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 잎집눈무늬병의 발생에 파종량이 미치는 영향과 방제 약제 선발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Rates on Disease Incidences of Wheat Sharp Eyespot and Selection of Fungicide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8 no.1, 2012년, pp.10 - 16  

박종철 (국립농업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이은숙 (한국삼공(주) 생물팀) ,  조광민 (국립농업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이미자 (국립농업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강천식 (국립농업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  최재성 (국립농업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육성 밀 3품종을 이용하여 파종량과 밀잎집눈무늬병의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이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약제를 선발하기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파종량이 기준량의 2배로 증가할 때 발병률이 약 13% 증가하였다. 그러나 감수성인 조품밀만이 2배량 파종시에 발병률이 높아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잎집눈무늬병의 방제 약제 선발을 위해 배지상에서 약제별 효과를 검정한 결과, Triazole 계통인 Hexaconazole EC과 Tebuconazole EC는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하지만 strobilurin 계통의 Pyraclostrobin EC과 Trifloxystrobin SC는 균사 억제 효과가 약하였다. 식물체에 직접 처리하여 약효를 검정한 결과, in vivo 활성과 in vitro 활성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예방효과가 치료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Hexaconazole EC와 Tebuconazole EC의 예방효과는 각각 64%와 73%였고, 치료효과는 각각 45%와 39%였다. 본 연구결과는 Hexaconazole EC와 Tebuconazole EC가 밀에 발생하는 입짚눈무늬병의 방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eding rate on the disease incidence of sharp eyespot(Rhizoctonia cerealis) on three different varieties and to select effective chemicals to control the disease. When the seeds were sown twice as many as the recommendation, the disease inci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병의 방제법과 관련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 않으며 방제 약제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이 병의 피해 방제 기술 개발을 위해 파종량에 따른 병 발생 정도와 화학적 방제를 위한 적정 약제 선발, 처리 방법 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육성 밀 3품종을 이용하여 파종량과 밀잎집눈무늬병의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이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약제를 선발하기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파종량이 기준량의 2배로 증가할 때 발병률이 약 13%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밀에 발생하는 곰팡이성 병해의 종류는? 국내에서도 밀은 쌀과 더불어 영양과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 밀의 이용량 증가에 따라 자급율 제고를 위한 정책적 목표와 더불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 밀에 발생하는 곰팡이성 병해로는 흰가루병, 붉은곰팡이병, 녹병류, 잎집눈무늬병, 깜부기병류 등을 비롯하여 현재 17종이 보고(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되어 있으나, 발생과 방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밀은 무엇인가? 밀은 Gramineae(Poaceae)과 Triticum속으로, 전 세계적 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유럽과 아프리카의 매우 주요한 식량작물이다. 국내에서도 밀은 쌀과 더불어 영양과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최근 밀의 이용량 증가에 따라 자급율 제고를 위한 정책적 목표와 더불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잎집눈무늬병의 특징은? 세계적으로 보리, 밀 등 화본과 작물에 피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aamen 등, 1990). 온난한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며(Lipps 등, 1982), 병원균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작물의 잔재물이나 토양에서 균사체 또는 저항성을 갖는 구조체로 살아가다 기주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차갑고 습한 조건에서 발병이 잘 일어나며 광과 양호한 배수 토양상태에서 병반의 진전이 확대된다(Cromey 등, 2002). R. cerealis 의 감염은 지제부의 변색 반점이 부패되어 수분 이동의 저해로 잎이 황화되고, 도복 발생과 줄기 고사와 종실의 등숙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수량 감소 피해를 일으키게 된다(Cromey 등, 2005). 수량 감소는 병 발생 정도와 차이가 있으나 심한 경우 한 개체에서 18%(Cromey 등, 2002), 영국과 웨일즈에서는 평균 26%가 보고(Clarkson과 Cook, 1983)되었다. 중국에서는 2005년에서 2008년까지 밀 재배지의 6백만 ha 이상이 피해를 입어 십조 위엔(¥) 이상의 경제적 피해가 보고(Chen 등, 2008)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en, L., Zhang, Z. Y., Liang, H. X., Liu, H. X., Du, L. P., Xu, H. and Xin, Z. 2008. Over expression of TiERF1 enhances resistance to sharp eyespot in transgenic wheat. J. Exp. Bot. 59: 4195-4204. 

  2. Clarkson, J. D. S. and Cook, R. J. 1983. Effect of sharp eyespot (Rhizoctonia cerealis) on yield loss in winter wheat. Plant Pathol. 32: 421-428. 

  3. Colbach, N., Lucas, P., Cavelier, N. and Cavelier, A. 1997. Influence of cropping system on sharp eyespot in winter wheat. Crop Prot. 15: 415-422. 

  4. Cromey, M. G., Butler, R. C., Boddington, H. J. and Moorhead, A. R. 2002. Effects of sharp eyespot on yield of wheat (Triticum aestivum) in New Zealand. New Zealand J. Crop Hort. Sci. 30: 9-17. 

  5. Cromey, M. G., Butler, R. C., Munro, C. A. and Shorter, S. C. 2005. Susceptibility of New Zealand wheat cultivars to sharp eyespot. New Zealand Plant Prot. 58: 268-272. 

  6. Daamen, R. A. and Stol, W. 1990. Surveys of cereal diseases and pests in the Netherlands. 2. Stem-base diseases of winter wheat. Neth. J. P1ant Pathol. 96: 251-260. 

  7. Karadimos, D. A., Karaoglanidis, G. S. and Tzavella-Klonari, K. 2005. Biological activity and physical modes of action of the Qo inhibitor fungicides trifloxystrobin and pyraclostrobin against Cercospora beticola. Crop Prot. 24: 23-29. 

  8. Kataria, H. R., Hugelshofer, U. and Gisi, U. 1991. Sensitivity of Rhizoctonia species to different fungicides. Plant Pathol. 40: 203-211. 

  9. Kim, W. G., Cho, W. D. and Lee, Y. H. 1991. Hyphal anastomosis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cerealis isolates from four kinds of hosts. Res. Plant Dis. 7: 52-54. (In Korean) 

  10. Kim, J. W., Sim, K. Y., Kim, H. J. and Lee, D. H. 1992.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binucleate Rhizoctonia isolates causing leaf blight (yellow patch) in turfgrass. Turfgrass Soc. Korea 6: 99-112. 

  11. Kim, H. T., Kamakura, T. and Yamaguchi, I. 1996. Effect of pencycuron on the osmotic stability of protoplast of Rhizoctonia solani. Pest. Sci. Soc. Jpn 21: 159-163. 

  12. Lee, D. H., Choe, Y. Y., Lee, J. H. and Kim, J. W. 1995.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Rhizoctonia species isolated from turfgrasses. Korean Soc. Mycol. 23: 257-265. 

  13. Lee, E. S., Lee, W. H., Kang, C. S., Kim, M. J., Kim, T. S. and Park, J. C. 2011. Cultural characteristics of Rhizoctonia cerealis isolated from diseased wheat fields and evaluation of resistance of Korean Winter Cereal crops. Res. Plant Dis. 17: 19-24. (In Korean) 

  14. Lipps, P. E. and Herr, L. J. 1982. Etiology of Rhizoctonia cerealis in Sharp eyespot of wheat. Phytopathology 72: 1574-1577. 

  15. Seo, S. T., Kim, K. H., Shin, C. H., Lee, S. H., Kim, Y. M., Park, J. H. and Shin, S. C. 2009.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s on cherry witches broom caused by Taphrina wiesneri. Res. Plant Dis. 15: 13-16. (In Korean) 

  16.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4.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Seoul, Korea. 853 pp.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