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손상 모델을 적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구조내력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Load Carrying Capacity of RC Structures Based on Concrete Damage Model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16 no.5, 2012년, pp.121 - 128  

우상균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파워시스템연구소) ,  이윤 (대전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성태 (인하공업전문대학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 수치해석에의 균열처리 방법으로 손상모델 기반의 분산균열모델을 체택하여 구조내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전력구 구조물의 실구조 모델링을 위해 3차원 해석방법을 택하였으며 3차원 콘크리트 구성모델로는 현재 3차원 모델중 콘크리트의 다축압축, 인장균열을 효과적으로 모사하는 미소면 모델(Microplane model)을 재료모델로 사용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SFRC의 인장연화곡선을 얻기 위해 역해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역해석으로 구한 인장연화곡선이 실험결과와 아주 잘 일치함을 보였다. 하중-균열폭 관계를 입력값으로 사용한 역해석 결과와 하중-CMOD 관계를 사용한 역해석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으로부터 측정된 균열폭 데이터와 수치해석시의 손상지수와의 관계를 도출하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균열탐사를 통한 구조물의 잔존 구조내력 산정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nonlinear analysis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is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ilure, which are depend on loading conditions and concrete material models. On the numerical evaluation for the failure behavior, the finite el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구조적으로 손상을 받은 현재상태의 구조물의 구조내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균열폭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치해석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한 손상지수와 실험으로부터 측정된 균열폭과의 관계를 도출하여 향후 구조물 탐사후 구조내력의 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장 균열폭이 두드러진 상단슬래브 중앙 하단의 수치해석결과의 손상지수와 실험으로부터 측정된 균열폭과의 관계를 일정 수직하중상태를 기준으로 나타내면 Fig.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건하에서 콘크리트 손상 모델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구조내력 산정을 위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 검증하여 실제 구조물의 잔존 구조 내하력을 산정할 수 있는 수치해석모델을 개발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건하에서 구조물의 구조내력 산정을 위한 해석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 검증하여 향후 실제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평가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일환으로 구조내력산정 수치해석모델을 개발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원형 양수터널 구조물의 내하력 예측을 위해 양수터널에 사용되는 강섬유보강콘크리트(SFRC)로 제작된 콘크리트구조물 모형 실험체를 대상으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한국남동발전, 2010)대상구조물로는 상재하중과 토압을 고려한 균열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계면 효과는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SFRC에서 섬유의 배열은 시험체의 표면에서는 경계면 효과(wall effect)에 의해 섬유가 표면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노치를 낼 경우, 균열이 표면으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진행되기 때문에 섬유의 배열이 표면에서보다 임의방향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을 것이고, 경계효과를 제거함으로써 보다 실제에 가까운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치가 없는 실험체에서 구한 휨인장강도는 과대평가될 수 있다.
구조건전성 평가 시스템의 대상은 무엇인가? 현행 전력구 구조물에 대한 구조건정성 평가시스템은 현재 운행중인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변형원인 추정과 대책공법의 선정을 실시하는 진단시스템과 과거의 조사 데이터, 구조제원, 개보수 이력 등의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구조물 변형에 의한 균열 발생시 구조상의 문제에 대한 구조건전성 평가 시스템은 강섬유보강콘크리트(양수터널 구조물)와 철근 콘크리트(전력구 구조물)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구조내력을 추정함과 동시에 변형의 진행성, 하중증대의 가능성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구조건전성을 평가한다. 구조내력의 평가는 운행중인 구조물에 대한 균열탐사를 통한 균열발생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구조물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향후 균열을 고려한 잔존 구조 내하력의 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다.
현행 전력구 구조물에 대한 구조건정성 평가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현행 전력구 구조물에 대한 구조건정성 평가시스템은 현재 운행중인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변형원인 추정과 대책공법의 선정을 실시하는 진단시스템과 과거의 조사 데이터, 구조제원, 개보수 이력 등의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구조물 변형에 의한 균열 발생시 구조상의 문제에 대한 구조건전성 평가 시스템은 강섬유보강콘크리트(양수터널 구조물)와 철근 콘크리트(전력구 구조물)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구조내력을 추정함과 동시에 변형의 진행성, 하중증대의 가능성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구조건전성을 평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권용길, 우상균, 한상훈, 송영철, "비국소 손상모델을 이용한 전력구 모형 실험체의 파괴거동 해석",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20권 2호, 2008, pp.225-228. 

  2. 양수발전소 터널 구조건전성 평가기법 개발, 한국남동발전, 최종보고서, 2010. 

  3. 전력구 구조건전성 평가시스템 개발,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최종보고서, 2009. 

  4. Chanvillard, G. and Rigaud, S., "Complete characterisation of tensile properties of Ductal UHPFRC according to the French recommendations", Proceeding of the 4th International RILEM Workshop-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HPFRCC4), 2003, pp.21-34. 

  5. Habel, K., Gysler, R., Denari, E., Bruhwiler, E., "A Uniaxial Tensile Test for Advanced Cementitious Materials", Submitted for publication in Materials and Structures, 2002. 

  6. Kitsutaka, Y., "Fracture parameters by poly-linear tension softening analysi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vol. 123, No. 5, 1997, pp.444-450. 

  7. Markovic Ivan, "High-Performance Hybrid-Fibre Concrete-Development and Utilization", Doctorial thesis, Universiteit van Belgrado, Servi, DUP Science, 2006, pp.90-92, 

  8. Naaman, A. E., Fisher, G. and Krstulovic-Opara, N., "Measurement of Tensil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Draft Submitted to ACI Committee 544",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HPFRCC5), 2007, pp.3-12. 

  9. Uchida, Y. and Kurihara, N., "Determination of tension softening diagrams of various kinds of concrete by means of numerical analysis", FRAMCOS-2, Germany, AEDIFICATION,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