1984. Flora of Japan, 2nd ed.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 C. Pp. 323-326. 

  5. Pridgeon, A. M., P. J. Cribb, M. W. Chase and F. N. Rasmussen. 2001. Genera Orchidacearum Vol. 2. Orchidoideae (Part 1).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345-350. 

  6. Satomi, N. 1981. Orchidaceae. In Wild Flora of Japan, Herbaceous plants, Vol 1. Satake Y, J. Ohwi, S. Kitamura, S. Watari, T. Tominari (eds), Heibonsa, Tokyo, Japan. Pp. 196. 

  7. Su, H. J. 2000. Orchidaceae. In Flora of Taiwan, Vol. 5, 2nd ed. Editorial Committee of the Flora of Taiwan, Taipei, Taiwan. Pp. 1011-1012. 

  8. Walter, K. S. and H. J. Gillet (eds), 1997. IUCN Red List of Threatened Red Data. The Nature Conservancy,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Pp. 717. 

  9. Yahara, T. and N. Yosio (eds), 2003. Red Data Plants. Yama-kei Pub. Co. Ltd., Tokyo. Pp. 64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