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 시 비대칭성 가방 휴대가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symmetric Bag Carrying during Walking on Plantar Pressur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4, 2012년, pp.459 - 469  

박수진 (선린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중호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진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caused by asymmetric bag carrying methods to carry the bag with one shoulder only to plantar pressure during walking. METHODS: Twenty three normal adults without any gait problem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al cond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족저압 측정 시스템인 F-scan system을 이용하여 비대칭적인 가방 휴대가 보행을 하는 동안 족저압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고, 부하에 대한 자세 적응 기전에서 자세 변화와 발의 관련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scan system을 이용하여 보행 시 족저압의 변화 양상을 측정함으로써 비대칭적인 가방 휴대가 척추 변형과고 연관이 있는 발에서의 적응 기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scan system을 이용하여 비대칭성 가방 휴대가 족저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방의 무게로 인해 족저압의 크기가 가방을 메지 않았을 때에 비해 증가하였지만, 가방 휴대 방법에 따른 비교에서는 발에서의 족저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여 주지 않았고, 양쪽 발 사이에서의 비대칭성 또한 전체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가방을 메는 방법에 따라 오른쪽 발과 왼쪽 발에서 족저압 분포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방 휴대 방법이 대칭성일 경우와 비대칭성일 경우 모두 발에서의 족저압 변화에는 유의한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 연구 결과에서 가방 무게가 체중의 10∼15% 이상일 경우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Chow 등(2005)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가방 무게의 한계를 체중의 10% 이하라고 제시하였는데, Weir(2002)의 연구를 결과를 볼 때 가방 무게가 체중의 10∼15% 이상일 경우 가방 무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상체의 전방굴곡이 증가하고, 요추의 앞굽이와 흉추의 뒤굽이가 감소하는 변형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가방을 한쪽 어깨에 멜 경우 신체에는 어떤 것이 유발되는가? 가방을 메는 방법에 따라서는 가방을 한쪽 어깨에 멜 경우 가방을 휴대하지 않거나 배낭 형태의 가방을 양쪽 어깨에 메는 경우 보다 가방을 메는 쪽 어깨의 올림(elevation)이 더 크게 일어나고, 척추에서 반대쪽으로의 가쪽 굽힘(lateral flexion)이 증가하게 되며, 머리의 전방 기울기와 가쪽 굽힘, 반대쪽 상지의 외전 또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보상 작용에 의해 더 증가하게 된다(Kim과 Shin, 1995; Matsuo 등, 2008). 이러한 자세로 인해 목 주변 근육들이 긴장되어 두통이나 목통증이 유발되고(Kim, 2006), 요추 주변의 척추기립근들의 근긴장도가 증가하여 허리나 골반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고(Yuk 등, 2010) 선행 연구들은 제안하였다.
족저압 측정이란? 족저압 측정은 보행 중 입각기 동안 발바닥에서의 체중 부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 방법으로, 족저압의 크기와 분포 양상은 발의 구조적 상태뿐만 아니라, 보행과 관련된 역학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Woo, 2001; Han 등, 1999; Hessert 등, 2005). 그동안 가방 휴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지만, 대부분 주로 체간과 상하지의 운동면상의 변화 위주로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이고, 발에서의 변화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JS. The effects of asymmetric load of shoulder bag on trunk and pelvis movement patterns of normal adult during gait. Dept. of Ergonomic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2. Birrell SA, Hooper RH & Haslam RA. The effect of military load carriage on ground reaction forces. Gait Posture. 2007;26(4):611-4. 

  3. Chang JS. A Biomechanical Analysis of Lower Extremity on the Flatfoot with External Condition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s. Doctor's thesis. 2010. 

  4. Cho HY. The analysis of the kinematic variable on loading response during the walking. Dept. of physical education. Honam University. 1998;19(2):1305-16. 

  5. Choi H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oliosis and foot.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 Taeg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1. 

  6. Chow DH, Kwok ML, Au-Yang AC et al. The effect of backpack load on the gait of normal adolescent girls. Ergonomics. 2005;48(6):642-56. 

  7. Chow DH, Leung KT & Holmes AD. Changes in spinal curvature and proprioception of schoolboys carrying different weights of backpack. Ergonomics. 2007;50(12):2148-56. 

  8. Cottalorda J, Rahmani A, Diop M et al. Influence of school bag carrying on gait kinetics. J Pediatr Orthop B. 2003;12(6):357-64. 

  9. Crowe A & Samson MM. 3-D analysis of gait: The effects upon symmetry of carrying a load in one hand. Human Movement Science. 1997;16(2-3):357-65. 

  10. Fowler NE, Rodacki AL & Rodacki CD. Changes in stature and spine kinematics during a loaded walking task. Gait Posture. 2006;23(2):133-41. 

  11. Han T, Paik NJ & Im MS. Quantificaton of the path of center of pressure (COP) using an F-can in-shoe transducer. Gait Posture. 1999;10(3):248-54. 

  12. Hessert MJ, Vyas M, Leach J et al. Foot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in young and old adults. BMC Geriatrics. 2005;5(1):8-15. 

  13. Hong DJ, Park SB, Lee SG et al. Analysis of the stance phase in a hemiplegic patient by the measurement of plantar pressu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8;22(5):1123-8. 

  14. Hong Y & Li JX. Influence of load and carrying methods on gait phase and ground reactions in children's stair walking. Gait Posture. 2005;22(1):63-8. 

  15. Jo SC. Effects of backpack weight on elementary school boy's walking.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1;19(2):303-10. 

  16. Kim CK & Shin DM. Kinematic analysis of book bag weight on gait cycle and posture of youth.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995;3(1):175-85. 

  17. Kim JH. An influence of trunk control using pelvic movement upon the foot pressure of patients with hemilplegia.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Health Science. Yong-i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18. Kim JH & Cynn HS.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foot pressure distribution in trans-tibial amputee subjects.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1;8(3):1-10. 

  19. Kim K, Park YH & Bae SS. Intermach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mat and F-sca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0;12(2):29-37. 

  20. Kim MH. Changes in neck muscle electromyography and forward head posture during carrying of various schoolbags by childre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Therapy. Master's thesis. 2006. 

  21. Kobayashi N, Warabi T, Kato M et al. Posterior-anterior body weight shift during stance period studied by measuring sole-floor reaction forces during healthy and hemiplegic human walking. Neurosci Lett. 2006;399(1-2):141-6. 

  22. Lafiandra M, Holt KG, Wagenaar RC et al. Transverse plane kinetics during treadmill walking with and without a load. Clin Biomech. 2002;17(2):116-22. 

  23. Lee CN. Clinical Correlation of the motor symptom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Foot Scan.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24. Lee TJ.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ot pressure by various carrying a pack methods during walking. Physical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25. Macias BR, Murthy G, Chambers H et al. Asymmetric loads and pain associated with backpack carrying by children. J Pediatr Orthop. 2008;28(5):512-7. 

  26. Matsuo T, Hashimoto M, Koyanagi M et al. Asymmetric load-carrying in young and elderly women; Relationship with lower coordination. Gait Posture. 2008;28(3):517-20. 

  27. Moon HW, Park SI, Rah UW et al. Foot pressure measurement using f-scan system in normal korean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5;19(2):289-95. 

  28. Moon JH, Lee HS, Kim MY et al. Foot pressure distribution of norma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7;21(4):755-61. 

  29. Mueller MJ & Strube MJ. Generalizability of in-shoe peak pressure measures using the F-scan system. Clin Biomech (Bristol, Avon). 1996;11(3):159-64. 

  30. Negrini S & Negrini A. Postural effects of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loads on the spines of schoolchildren. Scoliosis. 2007;2(8):1-7. 

  31. Oh JH & Choi SN. Effects of the length of schoolbag string on gait postur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7;30:619-29. 

  32. Park ES, Kim HW, Park CI et al. Dynamic foot pressure measurements for assessing foot deformity in person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06;87(5):703-9. 

  33. Park ES, Park CI, Kim JY et al. Foot Pressure Distribution and Path of Center of Pressure (COP) of Foot during Ambulation in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2;26(2):127-32. 

  34. Park SH, Kim YH & Park SJ. Evaluation method in gait analysi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03;6(4):25-32. 

  35. Pascoe DD, Pascoe DE, Wang YT et al. Influence of carrying book bags on gait cycle and posture of youths. Ergonomics. 1997;40(6):631-41. 

  36. Resch S, Apelqvist J, Stenstrom A et al. Dynamic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in 49 patient with diabetic neuropathy with or without foot ulcers. Foot and Ankle Surgery. 1997;3(4):165-74. 

  37. Rosenbaum D & Becker HP.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s. Technical background and clinical applications. Foot and Ankle Surgery. 1997;3(1):1-14. 

  38. Seo GU, Lee JS & Kim YJ. A study on biomechanical of the effective packing carring system in walking. 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4;29:179-213. 

  39. Stuempfle KJ, Drury DG & Wilson AL. Effects of load position on physioligical and perceptual responses during load carriage with an internal frame backpack. Ergonimics. 2004;47(7):784-9. 

  40. Weir E. Avoiding the back-to-school backache. CMAJ. 2002;167(6):669. 

  41. Woo DP. An analysis of gait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loads on carrying tasks. Dept. of Industri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1. 

  42. Yang DC, Jang SH, Choi KS et al. Comparison of peak plantar pressure between bare foot and in-shoe in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3;27(4):600-4. 

  43. Yuk GC, Park RJ, Lee HY et al. The effects of baby carrier and sling in muscle activation of trunk, low extremity and foot pressure. Korean Soc Phys Med. 2010;5(2):2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